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기업경영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코 기업경영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업소개
1. 연혁

Ⅱ. 경제분석
1.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2. 금리정책
3. 수출입물가지수
4. 환율
5. 원자재 가격 동향

Ⅲ. 산업분석
1. 산업개요분석
1) 산업의 특성
2) 산업의 성장성
3) 경기민감도
4) 세계시장동향
5) 국내시장동향
2. 산업구조분석
1) 기존 경쟁사의 경쟁상태
2) 신규회사의 진입위험
3) 공급자와의 교섭력
4) 구매자와의 교섭력
5) 대체품
3.산업분석 결론

IV. 영업분석
1. 사업구성
2. 시장점유율
3. 내부경쟁력 원천
4. SWOT 분석
5. 위험 관리

Ⅴ. 재무분석
1. 표준대차대조표
2. 표준손익계산서
3. 안정성지표
4. 활동성지표
5. 수익성지표
6. 재무분석 결론

Ⅵ. 경영관리분석
1. 지배구조
2. 경영능력 및 성향

Ⅶ. 결론

본문내용

0.1200694225
0.1187799402
0.0840681261
0.0566866306
순영업자산회전율
1.1008238403
0.8685746463
0.7698945628
0.8345763654
0.764492393
영업이익률(ROA)[1]
0.1583779924
0.104289256
0.09144803
0.070161271
0.043336498
스프레드
0.088492572
0.662604123
0.081639604
0.060227803
0.104193076
재무레버리지이득[2]
0.086745157
0.660147004
0.101448251
0.077038836
0.125080388
ROE=[1]+[2]
0.245123
0.764436
0.192896
0.1472
0.168417
6. 재무분석 결론
성장성
- 포스코와 현대제철 모두 비슷한 모습을 보이며 들죽날죽한 모습을 보인다. 수출이 많은 만큼 세계적 경기에 따라 성장과 하락을 보이고 있다.
안정성
- 포스코는 일정하게 낮은 부채비율로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에서 포스코가 안정적이면서 높은 수치를 보인다. 현대제철도 일정하지만 조금 높은 수치를 보이기 때문에 안정성에서는 포스코가 우세한 모습을 보인다.
수익성
- 순이익률 에서는 현대제철이 조금 앞서고 ROE, ROA를 보면 같은 하락이지만 포스코는 서서히 하락하는 반면 현대제철은 계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이다.
Ⅵ. 경영관리분석
1. 지배구조
1) 지분구조
포스코는 사회기반이되는 가치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인류사회에 공헌한다는 경영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강하고 좋은 글로벌 우량기업을 지향한다. 건전한 기업지배구조의 구축은 모든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신회를 확보하고 성실한 경영활동을 하는 초석이 되며, 글로벌 우량기업의 이상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현재의 지배구조를 구축하였다.
포스코는 1997년 3월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한 이후, 이사회와 전문 경영진간의 견제와 균형이 조화를 이루는 선진형 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포스코의 지분구조이다. 주주의 권익 강화와 주주 이익 추구를 귀해 이사선임에 있어 소액주주 권리 강화를 위한 집중투표제를 도입하였고 또한 주주의 의결권 행사편의를 위해 서면투표제를 도입하였다.
2) 의사결정 과정
포스코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위해 이사회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사회의 구성은 사외이사 7인, 사내이사 5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CEO와 이사회 의장이 분리 되어있다. 사외이사 중 이사회 의장을 선임한다. 객관적이고 투명한 사회이사 선임 절차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CEO 후보 추천 위원회를 운영하여 투명하고 독립적인 CEO선임을 위해 정관에 관련규정을 신설하였고 사외이사 중심의 전문위원회 활성화로 효율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사회 산하 5개 전문위원회 위원장이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사회의 주요 기능은 첫 번째로 관련법률 및 금융기관 요구에 의한 부의사항을 심의, 의결하는 기능을 한다. 주주총회 소집 및 제출 의안, 신주발행, 이익소각, 자사주 매입 및 처분과 사채발행, 자금차입, 고정자산 담보제공 등에 대해 의결한다. 두 번째 기능은 핵심 경영전략 수립에 참여하고 경영성과를 모니터링 한다. 구체적으로 경영전략 및 연도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토론과 중요한 사내외 투자계획 및 구조조정계획 심의하고 분기별 경영실적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세 번째로는 경영진의 선임 및 평가, 육성, 보상에 관한 업무를 한다. 사내이사 후보 추천하고 사내이사 중 대표이사 선임 및 사내이사 직위부여하는 일을 하며 경영진 평가보상계획, 사내이사 및 비등기임원의 보수, 퇴직금 책정하는 일을 한다. 마지막으로 이사회 및 전문위원회 운영기준을 설정하는 일을 한다. 또한 이사회 의결사항을 회차별로 홈페이지에도 공시를 하고 있다.
3) 내부통제 장치
포스코는 감사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힘쓴다. 감사위원회의 독립적인 운영을 위해 감사위원장 및 위원은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있고 이는 주총에서 별도 안건으로 상정하여 선임되어 독립적인 활동을 수행한다. 또한 객관적인 기준 및 절차를 통한 업무수행을 한다. 그 절차는 회의소집, 안건의결, 의안제안, 지원부서의 절차를 통해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 회의 소집 : 분기 1회 정기 회의 및 필요시 임시회의
- 안건 의결 : 재적위원 과반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
- 의안 제안 : 위원장, 대표이사 또는 각 위원이 발의
- 지원 부서 :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내부감사부서 활용 감사위원회운영규정
그리고 독립적인 외부감사인을 선정하여 감사를 하게 된다.
2. 경영능력 및 성향
포스코의 CEO는 정준양 회장이다. 과제를 하던 중 정준양 회장이 사의를 표명하였지만 아직 차기 CEO가 발굴되기 않았기 때문에 정준양 회장의 경영능력을 평가하겠다.
1) 경영능력
학력
1966 서울사대부속고등학교
1975 서울대학교 공업교육 학사
1999 순천대학교 금속공학 석사
주요활동
2004.03~현재 국제철강협회 기술분과위원회 정회원
2006.03~현재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타 이사
2007.10~현재 전경련 한호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2008.02~현재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2008.10~현재 대한금속재료학회 회장
수상경력
1992.10 대통령 표창(건설유공)
1994.04 대한금속학회 기술상
2007.05 금탑산업훈장(국가경제발전 유공 - FINEX공장 준공)
2008 제 8호 명예 광양시민상
2009 매경이코노미 선정 올해의 ceo
2011 제 9회 가장 존경받는 기업인
2011 대한민국 ceo 그랑프리 제조업부문
2012 한국경제를 움직이는 인물 상생경영부문
정준양 회장은 2009년 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 회장에 선임이 되었고 현재까지 회장직을 맡고 있다. 정준양 회장은 2011년까지는 포스코의 성장과 함께 그의 경영능력이 우리나라를 넘어서 아시아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홍콩 금융전문지 ‘파이낸스 아시아(Finance Asia)’가 선정하는 한국의 최우수 경영기업에 2년 연속 선정되었
  • 가격2,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