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고 있고 한국의 먹거리에 계속 익숙해져 가고 있는 상태임
-높은 소비성향
최근 대도시 거주자의 소득이 증대되고 있으며, 몽골인들의 실소득은 약 4천불이나 강한 소비 성향으로 인해 소비수준은 7천불 정도의 국민들과 유사함, 아울러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 생활한 몽골인들이 증가하여 이미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에 익숙한 소비자 층이 형성되고 있으나 이들을 충족할 만한 브랜드나 업체는 전무후무한 상태임
-음식의 다양성 및 음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함
몽골의 음식문화는 다양성이 없고, 한정된 메뉴로 인해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됨. 특히 젊은이들 건강을 생각하는 추세에 따라 고기 위주의 식생활이 변하고 있음
청소년들은 생일파티, 각종 행사에 반드시 이벤트를 하는데 몽골에는 현재 이벤트를 할만한 변변한 시설이 없고 주로 값비싼 호텔이나 레스토랑을 이용해야하는데 롯데리아는 이러한 궁핍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매체임 - 몽골에 가벼운 레스토랑 부족
광물 수출, 관광시즌의 외국인으로 인한 달러 수입으로 중상위권의 경제력은 풍부한 편이나 먹거리 시장의 수준이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 못하고 있는 상태임
특히 관광시즌에 몽골을 방문하는 많은 외국인들이 입맛에 맞지 않는 몽골 음식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어 오히려 한식당의 삼겹살, 돼지갈비 등을 먹어야 하는 상태임
-낮은 경쟁
맥도날드, 버거킹, KFC 등 어떠한 패스트푸드 브랜드가 단 1개도 진출하지 않은 곳으로 롯데리아가 진출하면 몽골 최초의 패스트푸드 브랜드로서의 시장 선점 및 확보 가능함
3.3 진입방식
몽골시장의 진입방법으로는 롯데리아가 100% 지분을 출자하는 단독투자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몽골의 외국인투자법에서도 외국인 투자자의 단독투자를 허용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몽골 국가현황과 진출방안』, 2010.10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합작투자에 적합한 파트너 업체의 부재
몽골에는 최근까지 글로벌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진출해있지 않았고, 현지에도 패스트푸드 업체가 전무하여 이러한 경험을 가진 파트너를 찾기가 어려움.
-낮은 진입장벽으로 쉽게 모방이 가능
합작파트너에게 자신의 기술이 이전되어 경쟁기업을 발생하여 미래에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음.(부메랑 효과)
초기의 운영방법은 울란바토르 시내에서 소수의 직영점을 몇 개를 운영하면서 생소한 롯데리아 브랜드의 홍보와 본사의 집중적인 관리를 통한 롯데리아 본연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며, 이 후에 충분히 역량을 확보했다고 판단되면 프랜차이즈 운영방식을 통하여 가맹자들을 모집하여 점차 점포수를 확대해나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IV. 몽골 시장 분석 및 전략
4.1 4P 분석
1. Place
1) 현지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재료 조달
롯데리아는 빵이나 야채, 육류 등의 재료를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직접 조달받아 운영하지만, 몽골의 경우에는 영토가 바다에 인접해있지 않으며, 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하여있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직접적인 원재료조달의 경우 먼 거리와 재료의 신선도유지의 면에서 위험부담이 크므로 되도록 재료를 몽골 내부나 인접국가에서 조달하는 것이 좋다.
몽골의 경우 주식인 육류는 국내에서 소비하고도 남을 양(매년 20만톤 이상 KOTRA, 『몽골 환경산업 시장조사 연구』, 2008.10
)이 생산되기에 가격이 매우 저렴한 것이 장점이며 그 종류도 소, 양, 염소 등 매우 다양하다. 반면 채소류는 척박한 기후환경으로 키우기 어렵기 때문에 국내 수요량의 50%이상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형편이다. 수입된 채소류는 대부분이 중국산으로, 저질의 상품들이 수입되는 경우가 많아 몽골국민들이 채소류의 품질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한다.
롯데리아는 몽골 진출이라는 초기단계 상, 몽골시장에 대한 정보와 경험, 노하우 등 거의 대부분의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직접 유통경로를 개척하기 보다는, 적절한 자질을 갖춘 현지기업과 제휴를 맺어 리스크를 줄이고, 학습의 기회로 삼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몽골의 경우 육류제품은 재료가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야채류의 경우 품질적인 면에서 믿을만한 조달처가 필요하다. 다양한 재료의 수급과 품질확보라는 면에서, 유통인프라가 갖추어진 현지의 유력한 대기업과의 제휴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몽골의 ‘NOMIN’그룹은 1992년 러시아에서 몽골이 분리 독립되는 해에 전자제품으로 시작해 현재는 몽골에서 제일 큰 백화점, 창고형 마트와, 미국, 일본 현지 마트 건설 등 여러 자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4000명 종업원을 가졌으며 한국의 당진시와 농산물 유통 협약 http://wnn.co.kr/index/index.asp?nid=dj135&aid=news&eid=cate&act=view&cate=15&idx=321763
을 맺고 있는 몽골의 대표적 유통 대기업으로, 롯데리아의 제휴 대상 기업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다.
