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재 사회에서의 사회복지사의 법적 지위
2) 사회복지사의 의무
3) 참고지료 및 출처
2) 사회복지사의 의무
3) 참고지료 및 출처
본문내용
그렇다면 사회복지사로서 지녀야할 책임과의무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선, 국가기관과 민간기관을 막론하고 사뢰복지사는 사회복지사업법상의 의무를 갖게되며, 대표적으로 ‘복지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은 그 업무를 행함에 있어서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위하여 차별없이 최대로 봉사하여야 한다 (사회복지사업법 제5조)’는 내용인 최대봉사의 원칙, ‘사회복지사업 또는 사회복지업무에 종사하였거나 종사하고 있는 자는 그 업무수행의 과정에서 알게 된 다른 사람의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될 의무가 있다.(사회복지사업법 제47조)’는 내용의 비밀누설금지의 의무가 있다.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면 민간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책임은 새로이 개정된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2001년 12월 15일 공포한 사회복지사윤리강령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의무인 선서의무, 성실의무 등과 유사하게 명시되어있다.
또한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국가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고, 본인이 지닌 법적 권한과 지위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 마땅히 사회복지사를 법적으로 제재해야 할 것이다.
3) 참고자료 및 출처
사회복지법제론, 전종배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면 민간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책임은 새로이 개정된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2001년 12월 15일 공포한 사회복지사윤리강령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의무인 선서의무, 성실의무 등과 유사하게 명시되어있다.
또한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국가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고, 본인이 지닌 법적 권한과 지위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 마땅히 사회복지사를 법적으로 제재해야 할 것이다.
3) 참고자료 및 출처
사회복지법제론, 전종배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독교 영성적 접근가능성에 대한 탐색
[의료보장제도] 의료사회사업과 사회보장 및 의료보장제도와 의료급여법
자유와 평등의 개념 하에 사회복지정책의 갈등구조를 논하시고 본인의 생각을 작성.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공공기관사회복지사와 민간기관사회복지사의 비교와 전문성향상방안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발달
[연금제도]양성평등한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의 개선방향
고등교육(대학교육) 정의, 발전, 고등교육(대학교육) 시장개방, 기회불평등, 고등교육(대학교...
사회복지사의 법적지위와 의무에 대하여 본인의 생각을 반영하여 논의해 봅시다
[2019 자원봉사론][여성자원봉사] 각자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해 보고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