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일반적 이해
푸는 말
1.생명의 기원
2.인간 이해
3.탄생
(1)산육례
(2)삼신할머니
(3)태교
(4)금줄
4.성장 과정
(1)관례
(2)계례
5.결혼과 여성관
(1)결혼
(2)여성관
6.고난이해
7.죽음과 내세적 관계
(1)상례
(2)제례
나가는 말
참고 문헌
푸는 말
1.생명의 기원
2.인간 이해
3.탄생
(1)산육례
(2)삼신할머니
(3)태교
(4)금줄
4.성장 과정
(1)관례
(2)계례
5.결혼과 여성관
(1)결혼
(2)여성관
6.고난이해
7.죽음과 내세적 관계
(1)상례
(2)제례
나가는 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인이 문 밖 좌편에서 빈에게 두 번 절한다.
⑦ 賓答禮(빈답례) - 빈이 주인에게 답례로 한 번 절한다.
⑧ 主人揖贊者(주인읍찬자) - 주인이 찬자에게 읍을 한다.
⑨ 贊者報揖(찬자보읍) - 찬자가 주인에게 보읍한다.
⑩ 主人揖而行 贊賓從之(주인읍이행 찬빈종지) - 주인이 읍을 하고 찬자와 빈을 인도해 대문 안으로 들어간다.
⑪ 分庭而行(분정이행) - 마당에서 갈라진다.
⑫ 主人至 階下 西向立(주인지조계하 서향립) - 주인은 동쪽 계단 아래에 이르러 서쪽을 보고 선다.
⑬ 賓至 西階下 東向立(빈지 서계하 동향립) - 빈은 서쪽 계단 아래에서 동쪽을 향해 선다.
⑭ 賓主揖讓(빈주읍양) - 주인과 빈이 읍을 하며 먼저 오르기를 사양한다.
⑮ 主人由 階先升 西向(주인유조계선승 서향) - 주인이 먼저 계단에 올라가 서쪽을 향해 선다.
賓由西階升 東向(빈유서계승 동향) - 빈이 계단으로 따라 올라가 동쪽을 향해 선다.
贊者 洗升立房中 西向(찬자관세승립방중 서향) - 찬자는 손을 씻고 올라와 방안에서 서쪽을 향해 선다.
賓者入房中引冠者出於席右端南向席(빈자입방중인관자출어석우단남향석) - 인도자는 방에 들어가 관례자를 데리고 나와 자리 우측에 남쪽을 향해서 선다.
초가례(始加禮) 의식
① 贊者 取櫛巾簞 奠于 南端(찬자 취즐건단궤전우 남단) - 찬자는 빗과 망건 상자를 가지고 나와 남쪽에 꿇어앉는다.
② 興立於冠者之左(흥립어관자지좌) - 일어나 관례자 왼쪽에 선다.
③ 賓揖將冠者卽席西向 (빈읍장관자즉석서향궤) - 빈이 관례자에게 읍을 하고 관자는 자리에서 서쪽을 향해 꿇어앉는다.
④ 贊者卽席 (찬자즉석궤) - 찬자는 관자의 뒤쪽에 꿇어앉는다.
⑤ 爲之合 櫛 施網巾(위지합 즐계시망건) - 찬자는 머리를 빗겨 상투를 틀고 망건을 씌운다.
⑥ 賓降 (빈강 관) - 빈이 손을 씻기 위해 계단을 내려간다.
⑦ 主人隨降 立 階下(주인수강 입조계하) - 주인이 따라 내려가 계단 아래에 선다.
⑧ 賓 畢(빈관필) - 빈이 손을 씻는다.
⑨ 主人揖升(주인읍승) - 주인이 읍을 하고 계단을 오르도록 한다.
⑩ 執事以冠巾盤進(집사이관건반진) - 집사자가 관건을 바쳐든 소반을 들고 간다(마당 아래).
賓西階降一等受之(빈서계강일등수지) - 빈이 서쪽 계단으로 한 발자국 내려가 받는다.
詣將冠者前(예장관자전) - 빈은 관자 앞으로 나간다.
⑬ 讀祝辭(독축사) - 축사를 읽는다.
⑭ 加冠(궤가관) - 꿇어앉아 관을 씌운다.
⑮ 贊者代簪之(찬자대잠지) - 찬자는 도와준다.
賓興復位揖冠者適房(빈흥부위읍관자적방) - 빈이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가 관자에게 읍을 한다.
관자는 다시 방으로 들어간다.
服深衣(복심의) - 심의를 입는다.
