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의_철학적_토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도덕교육의_철학적_토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7차 교육과정의 바른생활과와 도덕과의 방향

2. 도덕교육론적 토대로서의 인격교육론과 통합적 인격교육론

3. 통합적 인격교육론의 철학적 토대

본문내용

& Schuster, 1992), pp. 96, 249.
라고 말하거나 라이언이 어린이는 자기중심적이라고 보는 경우 Kevin Ryan, \"In Defense of Character Education,\" Larry P. Nucci ed., Moral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 A Dialogue (Berkeley, CA: McCutchan, 1989), p. 16.
에 잘 나타나 있다. 위인 또한 인간의 본성에 대해 비관적인 입장을 보여준다. Edward Wynne, \"Transmitting Traditional Values in Contemporary Schools,\" Larry P. Nucci ed., Moral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 A Dialogue (Berkeley, CA: McCutchan, 1989), p. 25.
비록 인격교육론자들이 이러한 입장을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하더라도 자신들의 사명이 자기통제운동에 있다고 본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즉 인간의 본성에는 억제되고 통제되어야 할 요소들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임에 틀림없다.
인격교육론의 등장은 도덕적 행동을 강화하고자 한다는 데에서, 인지적 접근에 집중하였던, 인지발달론을 대체할 수 있는 도덕교육론으로 조명을 받을 만 하다. 그러나 이 이론이 전통적인 덕목주의의 부활을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그러한 도덕교육이 주로 행동강화와 모델링을 통해서 주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에 대한 통제적 관점을 드러낸 것에 불과하며 스키너류의 행동주의 심리학에 연류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행동주의 심리학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장점에 대해서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스키너의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은 그 자체 인간의 내면적 요소들을 소홀히 하기 때문에, 인격교육이 바람직한 행동을 하려는 인격적 특질을 중심개념으로 보고자 한다면 행동주의 심리학과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한다. 물론 방법론적으로 강화와 보상과 같은 심리학적 접근의 유용성이 아주 없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심리학이 제공하는 방법에 거의 의존하려고 한다면 인격교육론은 심리학적으로나 철학적으로 그 논거가 새롭지도 않으며 얼마간은 빈약하기조차 하다고 말할 것이다.
2) 통합적 인격교육론
전통적인 인격교육론 또는 인격의 개념을 행동중심으로 보려고 하는, 보다 극단적인 형태의 인격교육론의 문제점을 인정하면서 인지발달론의 인지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도덕교육론은 인격교육과 인지발달론을 통합하는 형태를 취하고 이것을 통합적 인격교육이라고 부르려고 한다.
통합적 인격교육론자의 하나인 리코나는 도덕성을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조야한 인격교육론이 갖고 있는 한계와 한편으로 인지적 도덕교육이 갖고 있었던 부분성을 극복하려고 한다. 그것은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들에 대한 강조이다. “. . . 도덕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은 사고, 행동, 그리고 옳은 것을 아는 것과 그것을 실제로 행하는 것 사이에 종종 동기적 교량을 놓는 도덕적 감정에 주목한다.” T. Lickona, “Moral Develop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William M. Kurtines and Jacobb L. Gewirtz ed.,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Vol. 3: Applic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91), p. 145.
그리고 이것은 도덕적 지식을 강조한 플라톤적 사고와 올바른 행동을 강조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동시에 겨냥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다시 말해, 도덕에 대한 인지적 접근의 방식과 인격교육적 접근을 결합시키는 것인데, 도덕성에 있어서 감춰진 차원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여기서 인격은 특정한 덕의 소유를 통해 그것을 행동으로 드러내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으로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종합적으로 지칭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통합의 방식은 피터스에 의해서도 시도된 바가 있다. 소위 이성과 습관의 관계가 결코 역설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인지발달론적 단계설정 위에서, 습관교육을 전제로 이성적인 도덕교육으로 진행해 나가는 것이다. 물론 이 때의 습관교육은 맹목적인 교화나 주입, 그리고 반복적 훈련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가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반복하여 가르치거나 행동하도록 하는 것”과 “규칙에 의거하여 행동하는 것을 배우는 것”의 차이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맹목적인 규범의 전수나 교화가 아니라, 이성에 호소하는 방식에 따라, 도덕적 규범을 내면화하는 방식을 말한다. R. S. Peters,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81), p. 57.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전승적 문화 속에 포함되어 있는 도덕적 지혜를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데에 동의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인격교육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덕적 가치를 가르치는 것과 교화시키는 것을 분명히 구분하고자 한다. 즉, 규칙, 규범 뒤에 놓여있는 이유들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아이들을 돕는 설명과 경험을 제공해 주는 방식으로 가치교육에 접근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통합적 인격교육은 변형된 또는 세련된 인격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통합적 인격교육이 제시되는 것은 전통적인 관점의 인격교육이 행동수정 또는 습관화에 집중하는 데서 오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통합적 인격교육은 인격교육이 가정하고 있는 도덕교육으로서의 사회화, 문화적 공동체적 덕목을 인정하고 있으나, 그러한 사회화와 덕목의 획득에 있어서 어린이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그러는 과정에서 인지적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3.08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