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발달(영아기의 신체발달 생리기능발달 운동기능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기 발달(영아기의 신체발달 생리기능발달 운동기능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아기 발달

I. 신체발달

II. 생리기능 발달

III. 운동기능 발달

IV. 언어발달

V. 정서발달
1. 본능적 욕구정서
2. 분노
3. 공포
4. 낯가림과 불안
5. 웃음

VI. 인지발달
1. 피아제의 인지이론의 기본개념
2. 감각운동기
1) 제1단계 : 반사도식
2) 제2단계 : 일차 순환반응
3) 제3단계 : 이차 순환반응
4) 제4단계 : 이차 순환반응 조화
5) 제5단계 : 삼차 순환반응
6) 제6단계 : 정신적 표상

VII. 사회성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게 표현된다.
3) 공포
생후 일 년쯤이 되면 이동 능력이 생기면서부터 새로운 경험이나 환경의 확장으로 인하여 공포가 점차 증가하기 시작한다. 영아가 가장 공포를 자주 보이는 상황은 낯선 사람을 대하는 장면으로, 이를 이방인 불만(stranger anxiety)라고 부른다.
4) 낯가림과 불안
대부분 생후 6개월부터 나타나 심한 낯가림을 보이게 된다. 이는 외부 환경과 자신을 분리하기 시작하면서 낯선 환경이나 사람에 대해 불안을 느끼게 되면서 생겨나기 시작한다.
5) 웃음
영아 초기에는 기쁜 마음이나 행복 등의 즐거운 정서가 미소로 표현되지만, 점차 밝은 웃음으로 발달한다. 생후 1-2개월에는 의미가 없는 사회적 미소(social smile)가 나타나지만, 3개월 이후가 되면 친근한 주변 사람을 대할 때 밝은 웃음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생후 6개월이 되면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에 미소와 웃음을 더욱 자주 보여준다. 2세가 되면 영아는 흥미 있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도 좋아하는 사람이 나타나면 기쁨을 표시하게 된다.
VI. 인지 발달
인지(cognition)란 지식을 이끌어내기 위한 정신적 과정이다. 여기에는 기억, 상징, 범주화, 문제해결, 창조력, 상상, 꿈 등 모든 정신적 활동이 포함된다. 영아기는 감각을 통한 자극을 통해 인지를 발달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피아제(Piaget)의 이론은 영아기의 인지 발달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바탕이 된다.
(1) 피아제의 인지이론의 기본 개념
도식(schemes)이란 인지적인 구조로, 영아기 초기에서는 운동 동작패런에 의해 형성된다. 도식의 변화는 적응과 조직화의 두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Piaget, 1952).
먼저 적응(adaptation)이란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도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동화와 조절의 두 가지 활동으로 구성된다.
동화(assimilation)는 이미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도식을 통해 외부세계를 해석하는 것이며, 조절(accommodation)은 새로운 자극이 기존의 도식에 동화되지 못할 때, 인지적 구조의 변화를 가져 오게 하는 인지과정을 말한다. 인지발달을 위해서는 동화와 조절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를 평형(equilibration)이라 한다.
반면에 조직화(organization)는 환경과의 직접 접촉이 아닌 내면에서 일어난다. 아동이 새로운 지적 구조를 형성할 때에는 상호관련성이 있는 기존 도식들과 함께 연계시키며 조직화한다.
(2) 감각운동기
영아기의 인지 발달은 감각운동기(sensory motor period)로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인 자극을 통해 환경에 적응해나가는 기능을 발달시키는데 6단계로 나뉜다(Piaget, 1960).
1/ 제1단계 : 반사도식(reflexive schemes)
출생부터 1개월까지의 신생아로 자극에 대해 자동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반사(reflex)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반사 행동은 이후의 인지 발달을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2/ 제2단계 : 일차 순환반응(Primary circular reactions)
생후 1-4개월까지의 영아는 흥미를 자신의 신체에 국한시키고 같은 행동을 반복한다. 즉 이 단계의 영아의 반응은 자신의 신체에 국한된 것이고, 본능적 욕구에 의해 동기화되어, 즐거움을 주는 자기의 행동을 모방하여 반복하게 된다.
3/ 제3단계 : 이차 순환반응(secondary circular reaction)
4-8개월까지의 시기가 되면 영아는 관심이나 흥미를 외부의 자극으로 확장시키며 점차 인지를 발달시킨다. 자신의 행동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계속적으로 그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시기부터 영아는 모방을 통해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기 시작한다.
4/ 제4단계 : 이차 순환반응 조횐coordination of secondary circular reactions)
생후 8-12개월까지의 영아는 의도적이며 목표지향적인 행동이 발달한다. 또한 이 시기에 완벽하지는 않지만, 대상연속성(object permanence)이 생긴다. 대상연속성이란 눈앞에 물건이 보이지 않아도 그 물건은 계속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5/ 제5단계 : 삼차 순환반응(tertiary circular reactions)
생후 12-18개월까지의 영아는 목적을 위하여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다양한 행동을 익혀간다. 또한 대상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히 하고 있기 때문에, 장소를 옮겨가며 물건을 숨기더라도 그 물건을 찾아낼 능력을 가지고 있다.
6/ 제6단계 : 정신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
감각운동기의 마지막 단계는 정신적 표상으로 18-24개월까지의 영아가 해당된다. 정신적 표상이란 없는 물건이나 과거의 사건에 대해 심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영아가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도 상징적으로 사고를 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능력으로 영아는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머리 속으로 생각해보기 시작한다.
VII. 사회성 발달
영아의 사회성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발달하기 시작한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갖는 유대감을 애착이라 하는데, 최근 들어 아동 임상에서 애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영아기는 본격적인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기 이전이므로 어머니와의 애착관계가 이후의 사회성이나 인성부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들어, 아버지와의 관계가 사회성발달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26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