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들의 과제에 몰두하고 있는 동안 나머지 한 학생이 장난을 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 학생들 중에서 누가 교사의 주목을 받을 것인가는 말할 필요조차 없다.
“OO아 장난 그만둬, 내말이 들리지 않니, 내가 몇 번이나 말해야 되겠어, 이제 말하기도 지쳤다”
아이는 이러한 말을 통해 일탈행동을 계속하도록 격려를 받고 있으며, 그러한 행위에 대해서 보상을 받고 있고, 장난치는 것이 자신의 존재가치를 높이는 한 방법임을 학습하고 있는 셈이다.
행동주의자는 만일 그의 행동이 학급의 수업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교사가 그의 일탈행동을 단순히 무시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추천한다. 아이가 교사의 주의를 끌지 못한다면 그는 결국 교사의 주목을 끌지 못하는 그의 장난에 싫증을 느끼고 장난을 하지 말라는 책망을 받지 않고도 그것을 그만 둘 가능성이 높다. 또 다른 방법은 아이에게 그가 찾고 있는 관심을 주되 그가 기대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부는 것이다. 예를 들면 그에게 “모든 학생들이 네가 얼마나 장난을 잘 치는지 볼 수 있도록 교실 앞에 나와 너의 장난치는 솜씨를 5분 정도만 보여 다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학급의 나머지 학생들이 매우 조용히 공부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칭찬을 해주거나 만족스럽게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5분간의 자유 시간을 주는 것과 같이 어떤 종류의 보상을 해준다. 아이가 장난을 멈출 때가지 기다리다가 멈추는 바로 그 순간에 그에게 주목하거나 그가 관심을 끌 수 있는 보다 더 성숙한 방법들이 있음을 상기시켜 주는 방법도 있다.
5. 초등교과에 적용된 행동주의
<4학년 1학기 도덕 1. 바른 마음 곧은 마음>
<빵장수>
옛날 어느 빵 장수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마을 사람들에게 빵을 공급하고 있었는데, 그에게는 매일 아침 빵 만드는데 필요한 버터를 만들어 공급해 주는 가난한 농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하루는 배달된 버터가 정량보다 조금 모자라 보였습니다. 그래서 며칠 동안 배달된 버터를 저울로 일일이 달아보았는데, 생각한 대로 양이 모자랐습니다. 화가 난 빵 장수는 버터를 가져다주는 농부에게 변상할 것을 요구하며 법정에 고발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재판을 맡은 재판관은 체포된 농부의 말을 듣고 놀랬습니다. 버터를 공급했던 가난한 농부의 집에는 저울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농부는 빵 장수가 만든 빵의 무게에 맞추어 버터를 공급했다는 것이었습니다. 빵 장수가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 자신이 만드는 빵의 양을 줄였지만, 그것을 모르는 농부는 줄어드는 빵의 양에 맞추어 버터를 만들었던 것입니다. 결국 빵 장수는 자신이 이익을 위해 한 거짓말에 자신이 대가를 치룬 것이었습니다.
▷ 이 예화는 도덕교과서에 나와 있는 자료가 아니라, 교사용 지도서에 첨부된 자료로 수업시간에 교과서 안의 예화와 함께 제시하면 좋은 자료다. 정직한 삶과 행복한 삶이라는 선택활동 자료(수미와 병진이 이야기)에서와 같이 이야기 속의 인물들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
빵장수의 행동은 어떠한 행동인가
농부의 행동은 어떠한 행동인가
농부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빵장수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이러한 발문을 통해서 아이들이 직접 옳은 행동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고 교사가 직접 빵장수와 농부의 행동에 대해서 평가하고 정직한 생활이 무엇인지 설명하면서 농부의 행동에 긍정적인 면을 강조한다. 정직하지 못한 행동은 옳지 못한 행동이고 정직한 행동은 옳은 행동이라는 것은 이 이야기 속에서도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빵장수는 빵의 양을 줄이는 등 정직하지 못한 행동으로 인한 결과가 자신에게 되돌아오고 자신의 거짓말에 대한 대가를 치루게 된 것이다.
