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학 = 가축영양학 = 소가 사료를 섭취할 경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소화 및 흡수 과정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학 = 가축영양학 = 소가 사료를 섭취할 경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소화 및 흡수 과정에 관하여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의 위장관 구조

2. 소의 영양분 소화 과정

1) 탄수화물의 소화 과정

2) 단백질의 소화 과정

3) 지방의 소화 과정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에 의해 수소첨가 현상이 일어나 불포화지방산의 포화 현상이 나타나고 미생물의 양에 비교해 포화지방산이 많아지면 미생물이 불포화지방산을 이용한 수소첨가 현상을 억제하게 되어 반대로 불포화지방산이 축적되어 발효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수소첨가는 지방산의 불포화도 및 사료의 급여 획수 및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다중 불포화지방산인 PUFAs(polyunsaturated fatty acid)가 반추위 안에서 수소를 첨가하는 정도는 60~90% 정도이다. 지방산에 칼슘염이 붙어 있는 형태로 소에게 급여가 되는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hydrogenation은 약 30~40%로 낮아진다. 기다란 지방산의 구조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의 generation time이 다른 미생물에 의해 길며 그 수가 매우 적어서 지방산은 반추위에서 분해되지도 않아 잘 죽지 않는다. 이때 사슬 길이가 긴 지방산이 더욱 소화가 잘되지만, 불포화도가 지방의 소화에 미치는 영향에 비하면 미미하다. 지방의 불포화도가 클수록 소화의 효율이 높아지고 c16:c18의 비율이 지방산의 요오드 가보다 소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지방의 불포화도가 증가하면 지방산의 소화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반추위에서 일어나는 발효 현상은 억제될 가능성이 있다.
그다음으로 반추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지방의 양은 사료의 92%이며 반추위에서 8%의 지방이 손실된다. 또한, 반추위의 미생물에 의해 지방산의 소화가 이루어지기보다는 지방산이 합성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합성되는 지방은 대부분 인지질의 형태로 반추위에서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지방산의 85~90%는 유리지방산의 형태이며 나머지는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인지질이다. 또한, 지방산은 소수성으로 다른 입자들과 결합하여 반추위에서 다른 장기로 이동한다. 또 소장으로 중성지방이 이동해도 담즙과 췌장에서 지방분해효소가 분비돼서 지방이 영양분으로 섭취되어야 한다. 너무 많은 지방산의 유입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지방분해 효소에 의해 충분히 분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반추위에서 하부 장기로 지방산이 이동할 때 보통 단일불포화지방산의 형태로 이동하고 이들이 소장에서 녹아 유화되면서 지방구가 미셸의 구조를 형성해 흡수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출처 및 참고문헌
한우 - 반추가축 영양생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정기용,
2. 한국가축사양표준_젖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017, 발간번호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