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1. 서론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본론
2.1. 재활의 개념
2.2. 산재보험과 재활사업의 의의
2.3. 산재재활서비스의 역사
2.4. 산재재활서비스의 내용
2.4.1. 재활사업 프로그램 현황
2.4.2. 의료재활
2.4.3. 사회재활
2.4.4. 직업재활
2.5. 산재재활서비스의 환경변화
2.6. 서비스기관의 현황
2.7. 산재재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분석
(길버트와 테렐의 분석틀)
2.7.1. 급여자격
2.7.2. 급여형태
2.7.3. 전달체계
2.7.4. 재정양식
3. 결론
4. 참고자료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본론
2.1. 재활의 개념
2.2. 산재보험과 재활사업의 의의
2.3. 산재재활서비스의 역사
2.4. 산재재활서비스의 내용
2.4.1. 재활사업 프로그램 현황
2.4.2. 의료재활
2.4.3. 사회재활
2.4.4. 직업재활
2.5. 산재재활서비스의 환경변화
2.6. 서비스기관의 현황
2.7. 산재재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분석
(길버트와 테렐의 분석틀)
2.7.1. 급여자격
2.7.2. 급여형태
2.7.3. 전달체계
2.7.4. 재정양식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아 근로복지공단은 2007년도 7월 1일까지 재활훈련원을 안산과 광주 2곳에서 운영하였으나 매년 3만명이상 발생하는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2008년부터는 재활훈련원을 폐원하고 6개분야, 9개 공과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과 연계하여 산재장애인의 직업훈련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나 매우 저조한 실정(최윤영,2009)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반장애인과 산재장애인의 차별성을 무시하고 효율성차원에서 이루어진 결정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정책이 욕구조사에서 출발한다면 수혜자의 욕구를 선행적으로 검토해야 하고 평가에 있어서도 구분을 해야 올바른 목적과 방향을 가질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재활의 대상 및 개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는 중증장애인을 위주로 재활시스템을 구성함에 따라 의료재활외 사회재활과 직업재활에서 미미하였다. 오히려 대상을 확대하여 재활시스템을 구축하고 인프라를 확보한다면 재활시스템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산재기금은 공공적인 부분이며, 급여대상의 차별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대상의 확대를 통해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셋째 재활서비스의 차원에서는 현물중심으로 확대함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산재보험 수혜자들에게 서비스가 현물로 지급된다면 급여가 다른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을 줄이기 때문에 재활정책에 있어 정책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급여대상에 대한 등급평가에 행정낭비요인의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물급여의 확대와 관련하여 산재의료원산하에 있던 재활공학연구소를 활용하여 다른 기관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 여건도 마련되어 있다.
넷째 근로복지공단과 산재의료원 통합과 관련하여 재활을 위한 협의체를 통한 전달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지사에서 행하는 재활상담은 직업복귀·사회복귀로 이어지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산재의료원을 거점으로하여 의사, 재활상담사, 작업치료사, 직업평가사, 사회복지사 등 재활관련 전문가들의 협의체를 통해 사례관리를 해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활의 개념은 각각 단절되어진 단계를 거쳐 생산품을 생산하는 체계로는 이룰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부분이 현실성을 가질 수 있다면 재활상담사 및 사회복지사의 정원 확대 및 전문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이질적인 두 기관을 통합을 통한 장기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까지 합병이후 두기관의 조직과 예산이 분리되어 있고, 흡수의 방식으로서의 이루어진 현재의 합병은 조직 합리화차원에서 공단 또는 의료원의 민영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산재장애인의 사회복귀차원에서 후퇴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근로복지공단에서 확립코자하는 의료에서 재활까지의 시스템을 위해 통합 운영과 관련한 계획을 구축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통합관련하여 재활의지를 표명했지만 현재까지 합병이후의 로드맵은 없으며, 내부적으로 이전 그대로의 체제를 유지하는 틀에서 인적조정을 통해 중복기능을 축소시킨 것으로 결과물을 내놓을 순 없다.