이는 강화와 처벌의 예시라고 볼 수 있다. 농부의 행동과 같이 정직한 행동을 했을 때 유쾌 자극 즉, 그 행동을 칭찬함으로써 정직한 행동을 유도하고 반응 확률을 증가시키는 정적강화를 하여 아이들의 정직함을 유발한다. 또한 활동 주제처럼 정직한 생활과 행복한 삶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주면서 ‘정직한 삶 = 행복한 삶’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반대로 빵장수의 경우에 자신의 양심을 속이고 남을 속이는 일은 나쁜 행동이라는 것을 제시하면서 정적 처벌(피해가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것, 거짓말로 인한 창피함 등)하여 이러한 행동이 유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 느낀점
초등도덕교육1 이라는 과목이 단순히 초등학생의 도덕성 함양과 도덕교육을 위해서 교사가 갖추어야할 소양을 기르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행동의 원인을 밝히는 이론부터 이해하고 찬찬히 공부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던 것 같다. 또 수업시간에 배웠던 이론들이 실제사례에 적용되었던 여러 영상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고, 미래에 교직에 나갔을 때 여러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 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나는 고등학교 때도 딱딱한 철학과 윤리를 좋아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강의는 교수님께서 여러 사례를 많이 보여주시고 제시해주셔서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지 않았다.
처음에 과제를 시작했을 때는 행동주의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했고, 어떤 식으로 조사해야 되고 어떤 부분을 강조해야 하는지 막막했다. 행동주의의 정의부터 발달하는 순서대로 천천히 조금씩 조사하고 알아가면서 재미있기도 했고, 시험공부를 할 때와는 달리 이 이론에 대해서 깊게 파고들 수 있어서 유익했던 것 같다. 특히 인간이 조작적 강화로 인해 행동하고 반응한다는 것이 재미있는 부분이었던 것 같다. 또 그저 단순히 자극과 반응으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더 발전해서 생각하는 스키너나 반두라의 이론도 흥미로웠다.
이 과제를 하면서 한 학기 동안 공부했던 것을 정리하는 시간이 되었고 같은 행동에 대해서도 각각의 이론이 다르게 판단할 생각을 하니 칸트나 아리스토텔레스 공리주의 등 이해하기 어려움을 느꼈던 다른 이론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
7. 참고문헌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권대훈 -학지사
<人本主義 敎育과 行動主義 敎育> W.B 코울스닉 - 문음사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4-1
초등학교 교과서 도덕 4-1
“OO아 장난 그만둬, 내말이 들리지 않니, 내가 몇 번이나 말해야 되겠어, 이제 말하기도 지쳤다”
아이는 이러한 말을 통해 일탈행동을 계속하도록 격려를 받고 있으며, 그러한 행위에 대해서 보상을 받고 있고, 장난치는 것이 자신의 존재가치를 높이는 한 방법임을 학습하고 있는 셈이다.
행동주의자는 만일 그의 행동이 학급의 수업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교사가 그의 일탈행동을 단순히 무시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추천한다. 아이가 교사의 주의를 끌지 못한다면 그는 결국 교사의 주목을 끌지 못하는 그의 장난에 싫증을 느끼고 장난을 하지 말라는 책망을 받지 않고도 그것을 그만 둘 가능성이 높다. 또 다른 방법은 아이에게 그가 찾고 있는 관심을 주되 그가 기대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부는 것이다. 예를 들면 그에게 “모든 학생들이 네가 얼마나 장난을 잘 치는지 볼 수 있도록 교실 앞에 나와 너의 장난치는 솜씨를 5분 정도만 보여 다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학급의 나머지 학생들이 매우 조용히 공부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칭찬을 해주거나 만족스럽게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5분간의 자유 시간을 주는 것과 같이 어떤 종류의 보상을 해준다. 아이가 장난을 멈출 때가지 기다리다가 멈추는 바로 그 순간에 그에게 주목하거나 그가 관심을 끌 수 있는 보다 더 성숙한 방법들이 있음을 상기시켜 주는 방법도 있다.
