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제 1 부 이론적 기초
1.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이란?
1) 기초교과교육
(1) 국어
(2) 수학
(3) 과학
(4) 사회
2) 상담이란
3) 기초교과교육과 상담의 접목
4)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의 실천
(1)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 활동의 방향
2.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의 교과분석 및 개발절차
1) 교과 분석
2) 개발절차
(1) 이론 정립을 위한 활동
(2) 프로그램 개발
(3) 수정․ 보안 및 마무리
3.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제 2 부 프로그램의 실제
1) 국어
2) 수학
3) 과학
4) 사회
1.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이란?
1) 기초교과교육
(1) 국어
(2) 수학
(3) 과학
(4) 사회
2) 상담이란
3) 기초교과교육과 상담의 접목
4)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의 실천
(1)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 활동의 방향
2.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의 교과분석 및 개발절차
1) 교과 분석
2) 개발절차
(1) 이론 정립을 위한 활동
(2) 프로그램 개발
(3) 수정․ 보안 및 마무리
3.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제 2 부 프로그램의 실제
1) 국어
2) 수학
3) 과학
4) 사회
본문내용
관점이다. 즉, 각 교과의 특수성에 비추어 매우 형식적인 내용 체계속에서 실현 가능한 최소한의 방법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접근방법이다. 다시 말해서 교과의 학습 내용의 주된 대상은 문제, 즉 문장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많은 만큼 이러한 경우 제 2차적인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 1차적인 교과 내용과 조화를 이루어가면서 소재를 통하여 상담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 내용의 문제해결 목표를 살려가면서 적절한 상담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풍부한 소재ㅑ 발굴이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다.
셋째, 각 교과의 특성을 살린 교수학습의 방법에 관련된 관점이다. 즉, 교과를 어떻게 가르치고 어떻게 학습하는가가 상담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고 교과 내용으로부터 오는 제한을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극복하면서 상담의 목표 달성을 이루어 보고자 하는 것이다.
2.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의 교과분석 및 개발절차
1) 교과 분석
(1) 국어
<말 듣 쓰>
3-1
첫째 마당 - 함께 열어가는 세상
이 단원은 알맞은 문장 부호의 낱말을 넣어 글을 쓸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원으로 척도가 들어가지 않았다.
둘째 마당 - 마음으로 보아요
이 단원은 서로 닮은 점을 떠올려 새롭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단원이다. 알고 있는 것을 적용하여 말하게 함으로써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셋째 마당 - 생각하는 생활
이 단원에서는 일이 일어난 원인과 결과가 드러나게 글을 쓸수 있게 한다.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일 중에서 원인과 결과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자기 스스로 그러한 것을 찾을 수 있다.
넷째 마당 - 우리들의 꿈
이 단원에서는 이어질 이야기를 상상하여 쓰는 단원이다. 이 단원에서는 단원 선정 목표에 맞는게 없다.
다섯째 마당 - 앎의 즐거움
이 단원의 목표는 아는 내용과 새로 안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글을 쓰는 데에 목표를 둔다. 자신의 경험을 살려 글을 쓰는 활동으로 실생활과 관련이 있고 자기 주도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다.
3-2
첫째 마당 - 알아보고 알려주고
이 단원의 목표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나게 말할 수 있게 하는 단원이다. 이 단원은 단순히 비교 분석하는 단원이므로 지표에 일치하는 것이 없다.
둘째마당 - 우리가 꿈꾸는 세상
이 단원은 좋아하는 시를 낭송하고 좋아하는 이야기에 대한 내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단원이다. 자기가 시를 찾아 활동하고 자기의 느낌을 발표하므로 자기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다.
셋째마당 - 커 가는 우리
이 단원은 다른 사람의 말을 주의깊게 듣고, 내 의견을 말하는 단원이다. 이 단원에서는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할 때의 주의사항을 앎으로 사회성을 기를 수 있어 또한 그 이후에 행동변화도 이끌어 낼 수 있다. 스스로 이야기를 듣는 과정으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단원이다.
넷째마당 - 인물과 하나 되어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이 되어, 내 생각을 말할 수 있는 단원으로 시와 자신을 연결하여 말하는 과정에서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다섯째 마당 - 친구와 함께
이 단원은 말의 순서와 ‘어울려 쓰는 말’을 알고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게 하는 단원이다. 지식적 내용으로 지표에 일치하지 않는다.