4. 참고자료
- 김장기, 호주의 재해관리와 직업복귀 정책, 노동보험포럼, 2008 제1권 제2호. pp. 104∼110.
- 김한나, 긴급복지지원사업에 대한 정책적 분석 -길버트와 테렐의 이론적 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제7호, 2009, pp. 33~55.
- 박희찬, 직업재활 전문인력 정책 현황과 방향, 직업재활연구 제15집 제1호, pp. 25∼43.
- 윤조덕, 산재보험의 재활서비스 현황과 발전방안, 연금포럼, 2009. pp.31∼42.
- 윤조덕, 박수경, 산재장애인 삶의 질과 재활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 제5집 제2호, 1998, pp. 103∼123.
- 이달엽,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실천 제7권 4호, 2006, pp. 283∼305.
- 이달엽, 이승욱, 박혜전, 노임대,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직업재활연구, 제14집 제1호, pp.217∼246.
- 이승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요인에 관한 연구, 근로복지공단 연구센터 연구-2007-라-7, pp.2∼90.
- 이승욱, 재활상담사 직무분석을 통한 재활서비스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근로복지공단 연구센터 연구-2007-라-7, pp. 92∼187.
- 정승원, 정지훈, 박세진, 역량강화적 직업재활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17집 제2호, pp.187∼217.
- 조성재, 의료재활과 직업재활의 접목을 통한 산재보험 재활의 발전방향, 노동보험포럼, 2009 제2권 제2호. pp. 8∼15.
- 최윤영, 산재근로자 재활서비스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직업재활연구 제19집 제1호, 2009, pp. 121-142.
- Gerdes. N. & Weis. J. Zur Theorie der Rehabilitation. In: Grundlagen der Rehabilitaionswisenschaften. Berlin. 2000.
- Hahn, H.(1998) \"The politics of differences: disability and discrimina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44 NO 1, pp. 39-47.
- 강위영·나운환, 직업재활개론. 나눔의집. 2005.
- 김만두 외, 사회복지대백과사전, 나눔의집, 1999.
- 길버트 테럴, 사회복지정책론-분석틀과 선택의 차원, 나눔의집, 2007.
- 문선화 외. 장애인복지론, 양서원, 2007.
- 조성한 외, 사회복지정책론, 법문사, 2006.
- 근로복지공단, 찾아가는 서비스 직무교육 교재, 2005.
- 근로복지공단, 공단 중기 전략계획, 2010. 2.
- 근로복지공단, 2010년 실무편람, 2010.
- 노동부, 재활사업5개년게획 세부실천사업, 2001.6.
- 노동부, 산재보험 재활사업 중기(2006-2008) 발전계획, 2006.3.
- 김수근, 산재보험 요양·재활서비스 개선과제 성과평가, 노동부, 2006.
- 박정희, 산재보험 재활사업 현황과 과제, 제25차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워크
둘째 재활의 대상 및 개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는 중증장애인을 위주로 재활시스템을 구성함에 따라 의료재활외 사회재활과 직업재활에서 미미하였다. 오히려 대상을 확대하여 재활시스템을 구축하고 인프라를 확보한다면 재활시스템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산재기금은 공공적인 부분이며, 급여대상의 차별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대상의 확대를 통해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셋째 재활서비스의 차원에서는 현물중심으로 확대함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산재보험 수혜자들에게 서비스가 현물로 지급된다면 급여가 다른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을 줄이기 때문에 재활정책에 있어 정책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급여대상에 대한 등급평가에 행정낭비요인의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물급여의 확대와 관련하여 산재의료원산하에 있던 재활공학연구소를 활용하여 다른 기관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 여건도 마련되어 있다.
