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즉흥연주 음악치료
2. 즉흥연주와 분석의 의의
Ⅱ. 즉흥연주 분석
가. 맞추기 기법
나. 기반잡기 기법
다. 대상자:
라. 사용된 악기:
마. 분석
바. self - reflection
III. 그룹즉흥연주 및 주제
가. 평가 및 척도 분석
나. 결론
1. 즉흥연주 음악치료
2. 즉흥연주와 분석의 의의
Ⅱ. 즉흥연주 분석
가. 맞추기 기법
나. 기반잡기 기법
다. 대상자:
라. 사용된 악기:
마. 분석
바. self - reflection
III. 그룹즉흥연주 및 주제
가. 평가 및 척도 분석
나. 결론
본문내용
고 있다.
특징
3. 기여
통합
3. 통합된
변화성
2. 안정적인
긴장도
2. 평온한
조화성
2. 조화된
자율성
3. 동료
06:31 - 08:00
모든악기
연주의 시작부 보다는 흥미가 많이 떨어진 듯 하고 템포가 느슨해지고 리듬악기의 연주가 단순화 되었다. 점점 소강상태에 접어들고 리코더가 마지막으로 연주를 하고 연주가 종결 되었다.
특징
3. 기여
통합
3. 통합된
변화성
2. 안정정인
긴장도
2. 평온한
조화성
2. 조화된
자율성
3. 동료
바. 결론
(1) 주제가 가장 행복했던 휴가로 떠나보는 연주였던 것만큼 할 수 있는 연주는 다 해본 것 같아서 멋진 연주였던 것 같다.
(2) 같이 연주 할 때는 몰랐는데 연주를 분석하며 영상을 계속 보니까 평소 알고 있던 성격들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는데 서로에게 주고 싶은 악기를 쥐어주고 연주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았다.
(3) 자신의 악기만 연주하기보다 즉흥 연주인 만큼 주변의 그룹원들의 연주소리도 들어가며 박자도 맞춰보고 셈여림도 맞춰 보면 더욱 재미있는 연주가 될 수 있었는데 항상 뭔가 조금 아쉽다.
사. Self Reflection
즉흥연주를 분석한다는 것, 더군다나 그룹 즉흥연주를 분석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작업이었다. 특히 분석도구를 제대로 사용했는지의 여부와 시간대별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찾아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예비 음악치료사로서 그룹 즉흥 연주를 할 때 음악적 인건 물론이고 서로의 연주를 청취를 하며 어떠한 즉흥적인 것을 만들고 연주가 절정에 다다랐을 때 거기서 나오는 카타르시스를 경험해보고 그 경험이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 느껴 보고 싶었지만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그래도 소중한 시간이었다. 과제를 준비하면서 즉흥연주에 사용되는 기술들부터 방법 그리고 기술의 세팅들까지 치료사의 자질이 얼마나 중요한지 클라이언트와 치료사가 만날 때 더 많이 준비가 되어있을수록 실제적 소통이 시작됐을 때 치료사는 더욱 클라이언트를 맞는 마음이 편안해지고 자신있는 치료사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정유진 (2008). 그룹을 위한 음악치료 즉흥연주 : 필수적인 리더쉽 자질.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Wigram, T. (2004). Improvisation: Methods and technique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educatorsandstudents, 김귀현 역 (2006).즉흥연주: 음악치료 임상전문가, 교육자 및 학생들을 위한 치료 방법과 기술. 서울: 학지사.
Bruscia, K. (1987). Improvisational models of music therapy.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Bruscia,K.E.(1998). Definingmusictherapy, 최병철 역(2004). 음악치료. 서울: 학지사.
Bruscia,K.E.(1998). Thedynamicsofmusicpsychotherapy, 김영신, 최병철 역(1998). 음악심리치료의 역동성. 서울: 학지사.
특징
3. 기여
통합
3. 통합된
변화성
2. 안정적인
긴장도
2. 평온한
조화성
2. 조화된
자율성
3. 동료
06:31 - 08:00
모든악기
연주의 시작부 보다는 흥미가 많이 떨어진 듯 하고 템포가 느슨해지고 리듬악기의 연주가 단순화 되었다. 점점 소강상태에 접어들고 리코더가 마지막으로 연주를 하고 연주가 종결 되었다.
특징
3. 기여
통합
3. 통합된
변화성
2. 안정정인
긴장도
2. 평온한
조화성
2. 조화된
자율성
3. 동료
바. 결론
(1) 주제가 가장 행복했던 휴가로 떠나보는 연주였던 것만큼 할 수 있는 연주는 다 해본 것 같아서 멋진 연주였던 것 같다.
(2) 같이 연주 할 때는 몰랐는데 연주를 분석하며 영상을 계속 보니까 평소 알고 있던 성격들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는데 서로에게 주고 싶은 악기를 쥐어주고 연주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았다.
(3) 자신의 악기만 연주하기보다 즉흥 연주인 만큼 주변의 그룹원들의 연주소리도 들어가며 박자도 맞춰보고 셈여림도 맞춰 보면 더욱 재미있는 연주가 될 수 있었는데 항상 뭔가 조금 아쉽다.
사. Self Reflection
즉흥연주를 분석한다는 것, 더군다나 그룹 즉흥연주를 분석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작업이었다. 특히 분석도구를 제대로 사용했는지의 여부와 시간대별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찾아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예비 음악치료사로서 그룹 즉흥 연주를 할 때 음악적 인건 물론이고 서로의 연주를 청취를 하며 어떠한 즉흥적인 것을 만들고 연주가 절정에 다다랐을 때 거기서 나오는 카타르시스를 경험해보고 그 경험이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 느껴 보고 싶었지만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그래도 소중한 시간이었다. 과제를 준비하면서 즉흥연주에 사용되는 기술들부터 방법 그리고 기술의 세팅들까지 치료사의 자질이 얼마나 중요한지 클라이언트와 치료사가 만날 때 더 많이 준비가 되어있을수록 실제적 소통이 시작됐을 때 치료사는 더욱 클라이언트를 맞는 마음이 편안해지고 자신있는 치료사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정유진 (2008). 그룹을 위한 음악치료 즉흥연주 : 필수적인 리더쉽 자질.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Wigram, T. (2004). Improvisation: Methods and technique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educatorsandstudents, 김귀현 역 (2006).즉흥연주: 음악치료 임상전문가, 교육자 및 학생들을 위한 치료 방법과 기술. 서울: 학지사.
Bruscia, K. (1987). Improvisational models of music therapy.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Bruscia,K.E.(1998). Definingmusictherapy, 최병철 역(2004). 음악치료. 서울: 학지사.
Bruscia,K.E.(1998). Thedynamicsofmusicpsychotherapy, 김영신, 최병철 역(1998). 음악심리치료의 역동성. 서울: 학지사.
추천자료
음악치료의 총체적분석과 음악치료 사례들
[음악치료]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의 목표, 음악치료의 필요성, 음악치료의 성립배경과 역...
[음악치료][음악치료프로그램][음악치료방법][음악치료기법][음악치료사례][음악치료 대상]음...
[교육학]음악치료에 대한 고찰과 음악치료의 실제 및 음악치료 사례분석(A+리포트)
[특수교육] 음악치료 사례 분석
[음악치료][치료음악][대중음악][음악치료방법][음악치료평가]음악치료 개념, 음악치료 중요...
[음악치료][음악치료 방법][음악치료 전략]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의 형태, 음악치료의 목...
★평가우수자료★[정신분석 음악치료]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배경, 음악치료 특성, 정신분석 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