3-2
첫째마당 - 알아보고 알려 주고
이 단원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나게 글을 쓰는 단원으로 단순히 비교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심화해서 다른 사람과 나의 차이점을 분석한다면 상담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마당 - 우리가 꿈꾸는 세상
이 단원은 이야기를 새롭게 꾸며 쓰는 단원이다. 여기서는 자신이 이야기를 꾸미는 활동으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또한 친구와 함께 이야기를 꾸며봄으로써 간접적으로 사회성을 유도할 수 있는 단원이다.
셋째마당 - 커가는 우리
이 단원은 알맞은 말을 사용하여 의견이 잘 드러나는 글을 쓰는 단원이다. 지식적인 부분이다. 상황에 맞는 낱말을 선택하여 글을 쓰는 활동을 통해서 끝난 후에 행동변화가 일어 날 수 있다.
넷째 마당 - 인물과 하나 되어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이 되어 글을 써 보는 단원이다. 새로운 관점으로 대상을 대하고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보고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보고 평소의 나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과의 비교를 통해서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다섯째 마당 - 친구와 함께
이 단원은 컴퓨터로 글을 나눠보는 단원이다. 방학 동안에 한 일을 컴퓨터로 글을 써보는 단원이다. 이 단원의 목표는 컴퓨터를 활용하는 데에 있으므로 지표에 맞는게 없다.
4-1
첫째마당 - 우리의 생각
이 단원은 알맞은 이유를 들어 가며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단원이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므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고 또한 상대방에 따라 말하는 방법이 달라짐을 알아 감으로 사회성, 행동변화가 가능하다.
둘째마당 - 꿈의 날개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의 앞 뒤 내용을 상상하여 표현하는 단원이다. 지표에 맞지는 않으나 얼마든지 내용을 바꿔 상담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을 표현하는데에 있어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표현해 보고 친구들과 비교를 한다면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셋째마당 - 배움의 기쁨
이 단원은 알리는 말을 듣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문단을 짜임새 있게 써보는 단원이다. 이 단원은 지식적인 단원으로 지표에 맞지 않는다.
넷째 마당 - 오가는 정
이 단원에서는 예절바르게 말하고 들을수 있게 하고 여러 종류의 문장을 구별하여 올바르게 사용하는 단원이다. 일상생활에서의 언어예절을 배움으로 실생활 영역으로 언어 예절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대할 때의 기본적인 사회성이 길러 질 수 있다.
다섯째 마당 - 감동의 메아리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에 대하여 생각하거나 느낀점을 표현하는 단원이다. 시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말해야 하므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인물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 보는 활동을 통해 자아 성찰의 계기도 마련된다.
4-2
첫째마당 - 생각의 열매를 모아
이 단원은 여러 사람의
셋째, 각 교과의 특성을 살린 교수학습의 방법에 관련된 관점이다. 즉, 교과를 어떻게 가르치고 어떻게 학습하는가가 상담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고 교과 내용으로부터 오는 제한을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극복하면서 상담의 목표 달성을 이루어 보고자 하는 것이다.
2. 기초교과를 이용한 상담활동의 교과분석 및 개발절차
1) 교과 분석
(1) 국어
<말 듣 쓰>
3-1
첫째 마당 - 함께 열어가는 세상
이 단원은 알맞은 문장 부호의 낱말을 넣어 글을 쓸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원으로 척도가 들어가지 않았다.
둘째 마당 - 마음으로 보아요
이 단원은 서로 닮은 점을 떠올려 새롭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단원이다. 알고 있는 것을 적용하여 말하게 함으로써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셋째 마당 - 생각하는 생활
이 단원에서는 일이 일어난 원인과 결과가 드러나게 글을 쓸수 있게 한다.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일 중에서 원인과 결과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자기 스스로 그러한 것을 찾을 수 있다.
넷째 마당 - 우리들의 꿈
이 단원에서는 이어질 이야기를 상상하여 쓰는 단원이다. 이 단원에서는 단원 선정 목표에 맞는게 없다.
