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리아의 베트남 진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롯데리아의 베트남 진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업선정이유
2. 기업개요
3. 베트남의 패스트푸드 시장
1) 패스트푸드 시장 현황
2) 현지 음식 브랜드의 반격
3) 베트남 소비자들의 패스트푸드에 대한인식
4. STP 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4P 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Service
1) 배달 서비스
2) 테이블 서빙
3)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7. CRM

Ⅲ. 문제점 및 해결방안
1. 패스트푸드시장 자체의 성장 가능성
2. 현지화 전략의 양면성
3. 법적인 체계 미비
4. 직원들의 서비스 부족
5. 위생관련 문제
6. 기업 신뢰도의 문제
7. 한류의 지속성 문제 및 양국 관계

본문내용

줄 경비를 고용해 오토바이 주차장에서 발렛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오토바이 도난을 막는 등 오토바이가 대중적인 베트남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2) 테이블 서빙
베트남 롯데리아에서는 음식을 주문하면 직원이 직접 손님 테이블로 음식을 가져다주며 다 먹은 후에는 음식을 치워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베트남에서도 일부 고급 식당에서만 하고 있는데, 프랜차이즈에서 저렴한 가격에 식사를 하며 고급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을 통해 롯데리아에 가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인식을 주고 있다.
3)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영국 소셜 미디어 조사 업체 ‘We Are Social’의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인터넷 인구는 5000만 명 이상으로 전체 인구 9490만 명 중 절반 이상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30대 이하 인구비중이 56% 이상으로 젊은 소비층을 보유하고 있고, 점차 20대 이하 중심의 인구구조에서 소비성향이 가장 높은 20-30대 인구계층이 증가하는 추세로 주 소비층이 스마트폰과 인터넷 활용 환경에 친숙한 계층. 롯데리아 베트남은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해 음식을 먹으면서 과제나 숙제를 하거나, 친구들과 교류 할 수 있는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6. CRM
경쟁이 치열해지면 기업들은 고객의 가치를 어떻게 구현시킬지 고민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들은 고객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고 이를 장기적으로 유지시키려 노력하게 된다. 롯데 그룹은 2016년 3월부터 롯데멤버스(L.Point)를 통해 베트남에 진출한 계열사인 롯데리아, 롯데시네마 등 롯데그룹 계열사의 포인트를 하나로 합쳐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통합멤버십 서비스를 구축했다.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베트남 젊은이들이 엘포인트 회원이 되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품을 편리하게 주문하고 배달을 주문할 수 있으며, 롯데멤버스 회원의 소비패턴 및 성향이 쌓인 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별 고객관리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롯데멤버스 가입시 롯데리아 제품이 할인 되며 신원조회 없이 간편하게 매장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해 멤버십 카드를 받고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롯데리아를 이용하는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롯데리아뿐만 아니라 롯데시네마, 롯데마트 등 롯데계열사를 이용하는 고객까지 유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Ⅲ. 문제점 및 해결방안
1. 패스트푸드시장 자체의 성장 가능성
패스트푸드는 빠르고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면서 성장하였다. 하지만 경제수준이 높아지면 패스트푸드보다는 웰빙이나 건강한 음식을 더 추구하고 소비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그렇기에 베트남은 아직 경제수준이 낮은 편이어서 패스트푸드하면 정크푸드나 건강에 안 좋다는 인식은 많이 없지만 점점 경제수준이 높아진다면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도 변화할 것이다. 롯데리아도 이에 맞춰서 새로운 메뉴 개발이나 이미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2. 현지화 전략의 양면성
롯데리아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철저한 현지화에 있었다. 자국이 아닌 해외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환경적인 요소들을 반드시 분석해야하며 그에 맞게 전략적으로 현지화가 일부 이루어지는 것은 불가피하기도 하다. 현지화를 통해서 시장에서 점유율 늘렸다하더라도 지나친 현지화는 브랜드 자체의 정체성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타벅스나 맥도날드를 보면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표준화된 서비스와 어느 나라에서든 같은 맛을 볼 수 있는 표준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그 결과 브랜드의 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세계에 여러 나라에 진출해있다. 롯데리아도 단순히 시장점유율 높이기 위해서 현지화전략만 추구하는 것이 아닌 롯데리아만의 브랜드 정체성을 지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3. 법적인 체계 미비
베트남의 프랜차이즈 산업은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다. 베트남에는 프랜차이즈 산업이 자리를 잡은 상태가 아니어서 법적인 제도가 정비가 되어 있지 못했다. 그래서 2007년 WTO 가입하기 전까지는 베트남 상법(Commercial Law)에 의해 프랜차이즈 산업을 규율했었고 WTO 가입 이후 관련 법령들을 정비하였다.
프랜차이즈 관련 베트남 주요법령
· WTO Commitment Part Ⅱ, Section 4, Item D
(프랜차이즈 서비스 개방 스케쥴 규정)
· Decree 35/2006/ND-CP (상법상 프랜차이즈 관련 실행규정)
· Circular 09/2006/TT-BTM (프랜차이즈 등록 절차규정)
· Decision 106/2008/QD-BTC (프랜차이즈 수수료 규정)
하지만 아직도 법적인 보호 장치가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기에는 선진국에 비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매력적인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꺼려하는 기업들이 있다. 운영에 대한 노하우 부재, 브랜드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제조업 대비 상대적으로 서비스 부문이 취약한 점 등이 그 이유이다. 또한 지난 2016년 베트남의 재산권 지수(International Property rights index)는 128개국 중 85위를 차지하여 아직 서비스 산업 부문의 법적인 개념이 모호한 실정이다.
베트남은 최근 FTA 등 많은 국가들과 경제협력을 하면서 앞으로 더 많은 외국기업의 진출이 예상된다. 그렇기에 이에 따른 법적인 제도가 체계화될 필요성이 보인다. 롯데리아도 초기에는 직영점 형태로 매장을 늘려갔지만 최근 가맹점 매장도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베트남 프랜차이즈 법령에 대해 제대로 숙지하고 이와 관련한 직원 교육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
4. 직원들의 서비스 부족
롯데리아는 패스트푸드시장에서 큰 우위를 점하고 있고 다른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들보다 현지화에 성공하여 큰 성과를 얻고 있으며, 고급화 전략을 통해 패밀리 레스토랑과 같은 분위기의 가게를 만들려는 전략을 시행했다. 하지만 직원들의 서비스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먼저 온 사람에게 주문을 받지 않고 나중에 왔더라도 뒤에서 돈을 먼저 내밀며 주문해 버리면 주문의 순서가 뒤바
  • 가격1,8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