5. 초등교과에 적용된 행동주의
<4학년 1학기 도덕 1. 바른 마음 곧은 마음>
<빵장수>
옛날 어느 빵 장수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마을 사람들에게 빵을 공급하고 있었는데, 그에게는 매일 아침 빵 만드는데 필요한 버터를 만들어 공급해 주는 가난한 농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하루는 배달된 버터가 정량보다 조금 모자라 보였습니다. 그래서 며칠 동안 배달된 버터를 저울로 일일이 달아보았는데, 생각한 대로 양이 모자랐습니다. 화가 난 빵 장수는 버터를 가져다주는 농부에게 변상할 것을 요구하며 법정에 고발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재판을 맡은 재판관은 체포된 농부의 말을 듣고 놀랬습니다. 버터를 공급했던 가난한 농부의 집에는 저울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농부는 빵 장수가 만든 빵의 무게에 맞추어 버터를 공급했다는 것이었습니다. 빵 장수가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 자신이 만드는 빵의 양을 줄였지만, 그것을 모르는 농부는 줄어드는 빵의 양에 맞추어 버터를 만들었던 것입니다. 결국 빵 장수는 자신이 이익을 위해 한 거짓말에 자신이 대가를 치룬 것이었습니다.
▷ 이 예화는 도덕교과서에 나와 있는 자료가 아니라, 교사용 지도서에 첨부된 자료로 수업시간에 교과서 안의 예화와 함께 제시하면 좋은 자료다. 정직한 삶과 행복한 삶이라는 선택활동 자료(수미와 병진이 이야기)에서와 같이 이야기 속의 인물들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
빵장수의 행동은 어떠한 행동인가
농부의 행동은 어떠한 행동인가
농부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빵장수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이러한 발문을 통해서 아이들이 직접 옳은 행동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고 교사가 직접 빵장수와 농부의 행동에 대해서 평가하고 정직한 생활이 무엇인지 설명하면서 농부의 행동에 긍정적인 면을 강조한다. 정직하지 못한 행동은 옳지 못한 행동이고 정직한 행동은 옳은 행동이라는 것은 이 이야기 속에서도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빵장수는 빵의 양을 줄이는 등 정직하지 못한 행동으로 인한 결과가 자신에게 되돌아오고 자신의 거짓말에 대한 대가를 치루게 된 것이다.
이는 강화와 처벌의 예시라고 볼 수 있다. 농부의 행동과 같이 정직한 행동을 했을 때 유쾌 자극 즉, 그 행동을 칭찬함으로써 정직한 행동을 유도하고 반응 확률을 증가시키는 정적강화를 하여 아이들의 정직함을 유발한다. 또한 활동 주제처럼 정직한 생활과 행복한 삶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주면서 ‘정직한 삶 = 행복한 삶’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반대로 빵장수의 경우에 자신의 양심을 속이고 남을 속이는 일은 나쁜 행동이라는 것을 제시하면서 정적 처벌(피해가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것, 거짓말로 인한 창피함 등)하여 이러한 행동이 유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 느낀점
초등도덕교육1 이라는 과목이 단순히 초등학생의 도덕성 함양과 도덕교육을 위해서 교사가 갖추어야할 소양을 기르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행동의 원인을 밝히는 이론부터 이해하고 찬찬히 공부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던 것 같다. 또 수업시간에 배웠던 이론들이 실제사례에 적용되었던 여러 영상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고, 미래에 교직에 나갔을 때 여러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 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나는 고등학교 때도 딱딱한 철학과 윤리를 좋아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강의는 교수님께서 여러 사례를 많이 보여주시고 제시해주셔서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지 않았다.
처음에 과제를 시작했을 때는 행동주의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했고, 어떤 식으로 조사해야 되고 어떤 부분을 강조해야 하는지 막막했다. 행동주의의 정의부터 발달하는 순서대로 천천히 조금씩 조사하고 알아가면서 재미있기도 했고, 시험공부를 할 때와는 달리 이 이론에 대해서 깊게 파고들 수 있어서 유익했던 것 같다. 특히 인간이 조작적 강화로 인해 행동하고 반응한다는 것이 재미있는 부분이었던 것 같다. 또 그저 단순히 자극과 반응으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더 발전해서 생각하는 스키너나 반두라의 이론도 흥미로웠다.
이 과제를 하면서 한 학기 동안 공부했던 것을 정리하는 시간이 되었고 같은 행동에 대해서도 각각의 이론이 다르게 판단할 생각을 하니 칸트나 아리스토텔레스 공리주의 등 이해하기 어려움을 느꼈던 다른 이론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
7. 참고문헌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권대훈 -학지사
<人本主義 敎育과 行動主義 敎育> W.B 코울스닉 - 문음사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4-1
초등학교 교과서 도덕 4-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