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들의 율법치중
예수의 사명의 기초를 이루는 종말론의 강조와 랍비들의 율법치중, 이 두 경향 사이에는 커다란 격차가 있다는 것을 꼭 염두해 두어야 한다. 예수는 자기의 영감을 기다리며 성령의 힘으로 앞을 내다보지만, 랍비들은 지나간 일에 치중하며 회상적이다.
11. 결론
예수 어록의 형식이나, 때로는 그 내용이 당시 랍비(동시대의 학자들)의 것과 매우 근사하지만, 강조를 어디에 두느냐 하는 점에서 기본적인 관점이 랍비들과 차이가 있다.
첫째로 예수는 성서를 비판하는데 조금도 주저하지 않았다. 또한 하나님의 말씀을 그 자체의 최선의 말씀과 관련시켜 해석하였다.
둘째로 예수는 자기의 사명 속에 성서의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적하셨다. 하나님의 통치는 임박했으며 그의 역사로 인하여 이미 시작되었다고 선언하였다.
많은 현대 신학자들은 예수가 예언을 완성하였다는 것을 의심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예수가 성취치 않았다는 것을 증명키 어려운 것이다. 그 증명의 곤란은 변호자에게 보다 그 전통을 공격하는 사람들에게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어떤 형식이든 새로운 계약에 관한 관념이 예수께로부터 얻어진다면 예언의 성취에 대한 그의 의식은 증명되는 것이다.
예수의 사명의 기초를 이루는 종말론의 강조와 랍비들의 율법치중, 이 두 경향 사이에는 커다란 격차가 있다는 것을 꼭 염두해 두어야 한다. 예수는 자기의 영감을 기다리며 성령의 힘으로 앞을 내다보지만, 랍비들은 지나간 일에 치중하며 회상적이다.
11. 결론
예수 어록의 형식이나, 때로는 그 내용이 당시 랍비(동시대의 학자들)의 것과 매우 근사하지만, 강조를 어디에 두느냐 하는 점에서 기본적인 관점이 랍비들과 차이가 있다.
첫째로 예수는 성서를 비판하는데 조금도 주저하지 않았다. 또한 하나님의 말씀을 그 자체의 최선의 말씀과 관련시켜 해석하였다.
둘째로 예수는 자기의 사명 속에 성서의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적하셨다. 하나님의 통치는 임박했으며 그의 역사로 인하여 이미 시작되었다고 선언하였다.
많은 현대 신학자들은 예수가 예언을 완성하였다는 것을 의심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예수가 성취치 않았다는 것을 증명키 어려운 것이다. 그 증명의 곤란은 변호자에게 보다 그 전통을 공격하는 사람들에게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어떤 형식이든 새로운 계약에 관한 관념이 예수께로부터 얻어진다면 예언의 성취에 대한 그의 의식은 증명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