예언서 연구 - 스가랴 말라기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언서 연구 - 스가랴 말라기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Ⅰ장 예언서의 개관
1. 예언이라 무엇인가?
2. 고대 근동의 예언 현상
3. 예언 문학의 특징
4. 고대근동의 예언 현상의 제 문제점
5. 예언자의 개념
6. 예언자의 종류
7. 예언서 해석
8. 주전 8세기의 역사적 배경
9. 주전 7세기의 역사적 배경
10. 주전6세기의 역사적 배경
Ⅱ. 주전 5세기의 예언자
1. 주전 5세기의 역사적 배경
2. 스가랴
3. 말라기
Ⅲ. 묵시문학
1. 묵시 문학이란 무엇인가?
2. 제2 스가랴(9-14장)

나가는 말

본문내용

있었던 예언이나 말씀을 자신의 시대에 맞게 새롭게 해석한 것이다.
-연결: 예언문학가운데 예언을 성서의 다른 문학과 연결시키는 것을 발견한다. 호세아14:9절에서는 호세아의 예언을 지혜자와 연결시키고 있다.
8.주전 8세기의 예언운동의 역사적 배경
이스라엘 문서예언자들이 활동했던 주전8세기 중엽, 즉 아모스, 호세아, 미가 그리고 이사야가 활동하였던 시기의 이스라엘 상황은 국내외적으로 매우 힘든 시기였다. 특히 북 이스라엘은 여로보암2세(주전786-746)의 부귀영화 이후 강대국의 침략으로 정치적으로 매우 힘든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구약성경에 과거의 잃어버린 땅의 회복을 기록하고 있다.(왕하14:25)
1) 이스라엘 문서 예언자 활동의 시작
구약성서 예언서에 기록된 표제어를 분석하면 고대 이스라엘의 문서 예언자는 주전8세기 중엽부터 활동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암1:1,호1:1,미1:1,사1:1 유다와 이스라엘 왕은 웃시야 ,요 담, 아하스 ,히스기야 이다. 이스라엘-유다 왕의 이름에 의하여 문서 예언자의 활동시기가 주정 8세기 중엽 경부터임을 알 수 있다.
주전 8세기 이스라엘 유다 왕의 연대기
유다
이스라엘
아시리아 제국
웃시야(주전 785-769)
여로보암2세(주전 789-748)
요담(주전758-743,)
스가랴(주전 748/7년,)
살룸(주전 748/7년,)
므나헴(주전 747-737, )
아하스 (주전743-733,)
섭정
브가히야(주전 737-735,)
디글랏빌레셀
(주전 744-727)
아하스(주전733-727,)
베가(주전 735-733)
호세아(주전 733-724)
살만에셀5세 (주전 726-722)
사르곤 2세 (주전 721-705)
히스기야(주전727-698,)
산혜립 (주전 740-669)
2) 주전8세기 중엽의 유다와 이스라엘
①여로보암 2세와 이스라엘의 번성: 여로보암2세는 이스라엘 오므리 왕조의 영광을 재현 하였다. 그는 잃었던 많은 영토을 회복하였기 때문에 여로보암 시대를 이스라엘 역사의‘백은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스라엘이 아람에게 영토를 잃은 것은 예후가 죽으면서 많은 영토를 하사엘 에게 빼앗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 왕국의 여호아하스때 아람의 손에서 벗어났고, 요아스는 빼앗겼던 땅을 다시 찾고 여러보암 2세가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한다. 여러보암이 죽고 스가랴가 6개월 통치 후 살롬에 의해 살해 되고 살롬도 한 달 후 유다왕 웃시야에게 살해된다.
주전745년 아시리아 제국의 디글랏빌레셀 3세가 즉위하면서 북쪽의 우라르투를 점령한 후 유프라테스 강건너 서쪽 지역에 대한 확장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로 인해 아람이 주전 732년에 멸망하였고 그 결과 이스라엘은 직접 아시리아와 국경을 대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스라엘과 유다의 운명은 당시 근동세계를 지배하던 아시리아와 대치하는 풍전등화의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때부터 이스라엘과 유다는 메소포타미아 제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주전732년부터 332년 알렉산더 대왕 때까지 400년간 이스라엘 민족은 아시리아, 바벨론, 그리고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②열강의 간섭에 들어간 사마리아