加大帶(가대대) - 대대를 맨다.
衲衣(납의) - 신발을 신는다.
出房南面 立席右(출방남면 입석우) - 관자는 다시 방을 나와 우측단에서 남쪽을 향해 선다.
재가례(再加禮) 의식
① 賓揖 冠者卽席 (빈읍 관자즉석궤) - 빈이 읍을 하면 관자는 그 자리에 꿇어앉는다.
② 賓降 冠(빈강 관) - 빈이 손을 씻기 위해 내려간다.
③ 主人隨降揖升如初(주인수강읍승여초) - 주인이 따라 내려가 읍하고 올라오는 것은 초가례와 같다.
④ 執事以盤盛笠子進(집사이반성립자진) - 집사자는 관반을 올린다.
⑤ 賓降二等受之(빈강이등수지) - 빈이 두 발자국 내려가 받는다.
⑥ 詣冠者前(예관자전) - 빈이 관자 앞으로 나간다.
⑦ 讀祝辭(독축사) - 축사를 읽는다.
⑧ 贊者撤冠(찬자철관) - 찬자는 관을 벗긴다.
⑨ 賓 加帽(빈궤가모) - 빈이 꿇어앉아 관을 씌운다.
⑩ 興復位 業將冠者適房(흥복이 업장관자적방) - 빈이 일어나 제자리에 가서 읍하면 관자는 방으로 들어간다.
⑪ 釋深衣(석심의) - 심의를 벗는다.
⑫ 服靑道袍(복청도포) - 청도포를 입힌다.
⑬ 結帶(결대) - 도포끈을 맨다.
⑭ 唐鞋(당혜) - 당혜를 신는다.
⑮ 出房南西立于席右(출방남서립우석우) - 관자는 다시 방을 나와 우측 자리에 남쪽을 향해 선다.
삼가례(三加禮) 의식
① 賓揖冠者卽席 (빈읍관자즉석궤) - 빈이 읍하면 관자는 그 자리에 꿇어앉는다.
② 賓降 (빈강관) - 빈이 손을 씻기 위해 계단을 내려간다.
③ 主人隨降揖升如初(주인수강읍수여초) - 주인이 따라 내려가 읍하고 올라오는 것은 초가례와 같다.
④ 執事以 頭進(집사이복두진) - 집사자는 관반을 올린다.
⑤ 賓降沒階受之(빈강몰계수지) - 빈이 계단을 모두 내려가서 받는다.
⑥ 禮冠者前(예관자전) - 빈은 관자 앞으로 나아간다.
⑦ 讀祝辭(독축사) - 축사를 읽는다.
⑧ 贊者撤笠子(찬자철립자) - 찬자는 갓을 벗긴다.
⑨ 賓 加 頭(빈궤가복두) - 빈은 꿇어앉아 관을 씌운다.
⑩ 興復位揖冠者適房(흥복위읍관자적방) - 빈이 일어나 제자리에 가서 읍하면 관자는 방으로 들어간다.
⑪ 釋靑道袍 服欄衫(석청도포 복란삼) - 청도포를 벗기고 난삼을 입는다.
⑫ 鈴帶(영대) - 영대를 맨다.
⑬ 靴(화) - 신발을 신는다.
⑭ 執事收去梳子入于房(집사수거소자입우방) - 집사자는 빗을 가지고 방으로 간다.
⑮ 冠者出房南面立(관자출방남면립) - 관자는 방에서 나와 남쪽을 향해 선다.
내초례(乃醮禮) 의식
① 賓者改席于堂中小西南向(빈자개석우당중소서남향) - 집사자는 마루의 자리를 조금 서쪽으로 남향하여 자리를 고친다.
② 贊者小房酌酒出立于冠者之主(찬자소방작주출립우관자지주) - 찬자는 방안에 술상을 가지고 나와 관자 옆에 선다(자리에 술상을 놓고.)
③ 賓揖冠者就席(빈읍관자취석) - 빈이 관자에게 읍을 하면 관자는 자리에 나아간다.
④ 贊者奉酌 授賓(찬자봉작 수빈) - 찬자는 잔에 술을 부어 빈에게 준다.
⑤ 賓受之 北向 讀祝辭(빈수지 북향 독축사) - 빈이 잔을 받아놓고 북쪽을 향해 축사를 읽는다.
⑥ 冠者 再拜 受盞(관자 재배 수잔) - 관자는 재배하고 잔을 받는다.
⑦ 賓復位 東向(빈복위 동향) - 빈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동쪽을 향해 선다.