또한 몽골인들의 다른 주식은 빵으로, 빵의 원료인 밀 또한 대부분이 수입되고 있으며, 중국산 저질원료의 문제로 국민들은 품질에 대해 민감한 상황이다. 따라서 몽골인들은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의 빵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유력한 현지 제빵업체와의 제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지의 유력한 베이커리업체에는 \'Talkh-chikher\'사가 있으며, 이 기업은 자체적으로 햄버거는 생산하지 않으며, 몽골 빵소비의 40%를 점유하는 대기업으로, 햄버거용 빵의 조달처로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 입지에 따른 다양한 방식의 점포 운영
몽골의 인구는 약 270만명으로, 그 중의 절반정도가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거주하고 있으며, 울란바토르의 면적은 약 4704.4㎢로 서울의 7배가 넘는 크기 네이버 지식백과
이다. 초기 진출단계에서의 점포들의 입지는 울란바토르 시 내부가 적합하며, 이 후 울란바토르 시 교외지역과 다른 도시로 점차 확장해 나가는 방법이 적합할 것이다.
울란바토르의 번화가 지역에는 최대 재래시장인 ‘나랑톨’ 지역과 몽골의 칭기스국제공항 주변, 몽골국영백화점 인근, 산사르 지역과 유명 관광지인 자이승 지역 등이 있으며 많은 몽골
-높은 소비성향
최근 대도시 거주자의 소득이 증대되고 있으며, 몽골인들의 실소득은 약 4천불이나 강한 소비 성향으로 인해 소비수준은 7천불 정도의 국민들과 유사함, 아울러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 생활한 몽골인들이 증가하여 이미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에 익숙한 소비자 층이 형성되고 있으나 이들을 충족할 만한 브랜드나 업체는 전무후무한 상태임
-음식의 다양성 및 음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함
몽골의 음식문화는 다양성이 없고, 한정된 메뉴로 인해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됨. 특히 젊은이들 건강을 생각하는 추세에 따라 고기 위주의 식생활이 변하고 있음
청소년들은 생일파티, 각종 행사에 반드시 이벤트를 하는데 몽골에는 현재 이벤트를 할만한 변변한 시설이 없고 주로 값비싼 호텔이나 레스토랑을 이용해야하는데 롯데리아는 이러한 궁핍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매체임 - 몽골에 가벼운 레스토랑 부족
광물 수출, 관광시즌의 외국인으로 인한 달러 수입으로 중상위권의 경제력은 풍부한 편이나 먹거리 시장의 수준이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 못하고 있는 상태임
특히 관광시즌에 몽골을 방문하는 많은 외국인들이 입맛에 맞지 않는 몽골 음식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어 오히려 한식당의 삼겹살, 돼지갈비 등을 먹어야 하는 상태임
-낮은 경쟁
맥도날드, 버거킹, KFC 등 어떠한 패스트푸드 브랜드가 단 1개도 진출하지 않은 곳으로 롯데리아가 진출하면 몽골 최초의 패스트푸드 브랜드로서의 시장 선점 및 확보 가능함
3.3 진입방식
몽골시장의 진입방법으로는 롯데리아가 100% 지분을 출자하는 단독투자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몽골의 외국인투자법에서도 외국인 투자자의 단독투자를 허용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몽골 국가현황과 진출방안』, 2010.10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합작투자에 적합한 파트너 업체의 부재
몽골에는 최근까지 글로벌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진출해있지 않았고, 현지에도 패스트푸드 업체가 전무하여 이러한 경험을 가진 파트너를 찾기가 어려움.
-낮은 진입장벽으로 쉽게 모방이 가능
합작파트너에게 자신의 기술이 이전되어 경쟁기업을 발생하여 미래에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음.(부메랑 효과)
초기의 운영방법은 울란바토르 시내에서 소수의 직영점을 몇 개를 운영하면서 생소한 롯데리아 브랜드의 홍보와 본사의 집중적인 관리를 통한 롯데리아 본연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며, 이 후에 충분히 역량을 확보했다고 판단되면 프랜차이즈 운영방식을 통하여 가맹자들을 모집하여 점차 점포수를 확대해나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IV. 몽골 시장 분석 및 전략
4.1 4P 분석
1. Place
1) 현지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재료 조달
롯데리아는 빵이나 야채, 육류 등의 재료를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직접 조달받아 운영하지만, 몽골의 경우에는 영토가 바다에 인접해있지 않으며, 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하여있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직접적인 원재료조달의 경우 먼 거리와 재료의 신선도유지의 면에서 위험부담이 크므로 되도록 재료를 몽골 내부나 인접국가에서 조달하는 것이 좋다.