다섯째 마당 - 앎의 즐거움
이 단원의 목표는 아는 내용과 새로 안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글을 쓰는 데에 목표를 둔다. 자신의 경험을 살려 글을 쓰는 활동으로 실생활과 관련이 있고 자기 주도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다.
3-2
첫째 마당 - 알아보고 알려주고
이 단원의 목표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나게 말할 수 있게 하는 단원이다. 이 단원은 단순히 비교 분석하는 단원이므로 지표에 일치하는 것이 없다.
둘째마당 - 우리가 꿈꾸는 세상
이 단원은 좋아하는 시를 낭송하고 좋아하는 이야기에 대한 내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단원이다. 자기가 시를 찾아 활동하고 자기의 느낌을 발표하므로 자기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다.
셋째마당 - 커 가는 우리
이 단원은 다른 사람의 말을 주의깊게 듣고, 내 의견을 말하는 단원이다. 이 단원에서는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할 때의 주의사항을 앎으로 사회성을 기를 수 있어 또한 그 이후에 행동변화도 이끌어 낼 수 있다. 스스로 이야기를 듣는 과정으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단원이다.
넷째마당 - 인물과 하나 되어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이 되어, 내 생각을 말할 수 있는 단원으로 시와 자신을 연결하여 말하는 과정에서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다섯째 마당 - 친구와 함께
이 단원은 말의 순서와 ‘어울려 쓰는 말’을 알고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게 하는 단원이다. 지식적 내용으로 지표에 일치하지 않는다.
3-2
첫째마당 - 알아보고 알려 주고
이 단원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나게 글을 쓰는 단원으로 단순히 비교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심화해서 다른 사람과 나의 차이점을 분석한다면 상담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마당 - 우리가 꿈꾸는 세상
이 단원은 이야기를 새롭게 꾸며 쓰는 단원이다. 여기서는 자신이 이야기를 꾸미는 활동으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또한 친구와 함께 이야기를 꾸며봄으로써 간접적으로 사회성을 유도할 수 있는 단원이다.
셋째마당 - 커가는 우리
이 단원은 알맞은 말을 사용하여 의견이 잘 드러나는 글을 쓰는 단원이다. 지식적인 부분이다. 상황에 맞는 낱말을 선택하여 글을 쓰는 활동을 통해서 끝난 후에 행동변화가 일어 날 수 있다.
넷째 마당 - 인물과 하나 되어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이 되어 글을 써 보는 단원이다. 새로운 관점으로 대상을 대하고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보고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보고 평소의 나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과의 비교를 통해서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다섯째 마당 - 친구와 함께
이 단원은 컴퓨터로 글을 나눠보는 단원이다. 방학 동안에 한 일을 컴퓨터로 글을 써보는 단원이다. 이 단원의 목표는 컴퓨터를 활용하는 데에 있으므로 지표에 맞는게 없다.
4-1
첫째마당 - 우리의 생각
이 단원은 알맞은 이유를 들어 가며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단원이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므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고 또한 상대방에 따라 말하는 방법이 달라짐을 알아 감으로 사회성, 행동변화가 가능하다.
둘째마당 - 꿈의 날개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의 앞 뒤 내용을 상상하여 표현하는 단원이다. 지표에 맞지는 않으나 얼마든지 내용을 바꿔 상담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을 표현하는데에 있어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표현해 보고 친구들과 비교를 한다면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셋째마당 - 배움의 기쁨
이 단원은 알리는 말을 듣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문단을 짜임새 있게 써보는 단원이다. 이 단원은 지식적인 단원으로 지표에 맞지 않는다.
넷째 마당 - 오가는 정
이 단원에서는 예절바르게 말하고 들을수 있게 하고 여러 종류의 문장을 구별하여 올바르게 사용하는 단원이다. 일상생활에서의 언어예절을 배움으로 실생활 영역으로 언어 예절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대할 때의 기본적인 사회성이 길러 질 수 있다.
다섯째 마당 - 감동의 메아리
이 단원은 시나 이야기에 대하여 생각하거나 느낀점을 표현하는 단원이다. 시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말해야 하므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인물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 보는 활동을 통해 자아 성찰의 계기도 마련된다.
4-2
첫째마당 - 생각의 열매를 모아
이 단원은 여러 사람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