므나헴은 유다왕 아사랴의 통치 39년에 왕이 되어 10년을 통치하였다. 므나헴의 통치동안 아시리아의 디글랏빌레셀3세가 처들어 왔다. 이스라엘 각 부자들에게 은50세겔(1세겔:11.33g) 3세에게 바쳤다. 므나헴의 뒤를 브가히야는 그의 군대장관 베가에 의해 살해되고 베가는 유다의 아사랴 왕 50년에 왕이 되어 20년간 이스라엘 통치하였다. 통치중 3세의 재 침입으로 납달리 등과같이 처음으로 포로로 잡혀간 사건이다.
베가는 아람왕 르신과 공모하여 유다의 예루살렘을 공격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 사건은 오랜만에 아람과 이스라엘이 다시 동맹관계를 유지한 사건이었으나 이 사건을 계기로 아람은 아시리아에 의하여 역사의 장에서 사라지고 이스라엘은 앗시리아의 봉신국가가 된다. 베가는 엘라의 아들 호세아에 의해 살해되었고 디글랏빌레셀3세 이외에도 그의 뒤를 이은 살만에셀(5세)가 다시 쳐들어와 호세아로부터 조공을 받아갔으나 호세아는 매년 바치던 조공을 바치지 않고 오히려 이집트왕 소(So)와 결탁하였다. 이에대한 응징으로 호세아 9년에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를 공격하여 3년간 포위한 다음 사마리아를 점령한였다. 유다왕 아사랴(웃시야)는 16세에 왕이 되어 52년간 치리하였고 엘롯을 건축하였다. 그는 불레셋 사람들 ,아라비아사람들, 암몬사람들을 관장하고 조공을 받았다. 이처럼 이시기에 팔레스틴의 지방 세력들 특히 요단 동편의 세나라가 다시 활기를 찾은 것은 아람의 쇠퇴와 무관하지 않다. 르신이 이스라엘과 연합하여 유다에 대한 공격을 실패한 후 아시리아의 속주가 되었고, 이스라엘은 봉신 이되었기 때문에 요단 동쪽의나라들은 아람 혹은 이스라엘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다. 이러한 세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주변 국가들이 세력을 확장하였다.
3)이스라엘과 유다의 종교적 생활
주전8세기 중엽 이스라엘과 유다의 종교는 물질문명의 발전과 외국과의 빈번한 교류의 시작으로 순수성을 잃기 시작하였다.
①북 왕국의 종교적 특성
남북왕국 분열 직후 여로보암(1세)이 실시한 소위 종교개혁(왕상12:25-33,13:33-34)과 아합의 국제결혼으로 바알 종교가 이스라엘에서 번성(왕상16:29-34,특히30-31,참고18장)하여 바알 신전까지 건축되었다. 신명기 사가는 다양한 바알 종교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바알 제단상예언자제사장 까지 등장 한다.
②유다 왕ㅇ국의 종교적 특성
일부 학자들은 아시리아 제국의 통치 때 유다는 아시리아 제국의 종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다. 왕하16:10-18절을 근거로 유다 왕 아하스 때 아시리아 제국의 종교가 이스라엘로 유입되었다는 주장이다. 이와 달리 어떤 지역을 점령한 다음 아시리아 제국의 종교를 강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록 유다가 아시리아 제국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주전 8세기 급박한 정치적 상황과 빈번한 외국과의 교류 그리고 정치. 경제적인 안정을 맞이하면서 이스라엘과 유다는 바알 종교와 주변 여러나라의 종교가 유입 되었고,바알 종교가 전성기를
  • 가격2,6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