⑧ 答拜(답배) - 답배를 한다.
⑨ 冠者進席前 (관자진석전궤) - 관자는 술상 앞에 나아가 꿇어앉는다.
⑩ 祭酒(제주) - 술을 조금 퇴주잔에 따른다.
⑪ 興就席 西端 (흥취석 서단궤) - 술잔을 들고 일어나 자리 서쪽 끝에 가서 꿇어앉는다.
⑫ 酒(
⑦ 賓答禮(빈답례) - 빈이 주인에게 답례로 한 번 절한다.
⑧ 主人揖贊者(주인읍찬자) - 주인이 찬자에게 읍을 한다.
⑨ 贊者報揖(찬자보읍) - 찬자가 주인에게 보읍한다.
⑩ 主人揖而行 贊賓從之(주인읍이행 찬빈종지) - 주인이 읍을 하고 찬자와 빈을 인도해 대문 안으로 들어간다.
⑪ 分庭而行(분정이행) - 마당에서 갈라진다.
⑫ 主人至 階下 西向立(주인지조계하 서향립) - 주인은 동쪽 계단 아래에 이르러 서쪽을 보고 선다.
⑬ 賓至 西階下 東向立(빈지 서계하 동향립) - 빈은 서쪽 계단 아래에서 동쪽을 향해 선다.
⑭ 賓主揖讓(빈주읍양) - 주인과 빈이 읍을 하며 먼저 오르기를 사양한다.
⑮ 主人由 階先升 西向(주인유조계선승 서향) - 주인이 먼저 계단에 올라가 서쪽을 향해 선다.
賓由西階升 東向(빈유서계승 동향) - 빈이 계단으로 따라 올라가 동쪽을 향해 선다.
贊者 洗升立房中 西向(찬자관세승립방중 서향) - 찬자는 손을 씻고 올라와 방안에서 서쪽을 향해 선다.
賓者入房中引冠者出於席右端南向席(빈자입방중인관자출어석우단남향석) - 인도자는 방에 들어가 관례자를 데리고 나와 자리 우측에 남쪽을 향해서 선다.
초가례(始加禮) 의식
① 贊者 取櫛巾簞 奠于 南端(찬자 취즐건단궤전우 남단) - 찬자는 빗과 망건 상자를 가지고 나와 남쪽에 꿇어앉는다.
② 興立於冠者之左(흥립어관자지좌) - 일어나 관례자 왼쪽에 선다.
③ 賓揖將冠者卽席西向 (빈읍장관자즉석서향궤) - 빈이 관례자에게 읍을 하고 관자는 자리에서 서쪽을 향해 꿇어앉는다.
④ 贊者卽席 (찬자즉석궤) - 찬자는 관자의 뒤쪽에 꿇어앉는다.
⑤ 爲之合 櫛 施網巾(위지합 즐계시망건) - 찬자는 머리를 빗겨 상투를 틀고 망건을 씌운다.
⑥ 賓降 (빈강 관) - 빈이 손을 씻기 위해 계단을 내려간다.
⑦ 主人隨降 立 階下(주인수강 입조계하) - 주인이 따라 내려가 계단 아래에 선다.
⑧ 賓 畢(빈관필) - 빈이 손을 씻는다.
⑨ 主人揖升(주인읍승) - 주인이 읍을 하고 계단을 오르도록 한다.
⑩ 執事以冠巾盤進(집사이관건반진) - 집사자가 관건을 바쳐든 소반을 들고 간다(마당 아래).
賓西階降一等受之(빈서계강일등수지) - 빈이 서쪽 계단으로 한 발자국 내려가 받는다.
詣將冠者前(예장관자전) - 빈은 관자 앞으로 나간다.
⑬ 讀祝辭(독축사) - 축사를 읽는다.
⑭ 加冠(궤가관) - 꿇어앉아 관을 씌운다.
⑮ 贊者代簪之(찬자대잠지) - 찬자는 도와준다.
賓興復位揖冠者適房(빈흥부위읍관자적방) - 빈이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가 관자에게 읍을 한다.
관자는 다시 방으로 들어간다.
服深衣(복심의) - 심의를 입는다.
加大帶(가대대) - 대대를 맨다.
衲衣(납의) - 신발을 신는다.
出房南面 立席右(출방남면 입석우) - 관자는 다시 방을 나와 우측단에서 남쪽을 향해 선다.
재가례(再加禮) 의식
① 賓揖 冠者卽席 (빈읍 관자즉석궤) - 빈이 읍을 하면 관자는 그 자리에 꿇어앉는다.