몽골의 경우 주식인 육류는 국내에서 소비하고도 남을 양(매년 20만톤 이상 KOTRA, 『몽골 환경산업 시장조사 연구』, 2008.10
)이 생산되기에 가격이 매우 저렴한 것이 장점이며 그 종류도 소, 양, 염소 등 매우 다양하다. 반면 채소류는 척박한 기후환경으로 키우기 어렵기 때문에 국내 수요량의 50%이상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형편이다. 수입된 채소류는 대부분이 중국산으로, 저질의 상품들이 수입되는 경우가 많아 몽골국민들이 채소류의 품질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한다.
롯데리아는 몽골 진출이라는 초기단계 상, 몽골시장에 대한 정보와 경험, 노하우 등 거의 대부분의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직접 유통경로를 개척하기 보다는, 적절한 자질을 갖춘 현지기업과 제휴를 맺어 리스크를 줄이고, 학습의 기회로 삼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몽골의 경우 육류제품은 재료가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야채류의 경우 품질적인 면에서 믿을만한 조달처가 필요하다. 다양한 재료의 수급과 품질확보라는 면에서, 유통인프라가 갖추어진 현지의 유력한 대기업과의 제휴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몽골의 ‘NOMIN’그룹은 1992년 러시아에서 몽골이 분리 독립되는 해에 전자제품으로 시작해 현재는 몽골에서 제일 큰 백화점, 창고형 마트와, 미국, 일본 현지 마트 건설 등 여러 자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4000명 종업원을 가졌으며 한국의 당진시와 농산물 유통 협약 http://wnn.co.kr/index/index.asp?nid=dj135&aid=news&eid=cate&act=view&cate=15&idx=321763
을 맺고 있는 몽골의 대표적 유통 대기업으로, 롯데리아의 제휴 대상 기업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다.
또한 몽골인들의 다른 주식은 빵으로, 빵의 원료인 밀 또한 대부분이 수입되고 있으며, 중국산 저질원료의 문제로 국민들은 품질에 대해 민감한 상황이다. 따라서 몽골인들은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의 빵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유력한 현지 제빵업체와의 제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지의 유력한 베이커리업체에는 \'Talkh-chikher\'사가 있으며, 이 기업은 자체적으로 햄버거는 생산하지 않으며, 몽골 빵소비의 40%를 점유하는 대기업으로, 햄버거용 빵의 조달처로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 입지에 따른 다양한 방식의 점포 운영
몽골의 인구는 약 270만명으로, 그 중의 절반정도가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거주하고 있으며, 울란바토르의 면적은 약 4704.4㎢로 서울의 7배가 넘는 크기 네이버 지식백과
이다. 초기 진출단계에서의 점포들의 입지는 울란바토르 시 내부가 적합하며, 이 후 울란바토르 시 교외지역과 다른 도시로 점차 확장해 나가는 방법이 적합할 것이다.
울란바토르의 번화가 지역에는 최대 재래시장인 ‘나랑톨’ 지역과 몽골의 칭기스국제공항 주변, 몽골국영백화점 인근, 산사르 지역과 유명 관광지인 자이승 지역 등이 있으며 많은 몽골
추천자료
[마케팅관리론, 마케팅전략론] 롯데리아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
[비즈니스/경제] KFC마케팅전략/선정이유/시장환경분석/자사분석/KFC 경영전략과 마케팅/경쟁...
KFC마케팅전략/선정이유/시장환경분석/자사분석/KFC 경영전략과 마케팅/경쟁사(롯데리아,맥도...
-라네즈옴므분석-아모레퍼시픽,남성화장품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비타민워터 - Vitamin_Water,비타민워터,비타민음료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국제경영_월마트,까르푸,한국시장진출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
나이키,나이키전략,나이키마케팅,나이키분석,나이키시장점유율,나이키기업마케팅,나이키광고...
동서식품 ‘카누’,국내커피시장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하이네켄-하이네켄글로벌전략,하이네켄마케팅전략,맥주시장
동풍자동차-DFM은 세계시장에서의 자동차 산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시장 세분화] 시장 세분화 정의,글로벌 마케팅사례,표적시장선정,시장별 포지셔닝,해외시장 ...
【삼성전자 (三星電子 / Samsung Electronics) 마케팅 성공사례】 - 삼성전자 기업분석과 글...
글로벌제품 개발,해외시장에서의 마케팅믹스,P&G의 일본 진출,P&G 마케팅,P&G경영
스마트폰 산업분석,삼성 애플의 전략,삼성 애플 스마트폰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