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길리건
길리건의 배려윤리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수준에 관한 연구
나딩스
나딩스의 배려윤리
나딩스의 배려교육론 4가지
Ⅲ. 결론
Ⅱ. 본론
길리건
길리건의 배려윤리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수준에 관한 연구
나딩스
나딩스의 배려윤리
나딩스의 배려교육론 4가지
Ⅲ. 결론
본문내용
여 재구성된 진정한 자기 능력감과 자기 존중감의 자아관에 입각하여 배려와 책임을 새롭게 구성해낸다.
이 수준에 해당하는 인물을 찾는 게 가장 힘들었다. 하지만 굳이 찾자면 금잔디가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신에 대한 배려 사이에서 고민을 하다가 절충적인 방향을 택했기 때문이다. 준표와의 사랑도 이루고 다른 사람에게 해가 가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음에 나와 있는 대본은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한 일화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한 사람의 목숨을 살린 영웅으로 대접을 받게 된다.
민하F4라고 들어봤어?
잔디에프...머요? 새로 나온 모기약이에요 그거?
민하걔네들한테 레드카드를 받는 순간, 전교생의 사냥감이 되는 거야. 이렇게
잔디(민하 가리키며)그럼 지금? 아니, 에프 폰지 뭔지 그것들을 가만 둬요?
원래 찌질한 놈들이 떼로 몰려다니면서 개폼 잡는 거거든요? (이소룡
처럼 엄지로 코를 슥 닦으며) 아우-우리 학교 같았으면 내가 완전 작살을 내주는 건데!
민하....(희미한 미소) 좋겠다. 네 친구들은
잔디 에?
민하 너 같은 친구를 둬서
민하, 난간에 올라서 떨어지려는 듯 눈감고 한발을 허공에 내딛는 순간
잔디E안 돼-!!
하지만 자신이 위험에 처하게 하면서 남을 구한 건 아니다. 자신의 생명이 위협받지 않는 선에서 남을 구했었다. 지하철 철로에 떨어진 사람을 구하려다 돌아가신 故 이수현 씨는 자신을 희생하면서 남을 구하려고 했기 때문에 길리건의 도덕성에서는 제 2수준에 속하지만 제 3수준에 속할 수는 없다. 이 점이 길리건의 이론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이었다. 우리의 정서 상 자신을 희생하면서 남을 위하는 행동이 가장 도덕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위인이라고 생각하는 윤봉길과 안중근 같은 분들도 나라를 위해서 자신의 목숨은 기꺼이 희생했다. 그런 행동을 높이 기리는데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단계에서는 겨우 제 2수준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나딩스의 배려윤리>
배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배려하는 사람과 배려 받는 사람이 함께 존재해야 한다. 왜냐하면 배려는 일방향적이고 희생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쌍방향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정한 배려는 배려하는 사람이 배려를 했을 때 배려받는 사람이 이를 수용했다는 응답을 보여줌으로써 완성될 수 있는 상호적인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갖는 배려의 의무는 배려가 완성될 수 있는 범위 내 즉, 우리와 직접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이 있는 친밀한 사람에 국한된다. 배려는 이러한 관계를 전제로 하고, 배려의 관계를 유지하고 발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나딩스는 배려의 관계가 배려의 원과 사슬을 통해 더 멀리 있는 낯선 타인에게로까지 확대되고, 타인을 배려해줄 수 있는 배려의 능력 즉, 윤리적 이상이 고양될 때 오늘날의 도덕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나딩스의 배려교육론 4가지>
① 본보기
교육에서 본보기는 언제나 중요하지만 특히 배려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배려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본보기를 강조하는 것은 도덕적 추론을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삼거나, 배려하라고 지식으로 가르치는 대신 직접 어떻게 배려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즉 배려할 수 있는 도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으로 교육하고 싶다면, 직접 학생들을 따뜻하게 배려함으로써 학생이 배려 받는다는 것이 실제로 어떤 것인지 느끼고 자신도 배려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라는 것이다.
② 대화
대화는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주고, 관계를 지지해주며, 서로에 대해 숙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화를 통해 상대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관계 속에서 내가 어
이 수준에 해당하는 인물을 찾는 게 가장 힘들었다. 하지만 굳이 찾자면 금잔디가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신에 대한 배려 사이에서 고민을 하다가 절충적인 방향을 택했기 때문이다. 준표와의 사랑도 이루고 다른 사람에게 해가 가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음에 나와 있는 대본은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한 일화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한 사람의 목숨을 살린 영웅으로 대접을 받게 된다.
민하F4라고 들어봤어?
잔디에프...머요? 새로 나온 모기약이에요 그거?
민하걔네들한테 레드카드를 받는 순간, 전교생의 사냥감이 되는 거야. 이렇게
잔디(민하 가리키며)그럼 지금? 아니, 에프 폰지 뭔지 그것들을 가만 둬요?
원래 찌질한 놈들이 떼로 몰려다니면서 개폼 잡는 거거든요? (이소룡
처럼 엄지로 코를 슥 닦으며) 아우-우리 학교 같았으면 내가 완전 작살을 내주는 건데!
민하....(희미한 미소) 좋겠다. 네 친구들은
잔디 에?
민하 너 같은 친구를 둬서
민하, 난간에 올라서 떨어지려는 듯 눈감고 한발을 허공에 내딛는 순간
잔디E안 돼-!!
하지만 자신이 위험에 처하게 하면서 남을 구한 건 아니다. 자신의 생명이 위협받지 않는 선에서 남을 구했었다. 지하철 철로에 떨어진 사람을 구하려다 돌아가신 故 이수현 씨는 자신을 희생하면서 남을 구하려고 했기 때문에 길리건의 도덕성에서는 제 2수준에 속하지만 제 3수준에 속할 수는 없다. 이 점이 길리건의 이론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이었다. 우리의 정서 상 자신을 희생하면서 남을 위하는 행동이 가장 도덕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위인이라고 생각하는 윤봉길과 안중근 같은 분들도 나라를 위해서 자신의 목숨은 기꺼이 희생했다. 그런 행동을 높이 기리는데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단계에서는 겨우 제 2수준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나딩스의 배려윤리>
배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배려하는 사람과 배려 받는 사람이 함께 존재해야 한다. 왜냐하면 배려는 일방향적이고 희생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쌍방향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정한 배려는 배려하는 사람이 배려를 했을 때 배려받는 사람이 이를 수용했다는 응답을 보여줌으로써 완성될 수 있는 상호적인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갖는 배려의 의무는 배려가 완성될 수 있는 범위 내 즉, 우리와 직접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이 있는 친밀한 사람에 국한된다. 배려는 이러한 관계를 전제로 하고, 배려의 관계를 유지하고 발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나딩스는 배려의 관계가 배려의 원과 사슬을 통해 더 멀리 있는 낯선 타인에게로까지 확대되고, 타인을 배려해줄 수 있는 배려의 능력 즉, 윤리적 이상이 고양될 때 오늘날의 도덕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나딩스의 배려교육론 4가지>
① 본보기
교육에서 본보기는 언제나 중요하지만 특히 배려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배려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본보기를 강조하는 것은 도덕적 추론을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삼거나, 배려하라고 지식으로 가르치는 대신 직접 어떻게 배려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즉 배려할 수 있는 도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으로 교육하고 싶다면, 직접 학생들을 따뜻하게 배려함으로써 학생이 배려 받는다는 것이 실제로 어떤 것인지 느끼고 자신도 배려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라는 것이다.
② 대화
대화는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주고, 관계를 지지해주며, 서로에 대해 숙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화를 통해 상대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관계 속에서 내가 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