② 賓降 冠(빈강 관) - 빈이 손을 씻기 위해 내려간다.
③ 主人隨降揖升如初(주인수강읍승여초) - 주인이 따라 내려가 읍하고 올라오는 것은 초가례와 같다.
④ 執事以盤盛笠子進(집사이반성립자진) - 집사자는 관반을 올린다.
⑤ 賓降二等受之(빈강이등수지) - 빈이 두 발자국 내려가 받는다.
⑥ 詣冠者前(예관자전) - 빈이 관자 앞으로 나간다.
⑦ 讀祝辭(독축사) - 축사를 읽는다.
⑧ 贊者撤冠(찬자철관) - 찬자는 관을 벗긴다.
⑨ 賓 加帽(빈궤가모) - 빈이 꿇어앉아 관을 씌운다.
⑩ 興復位 業將冠者適房(흥복이 업장관자적방) - 빈이 일어나 제자리에 가서 읍하면 관자는 방으로 들어간다.
⑪ 釋深衣(석심의) - 심의를 벗는다.
⑫ 服靑道袍(복청도포) - 청도포를 입힌다.
⑬ 結帶(결대) - 도포끈을 맨다.
⑭ 唐鞋(당혜) - 당혜를 신는다.
⑮ 出房南西立于席右(출방남서립우석우) - 관자는 다시 방을 나와 우측 자리에 남쪽을 향해 선다.
삼가례(三加禮) 의식
① 賓揖冠者卽席 (빈읍관자즉석궤) - 빈이 읍하면 관자는 그 자리에 꿇어앉는다.
② 賓降 (빈강관) - 빈이 손을 씻기 위해 계단을 내려간다.
③ 主人隨降揖升如初(주인수강읍수여초) - 주인이 따라 내려가 읍하고 올라오는 것은 초가례와 같다.
④ 執事以 頭進(집사이복두진) - 집사자는 관반을 올린다.
⑤ 賓降沒階受之(빈강몰계수지) - 빈이 계단을 모두 내려가서 받는다.
⑥ 禮冠者前(예관자전) - 빈은 관자 앞으로 나아간다.
⑦ 讀祝辭(독축사) - 축사를 읽는다.
⑧ 贊者撤笠子(찬자철립자) - 찬자는 갓을 벗긴다.
⑨ 賓 加 頭(빈궤가복두) - 빈은 꿇어앉아 관을 씌운다.
⑩ 興復位揖冠者適房(흥복위읍관자적방) - 빈이 일어나 제자리에 가서 읍하면 관자는 방으로 들어간다.
⑪ 釋靑道袍 服欄衫(석청도포 복란삼) - 청도포를 벗기고 난삼을 입는다.
⑫ 鈴帶(영대) - 영대를 맨다.
⑬ 靴(화) - 신발을 신는다.
⑭ 執事收去梳子入于房(집사수거소자입우방) - 집사자는 빗을 가지고 방으로 간다.
⑮ 冠者出房南面立(관자출방남면립) - 관자는 방에서 나와 남쪽을 향해 선다.
내초례(乃醮禮) 의식
① 賓者改席于堂中小西南向(빈자개석우당중소서남향) - 집사자는 마루의 자리를 조금 서쪽으로 남향하여 자리를 고친다.
② 贊者小房酌酒出立于冠者之主(찬자소방작주출립우관자지주) - 찬자는 방안에 술상을 가지고 나와 관자 옆에 선다(자리에 술상을 놓고.)
③ 賓揖冠者就席(빈읍관자취석) - 빈이 관자에게 읍을 하면 관자는 자리에 나아간다.
④ 贊者奉酌 授賓(찬자봉작 수빈) - 찬자는 잔에 술을 부어 빈에게 준다.
⑤ 賓受之 北向 讀祝辭(빈수지 북향 독축사) - 빈이 잔을 받아놓고 북쪽을 향해 축사를 읽는다.
⑥ 冠者 再拜 受盞(관자 재배 수잔) - 관자는 재배하고 잔을 받는다.
⑦ 賓復位 東向(빈복위 동향) - 빈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동쪽을 향해 선다.
⑧ 答拜(답배) - 답배를 한다.
⑨ 冠者進席前 (관자진석전궤) - 관자는 술상 앞에 나아가 꿇어앉는다.
⑩ 祭酒(제주) - 술을 조금 퇴주잔에 따른다.
⑪ 興就席 西端 (흥취석 서단궤) - 술잔을 들고 일어나 자리 서쪽 끝에 가서 꿇어앉는다.
⑫ 酒(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