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3
Ⅱ. 관광동기의 정의
1. 동기의 정의 ···································································································································································· 4
2. 관광동기의 결정요인 ·················································································································································· 4
3. 관광동기의 종류 ··························································································································································· 5
Ⅲ. 관광동기의 유형
1. 메슬로우 욕구발달 5단계 ········································································································································ 8
2. 메킨토시의 관광객동기 소분류 ····························································································································· 8
3. ‘코믹의 4D’ 관광 · 여가 동기 ································································································································ 9
4. Graham M.S Dann의 관광동기 ····························································································································· 9
5. Muzaffer Uysal 관광동기 10가지 ························································································································· 10
6. Jost Krippendort의 관광동기 ·································································································································· 10
7. Schreyer와 Driver의 15가지 여가동기 ················································································································ 11
8. Hudman의 관광동기 9가지 범주화 ······················································································································ 12
Ⅳ. 관광동기 연구의 중요성 ············································································································································· 13
참고문헌 ····················································································································································································· 14
Ⅱ. 관광동기의 정의
1. 동기의 정의 ···································································································································································· 4
2. 관광동기의 결정요인 ·················································································································································· 4
3. 관광동기의 종류 ··························································································································································· 5
Ⅲ. 관광동기의 유형
1. 메슬로우 욕구발달 5단계 ········································································································································ 8
2. 메킨토시의 관광객동기 소분류 ····························································································································· 8
3. ‘코믹의 4D’ 관광 · 여가 동기 ································································································································ 9
4. Graham M.S Dann의 관광동기 ····························································································································· 9
5. Muzaffer Uysal 관광동기 10가지 ························································································································· 10
6. Jost Krippendort의 관광동기 ·································································································································· 10
7. Schreyer와 Driver의 15가지 여가동기 ················································································································ 11
8. Hudman의 관광동기 9가지 범주화 ······················································································································ 12
Ⅳ. 관광동기 연구의 중요성 ············································································································································· 13
