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지방이나 가문 또는 계절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개 과정류·사탕류·생실과(生實果)·건과(乾果)·떡·편육·저냐 등을 30~70cm높이의 원통형으로 괴어 색상을 맞추어 배열한다. 이들 여러 음식 중에서도 떡은 특히 중요시되어 흔히 갖은 편이라 일컫는 백편·꿀편·승검초편을 만든다. 만든 편은 직사각형으로 크게 썰어 직사각형의 편틀에다 차곡차곡 높이 괸 다음게 예쁘게 만든 화전이나 잘게 빚어지진 주악, 각종 고물을 묻힌 단자 등을 웃기로 얹는다. 또한 인절미 등도 만들어 층층이 높이 괸 다음 주악·부꾸미·단자 등을 웃기로 얹어 아름답게 꾸민다. 이 밖에 예전에는 색떡이라고 하여 절편에 물감을 입혀 빚어 나무에 꽃이 핀 모양으로 만든 모조화(模造花)를 장식하기도 했다. 한편 큰상에 높이 괴었던 푸짐한 떡들은 잔치가 끝난 다음 서로 나누어 먹는다.
재례
사람이 한세상 살다 운명하게 되면 고인을 추모하는데, 이 때 자손들이 올리는 의식이 제례이다. 이 때에도 조과·포(脯:육포·어포)·면식(麵食:국수나 만두국)·반(飯:흰쌀밥)·저냐·나물 등과 함께 떡을 하게 된다. 제례상에 올리는 떡은 편류(녹두고물편· 꿀편· 거피팥고물편· 흑임자고물편)로 제례 전날 미리 쌀을 담그고, 편에 고물로 얹을 녹두와 팥, 그리고 흑임자를 물에 불려 거피해 둔다. 제사 당일 새벽 일찍 담가 두었던 쌀을 가루로 빻아 둔 고물을 얹어 가며 켜켜로 안쳐 찐다. 정성스럽게 찐 떡은 여러 개 포개어 고이고, 그 위에 웃기로 주악이나 단자를 얹는다.
2. 일본
출생
일본의 대부분 아이들은 병원에서 태어나는데, 예전에는 외가에서 출산을 했다. 첫아이의 경우에는 외가에 가서 낳는 것이 관습 이였다. 예전에 아이의 탯줄을 버리지 않고 보관해 두었던 관습은 호적을 대신하여 아이의 출생을 증명하는데 쓰였지만 지금은 대부분 여성들이 병원에서 출산을 한다.
오시치야
아이가 태어나면 일본인들은 태어난 7일째에 이름을 지어 축하를 하는 오시치야라는 관습이 있다. 이날에는 태어난 아이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한지에 써서 집안의 가미다나(신을 모시는 선반)라든가 도코노마(일본식 방의 상좌에 바닥을 한층 높게 만든 곳으로 보통 객실에 있다.)의 기둥에 붙여서 축하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린다. 옛날에는 외조부가 이름을 직접 지어주었지만, 요즘에는 부모들이 직접 아이의 이름을 짓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선호한다.
아이의 첫 신전 참배
일본인들의 신도(神道)는 예전부터 내려오던 토착신앙과 의례 등을 일본인들 고유의 민족 신앙으로 발전시킨 종교이다. 그래서 신사를 모시고 참배하는 일본인들의 수도 상대적으로 많은데 신사를 보통 우지가미사마(聖神樣)라고 부르며 조상신인 우지가미(氏神) 즉 씨신을 많이 모시고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신사에서는 신의 아이로 여기며 우지코(氏子)라 하는데 우지코가 처음으로 조상신인 우지가미에게 인사를 하는 의미에서 신전에 참배하는 행사를 오미야마이리 라고 한다. 남자는 태어난 31일째, 여자는 태어난 32일째 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때는 축하선물로 이누하리코(액운을
재례
사람이 한세상 살다 운명하게 되면 고인을 추모하는데, 이 때 자손들이 올리는 의식이 제례이다. 이 때에도 조과·포(脯:육포·어포)·면식(麵食:국수나 만두국)·반(飯:흰쌀밥)·저냐·나물 등과 함께 떡을 하게 된다. 제례상에 올리는 떡은 편류(녹두고물편· 꿀편· 거피팥고물편· 흑임자고물편)로 제례 전날 미리 쌀을 담그고, 편에 고물로 얹을 녹두와 팥, 그리고 흑임자를 물에 불려 거피해 둔다. 제사 당일 새벽 일찍 담가 두었던 쌀을 가루로 빻아 둔 고물을 얹어 가며 켜켜로 안쳐 찐다. 정성스럽게 찐 떡은 여러 개 포개어 고이고, 그 위에 웃기로 주악이나 단자를 얹는다.
2. 일본
출생
일본의 대부분 아이들은 병원에서 태어나는데, 예전에는 외가에서 출산을 했다. 첫아이의 경우에는 외가에 가서 낳는 것이 관습 이였다. 예전에 아이의 탯줄을 버리지 않고 보관해 두었던 관습은 호적을 대신하여 아이의 출생을 증명하는데 쓰였지만 지금은 대부분 여성들이 병원에서 출산을 한다.
오시치야
아이가 태어나면 일본인들은 태어난 7일째에 이름을 지어 축하를 하는 오시치야라는 관습이 있다. 이날에는 태어난 아이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한지에 써서 집안의 가미다나(신을 모시는 선반)라든가 도코노마(일본식 방의 상좌에 바닥을 한층 높게 만든 곳으로 보통 객실에 있다.)의 기둥에 붙여서 축하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린다. 옛날에는 외조부가 이름을 직접 지어주었지만, 요즘에는 부모들이 직접 아이의 이름을 짓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선호한다.
아이의 첫 신전 참배
일본인들의 신도(神道)는 예전부터 내려오던 토착신앙과 의례 등을 일본인들 고유의 민족 신앙으로 발전시킨 종교이다. 그래서 신사를 모시고 참배하는 일본인들의 수도 상대적으로 많은데 신사를 보통 우지가미사마(聖神樣)라고 부르며 조상신인 우지가미(氏神) 즉 씨신을 많이 모시고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신사에서는 신의 아이로 여기며 우지코(氏子)라 하는데 우지코가 처음으로 조상신인 우지가미에게 인사를 하는 의미에서 신전에 참배하는 행사를 오미야마이리 라고 한다. 남자는 태어난 31일째, 여자는 태어난 32일째 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때는 축하선물로 이누하리코(액운을
키워드
추천자료
무분별한 기업의 마케팅활동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유형과 그대책
홈쇼핑이용 문제점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소리바다에 대하여
남·북한의 교육의 형태와 통일 후 교육 방안
유통환경 변화와 전통가공식품의 마케팅
E- 비지니스 (인터넷 비지니스)
유비쿼터스의 공간: 감시와 공유의 이중적 가치
[토론][독서토론][독서][토론 유형][독서토론 실제][독서토론 평가][토론 유형][독서토론 평...
[통일교육][통일][학교통일교육][남북통일][통일교육프로그램][안보교육][남북관계]통일교육...
[마케팅] 인터넷마케팅의 제약요인과 성공전략
[교육개혁][교육혁신][교육개혁추진위원회]교육개혁의 목표, 교육개혁의 중요성과 교육개혁의...
사업(창업) 인허가에서 개업준비까지
보안산업의 발전방향
창원평생학습도시의 비전과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