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 중년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중년기 성인교육의 목적
Ⅳ. 중년기 성인 교육의 내용
Ⅴ. 나가는 말
부록 : 장년부 수련회를 통한 교회 교육적 방법

본문내용

다. 구체적으로 이미용의료선교 활동과 외국인 노동자 선교를 할 수 있다.
셋째, 직접 전도할 수 없는 곳의 전도를 돕는 차원에서 선교비를 지원함으로 선교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선교비를 지원하는 방송, 문서선교와 군선교, 병원선교, 기관선교, 학원선교가 있다.
Ⅴ. 나가는 말
오늘날 우리 사회는 여러 가지 어려운 도전과 변화에 직면해 있다. 가정이라는 기초적인 울타리는 흔들리고 학교 폭력과 청소년 범죄는 날로 늘어만 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기성세대인 장년기의 중년세대들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직장인으로서, 가정을 지탱해 나가야 할 부모로서 감당해야 할 책임은 결코 가볍지가 않다. 교회의 장년들 또한 예외가 아니다. 사회와 가정에서의 무거운 책임과 함께 교회 안에서도 각 부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이처럼 교회의 장년들이 차지하고 있는 역할이나 그 비중에 비해서 장년들의 계속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교육에 대한 교회의 관심은 미약한 것이다. 장년들을 위한 교회의 교육적인 관심의 부족은 결국 장년 개개인의 성장을 저해하게 되었고 나아가 교회의 성장과 장년의 성숙한 신앙생활을 막는 결과로 나타나게 되었다. 교회는 교회교육을 통하여 장년들을 포함한 교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일생을 통해 신앙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그리스도인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기까지 자라도록 교육해야 한다.
참고 문헌
김득룡, “예배와 목회”, 신학지남 (1987. 봄)
은준과, “예배의 본질과 형식에 관한 현대적 고찰”, 기독교사상사
존. H. 웨스터 호프3세, 윌리엄 H. 월리모 공 저, “교회의 의식과 교육”, 박종석 역, 베드로 서원
찰스 R. 포스터, “신앙공동체를 위한 교육” 고용수,문정섭 역, 한국장로교출판사
장윤철, “교회의 교육적 사명”, 서울: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60
안재복, “장년과 기독교교육”, 서울: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66
은준관, “실천적 교회론”
오인탁.은준과.정웅섭.고용수.김재은 편 저, “기독교교육론”, 대한기독교교육협회
로이 B. 주크, 제인 A. 게츠 공 저, “교회와 장년교육”, 신청기 역, 기독교 문서선교회
부록 : 장년부 수련회를 통한 교회 교육적 방법
1) 예배
수련회의 주제에 맞는 예배의 형식과 준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공예배의 예배 형식을 가지고 온다면 행사의 내용면에서의 기쁨이 반감될 수 있다.
ex) 주제 찬양, 국악에 맞춘 찬양,
이 예배는 유월절 절기의 모형을 가지고 수련회의 둘째날 저녁에 처음 유월절을 맞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경건함으로 준비 할 수 있게 한다. 예배를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몸으로 드리는 찬양(워십, 율동)을 통하여 기쁨의 예배를 준비하게 한다.
*개회찬송 /
*묵상기도 /
무교절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가라사대 성안 아무에게 가서 이르되 선생님 말씀이 내 때가 가까웠으니 재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네 집에서 지키겠다 하시더라 하라 하신대 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마 26:17-18)
질문 / 모두 자리에 앉은 후 예수님의 말씀하신 유월절이 무엇입니까?
대답 / 유월절이란 이스라엘 사람들이 지키는 명절입니다. 이스라엘 사람들도 3가지 큰 명절을지 키는데 그 중 하나가 유월절로 이 달에 사람들은 양고기와 누룩을 넣지 않은 빵, 쓴 나물을 먹으며 지냅니다.
질문 / 그 날이 명절이라면 음식이 많을 텐데 왜 하필이면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이 나 쓴 나물 같은 것을 먹습니까?
대답 / 우리들이 명절을 지킬 때에 특별한 뜻이 있는 음식을 먹듯이 쓴 나물과 누룩 없는 빵과 양 고기도 이스라엘 사람들에겐 특별한 뜻이 있기 때문입니다. 쓴 나물은 그 사람들의 조상들이 애굽에서 노예로 살 때의 어려움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고, 양고기는 하나님의 10가지 재앙 중 마지막 재앙을 피하기 휘해 하나님의 명령대로 양의 피를 문 입구에 발라서 구원된 것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지요
질문 / 그렇다면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은 무슨 뜻이 있으며, 이 모든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입니 까?
대답 / 애굽에서 탈출하던 때는 굉장히 급박한 시간이었으므로 빵을 부풀릴만한 시간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누룩을 넣지 않은 빵, 즉 무교병을 통해 하나님이 이루신 일을 기억합니다. 결국 유월 절의 이 모든 과정은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하나님의 선택과 능력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찬송 /
*교독 / 모두 함께 (고난주간)
성만찬 제정의 말씀 / 인도자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날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습니다.
인도자: 만왕의 왕이신 하나님 아버지 인간이 뿌려서 가꾸고 거두어 만든 이 떡이 곧 하늘에서 만든 생명의 양식이 되게 하옵소서
회중: 이 떡을 성스럽게 구별되게 하여 주옵소서
인도자: 모든 것의 주이신 하나님 아버지 인간의 힘의 열매인 이 포도로 된 즙이 참된 음료가 되어 우리의 죄를 씻는 보혈이 되게 하옵소서
회중: 이 잔을 복되게 구별하여 주옵소서
인도자: 밀알이 가루가 되어 모여 하나의 떡이 되고 포도알이 으깨어져 한잔의 즙이 되어 주의 성찬상에서 하나가 된 것 같이 흩어져 있는 모든 사람이 주님의 나라에서 함께 모여 거룩한 공동체가 되게 하옵소서.
회중: 주여, 우리 모두가 주님 안에서 하나가 되게 하옵소서
*찬송과 성만찬 : 성가대의 281장 찬양과 함께 떡을 포도즙에 찍어서 분병, 분잔을 한 후
*성경낭독 : 고전 11:23-29, 요 6:47-48을 집례자는 분병을 마칠 때까지 낭독하여 거룩함과 경건함으로 성찬에 참여하도록 한다.
성만찬 집례자는 : 유월절이 하나님의 선택과 구원에 대한 유대인만의 날이라면 성만찬은 예수그리스도를 믿는 누구에게나 열려진 새로운 완성의 시간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성찬식에 참여할 때마다 나를 위해 십자가에서 살을
  • 가격2,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