넷째 근로복지공단과 산재의료원 통합과 관련하여 재활을 위한 협의체를 통한 전달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지사에서 행하는 재활상담은 직업복귀·사회복귀로 이어지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산재의료원을 거점으로하여 의사, 재활상담사, 작업치료사, 직업평가사, 사회복지사 등 재활관련 전문가들의 협의체를 통해 사례관리를 해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활의 개념은 각각 단절되어진 단계를 거쳐 생산품을 생산하는 체계로는 이룰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부분이 현실성을 가질 수 있다면 재활상담사 및 사회복지사의 정원 확대 및 전문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이질적인 두 기관을 통합을 통한 장기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까지 합병이후 두기관의 조직과 예산이 분리되어 있고, 흡수의 방식으로서의 이루어진 현재의 합병은 조직 합리화차원에서 공단 또는 의료원의 민영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산재장애인의 사회복귀차원에서 후퇴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근로복지공단에서 확립코자하는 의료에서 재활까지의 시스템을 위해 통합 운영과 관련한 계획을 구축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통합관련하여 재활의지를 표명했지만 현재까지 합병이후의 로드맵은 없으며, 내부적으로 이전 그대로의 체제를 유지하는 틀에서 인적조정을 통해 중복기능을 축소시킨 것으로 결과물을 내놓을 순 없다.
4. 참고자료
- 김장기, 호주의 재해관리와 직업복귀 정책, 노동보험포럼, 2008 제1권 제2호. pp. 104∼110.
- 김한나, 긴급복지지원사업에 대한 정책적 분석 -길버트와 테렐의 이론적 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제7호, 2009, pp. 33~55.
- 박희찬, 직업재활 전문인력 정책 현황과 방향, 직업재활연구 제15집 제1호, pp. 25∼43.
- 윤조덕, 산재보험의 재활서비스 현황과 발전방안, 연금포럼, 2009. pp.31∼42.
- 윤조덕, 박수경, 산재장애인 삶의 질과 재활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 제5집 제2호, 1998, pp. 103∼123.
- 이달엽,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실천 제7권 4호, 2006, pp. 283∼305.
- 이달엽, 이승욱, 박혜전, 노임대,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직업재활연구, 제14집 제1호, pp.217∼246.
- 이승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요인에 관한 연구, 근로복지공단 연구센터 연구-2007-라-7, pp.2∼90.
- 이승욱, 재활상담사 직무분석을 통한 재활서비스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근로복지공단 연구센터 연구-2007-라-7, pp. 92∼187.
- 정승원, 정지훈, 박세진, 역량강화적 직업재활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17집 제2호, pp.187∼217.
- 조성재, 의료재활과 직업재활의 접목을 통한 산재보험 재활의 발전방향, 노동보험포럼, 2009 제2권 제2호. pp. 8∼15.
- 최윤영, 산재근로자 재활서비스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직업재활연구 제19집 제1호, 2009, pp. 121-142.
- Gerdes. N. & Weis. J. Zur Theorie der Rehabilitation. In: Grundlagen der Rehabilitaionswisenschaften. Berlin. 2000.
- Hahn, H.(1998) \"The politics of differences: disability and discrimina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44 NO 1, pp. 39-47.
- 강위영·나운환, 직업재활개론. 나눔의집. 2005.
- 김만두 외, 사회복지대백과사전, 나눔의집, 1999.
- 길버트 테럴, 사회복지정책론-분석틀과 선택의 차원, 나눔의집, 2007.
- 문선화 외. 장애인복지론, 양서원, 2007.
- 조성한 외, 사회복지정책론, 법문사, 2006.
- 근로복지공단, 찾아가는 서비스 직무교육 교재, 2005.
- 근로복지공단, 공단 중기 전략계획, 2010. 2.
- 근로복지공단, 2010년 실무편람, 2010.
- 노동부, 재활사업5개년게획 세부실천사업, 2001.6.
- 노동부, 산재보험 재활사업 중기(2006-2008) 발전계획, 2006.3.
- 김수근, 산재보험 요양·재활서비스 개선과제 성과평가, 노동부, 2006.
- 박정희, 산재보험 재활사업 현황과 과제, 제25차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워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