참고문헌 ····················································································································································································· 14
본문내용
동을 한다.
⑤ 인간은 ‘도량’을 넓히기 위해서 관광행동을 한다.
⑥ 인간은 자유로움을 찾고 ‘자결권’을 누리기 위해서 관광행동을 한다.
⑦ 인간은 자아실현(self-realizatino)을 위해 관광행동을 한다.
⑧ 인간은 가장 행복한 순간을 만들기 위해서 관광행동을 한다.
7. Schreyer와 Driver의 15가지 여가동기
Schreyer와 Driver(1989)는 인간의 여가동기를 관련된 활동을 기주으로 앞의 그림과 같이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① 자연환경을 향유즛(enjoy nature)
경관을 감상함
일반적 자연체험
저개발지역 관광
② 긴장을 완화시킴(reduce tension)
긴장을 품
정신적 이완
일상으로부터 탈출
③ 독립(independence)
자유 누림
자율성 확보
자기통제
④ 유사한 가치관 공유(share similar values)
친구들과 함께 함
유사한 가치관을 공유한 타인과 함께 함
⑤ 회고/화상(回顧: introspection)
영적 회고
개인적 가치관 회고
⑥ 위험 감소 · 위험수용(risk reduction & taking)
위험완화
위험방지
모험
⑦ 신체단련(physical fitness)
치료
요양
⑧ 교육/선도(teach/lead others)
교육/기술 공유
타인선도
⑨ 새로운 사람을 만남(meet new peopld)
새로운 사람을 만남
새로운 사람을 관찰/탐색
⑩ 가족애(family kinship)
⑪ 향수(nostalgia)
⑫ 신체적 휴식(physical rest)
⑬ 소음 · 군중으로부터 탈출(escape noise & crowds)
혼자 있고 싶음
사생활보호
군중으로부터 벗어남
다른 사람들과 떨어져 있고 싶음
⑭ 야외학습활동(outdoor learning)
지식습득
탐구
자연학습
일반적 학습
⑮ 성취/자극(achievement/stimulation)
사회적 인정
자아존중
자극받음
자아신뢰
8. Hudman의 관광동기 9가지 범주화
Lioyed E. Hudman(1980)은 인간의 관광동기를 9가지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① 건강(health)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② 호기심(curiosity)
문화
정치
사회 또는 유명인(有名人)
물리적인 형체들
재난
③ 스포츠(sports)
참가
사냥 · 낚시
골프 · 테니스
스포츠 관람
④ 즐거움(pleasure)
여행
미술 · 오락
연예오락
도박
⑤ 영적 또는 종교적 목적(spiritual or religious)
성지순례
종교발생지/본부
역사적 장소
⑥ 전문가 · 사업 목적(professional & business)
교육
학문적 탐험
컨벤션
사업여행
⑦ 친인척 방문(friend & relatives)
친구방문
친척방문
⑧ 뿌리 찾기(roots synddrome)
고향방문
가족연구/가족탐사
⑨ 존경/인정(esteem) 박시사(2001). 동 기. 『관광소비자행동론』. 228-256
Ⅳ. 관광동기 연구의 중요성
관광행동과 관련된 연구 중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진 개념은 아마도 관광동기 혹은 관광욕구일 것이다. 그 이유는 관광동기나 욕구가 사람들이 왜 관광을 하는지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행위나 목적이 있는 이성적 행위라는 전제에서 보면, 관광동기는 가장 확실한 관광행동의 목적이 된다. 따라서 관광객이 가지고 있는 동기는 관광객이 어디로 여행을 갈 것인가, 즉 관광지의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함은 물론, 나아가 관광지 내에서의 활동을 결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작용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족 간의 화합이 중요한 여행목적이라면 관광지에서의 활동도 개인적인 스포츠보다는 가족 전체가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이와는 달리, 자연교육이 중요한 동기였다면 아마도 돌고래를 본다거나 자연 해설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둥 자연체험활동에 주안점을 두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관광동기를 이해한다는 것이 관광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마케터의 입장에서 볼 때, 관광행위가 관광동기와 관련성이 높다는 사실은 표적시장 전략을 위해 시장을 세부화할 때 관광동기가 중요한 세분화의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사람들의 관광동기가 다양하고 서로 이질적이며 관광행위나 관광지 선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마케터는 이를 기준으로 시장을 세분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독일 거주자들의 응답을 분석하여 관광객의유형을 신기성(novelty)을 추구하는 사람들, 도시생활을 즐기는 사람들, 해변 리조트를 찾는 사람들, 스포츠 활동을 좋아하는 사람들로 세분화하였는데, 이때 세분화의 기준변수로 사용된 것이 바로 동기요인들이었다. 연구 결과, 이렇게 관광동기를 이용해 세분화된 집단들은 선호하는 관광시설이나 관광지가 서로 다르며, 나이, 직업, 교육수준, 소득 등의 주요 인구통계적 변수들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광동기는 관광객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앞서 학습하였듯이 관광객의 만족도는 기대했던 것과 실제로 얻어진 성과와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기대란 관광을 떠나기 전에 얻으려고 했던 편익으로서, 이것이 바로 관광동기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관광동기는 결국 관광객들이 관광을 떠나기에 앞서 그 특정한 관광행동을 통해 채우고자 했던 결핍된 욕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광만족은 관광객이 관광행동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동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한가지 유념해야 할 점은 관광의 동기가 하나일 수도 있지만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어떤 관광객은 단순히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라는 한가지 목적만을 가지고 관광을 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려는 목적과 더불어 도시에서의 스트레스를 푼다거나 자녀의 체험학습을 위해 관광을 선택하기도 한다. 즉 사람들은 한 번의 여행에 대하여 한 가지 이상의 관광동기를 갖기도 한다. 장호찬(2008). 관광동기와 만족도. 『관광행동론』. 231-232
◆참고문헌
⑤ 인간은 ‘도량’을 넓히기 위해서 관광행동을 한다.
⑥ 인간은 자유로움을 찾고 ‘자결권’을 누리기 위해서 관광행동을 한다.
⑦ 인간은 자아실현(self-realizatino)을 위해 관광행동을 한다.
⑧ 인간은 가장 행복한 순간을 만들기 위해서 관광행동을 한다.
7. Schreyer와 Driver의 15가지 여가동기
Schreyer와 Driver(1989)는 인간의 여가동기를 관련된 활동을 기주으로 앞의 그림과 같이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① 자연환경을 향유즛(enjoy nature)
경관을 감상함
일반적 자연체험
저개발지역 관광
② 긴장을 완화시킴(reduce tension)
긴장을 품
정신적 이완
일상으로부터 탈출
③ 독립(independence)
자유 누림
자율성 확보
자기통제
④ 유사한 가치관 공유(share similar values)
친구들과 함께 함
유사한 가치관을 공유한 타인과 함께 함
⑤ 회고/화상(回顧: introspection)
영적 회고
개인적 가치관 회고
⑥ 위험 감소 · 위험수용(risk reduction & taking)
위험완화
위험방지
모험
⑦ 신체단련(physical fitness)
치료
요양
⑧ 교육/선도(teach/lead others)
교육/기술 공유
타인선도
⑨ 새로운 사람을 만남(meet new peopld)
새로운 사람을 만남
새로운 사람을 관찰/탐색
⑩ 가족애(family kinship)
⑪ 향수(nostalgia)
⑫ 신체적 휴식(physical rest)
⑬ 소음 · 군중으로부터 탈출(escape noise & crowds)
혼자 있고 싶음
사생활보호
군중으로부터 벗어남
다른 사람들과 떨어져 있고 싶음
⑭ 야외학습활동(outdoor learning)
지식습득
탐구
자연학습
일반적 학습
⑮ 성취/자극(achievement/stimulation)
사회적 인정
자아존중
자극받음
자아신뢰
8. Hudman의 관광동기 9가지 범주화
Lioyed E. Hudman(1980)은 인간의 관광동기를 9가지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① 건강(health)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② 호기심(curiosity)
문화
정치
사회 또는 유명인(有名人)
물리적인 형체들
재난
③ 스포츠(sports)
참가
사냥 · 낚시
골프 · 테니스
스포츠 관람
④ 즐거움(pleasure)
여행
미술 · 오락
연예오락
도박
⑤ 영적 또는 종교적 목적(spiritual or religious)
성지순례
종교발생지/본부
역사적 장소
⑥ 전문가 · 사업 목적(professional & business)
교육
학문적 탐험
컨벤션
사업여행
⑦ 친인척 방문(friend & relatives)
친구방문
친척방문
⑧ 뿌리 찾기(roots synddrome)
고향방문
가족연구/가족탐사
⑨ 존경/인정(esteem) 박시사(2001). 동 기. 『관광소비자행동론』. 228-256
Ⅳ. 관광동기 연구의 중요성
관광행동과 관련된 연구 중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진 개념은 아마도 관광동기 혹은 관광욕구일 것이다. 그 이유는 관광동기나 욕구가 사람들이 왜 관광을 하는지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행위나 목적이 있는 이성적 행위라는 전제에서 보면, 관광동기는 가장 확실한 관광행동의 목적이 된다. 따라서 관광객이 가지고 있는 동기는 관광객이 어디로 여행을 갈 것인가, 즉 관광지의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함은 물론, 나아가 관광지 내에서의 활동을 결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작용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족 간의 화합이 중요한 여행목적이라면 관광지에서의 활동도 개인적인 스포츠보다는 가족 전체가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이와는 달리, 자연교육이 중요한 동기였다면 아마도 돌고래를 본다거나 자연 해설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둥 자연체험활동에 주안점을 두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관광동기를 이해한다는 것이 관광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마케터의 입장에서 볼 때, 관광행위가 관광동기와 관련성이 높다는 사실은 표적시장 전략을 위해 시장을 세부화할 때 관광동기가 중요한 세분화의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사람들의 관광동기가 다양하고 서로 이질적이며 관광행위나 관광지 선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마케터는 이를 기준으로 시장을 세분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독일 거주자들의 응답을 분석하여 관광객의유형을 신기성(novelty)을 추구하는 사람들, 도시생활을 즐기는 사람들, 해변 리조트를 찾는 사람들, 스포츠 활동을 좋아하는 사람들로 세분화하였는데, 이때 세분화의 기준변수로 사용된 것이 바로 동기요인들이었다. 연구 결과, 이렇게 관광동기를 이용해 세분화된 집단들은 선호하는 관광시설이나 관광지가 서로 다르며, 나이, 직업, 교육수준, 소득 등의 주요 인구통계적 변수들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광동기는 관광객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앞서 학습하였듯이 관광객의 만족도는 기대했던 것과 실제로 얻어진 성과와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기대란 관광을 떠나기 전에 얻으려고 했던 편익으로서, 이것이 바로 관광동기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관광동기는 결국 관광객들이 관광을 떠나기에 앞서 그 특정한 관광행동을 통해 채우고자 했던 결핍된 욕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광만족은 관광객이 관광행동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동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한가지 유념해야 할 점은 관광의 동기가 하나일 수도 있지만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어떤 관광객은 단순히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라는 한가지 목적만을 가지고 관광을 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려는 목적과 더불어 도시에서의 스트레스를 푼다거나 자녀의 체험학습을 위해 관광을 선택하기도 한다. 즉 사람들은 한 번의 여행에 대하여 한 가지 이상의 관광동기를 갖기도 한다. 장호찬(2008). 관광동기와 만족도. 『관광행동론』. 231-232
◆참고문헌
추천자료
관광행동과 동기
관광동기 및 관광행동
관광욕구와 관광동기
[관광][관광동기][관광욕구][관광이벤트][관광기념품]관광 동기의 개념, 관광 동기의 구성요...
관광자와 관광행동 - 관광욕구, 관광동기, 관광욕구 동기와의 관계, 행동간의 관계
[구매의도][관광객][관광동기][구매][외국브랜드][원산지이미지]구매의도와 관광객, 구매의도...
[관광자원해설][관광][관광자원][해설][관광산업][관광자원해설 정의][관광자원해설 종류][관...
관광학개론_관광욕구와 관광동기에 관하여 설명하고 한국을 방문하는 해외관광객의 관광욕구...
관광학개론-관광욕구와 관광동기를 설명하고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입장에서 그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