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 유치원 교사의 양성과정과 자격체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교사 유치원 교사의 양성과정과 자격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검정 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자격증 검정수여
자격 취득
최소 학력
전문대학 졸업(이상)
고등학교 졸업(이상)
자격 구분
준교사, 2급1급 정교사, 수석교사
3급2급1급 보육교사
자료: 유아교육법 [시행 2014.04.29.] [법률 제12336호, 2014.01.28., 일부개정]
영유아보육법 [시행 2014.05.28.] [법률 제12697호, 2014.05.28., 일부개정]
2.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급수별 자격기준 비교
구 분
유 치 원
구분
어 린 이 집
수석 교사
유치원교사 자격을 소지한 사람으로서 15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지고 교수연구에 우수한 자질과 능력을 가진 사람 중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한 바에 따라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연수 이수 결과를 바탕으로 검정수여하는 자격증을 받은 자
정교사 1급
(12,816명)
유치원 정교사(2급) 자격증을 가진 자로서 3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지고 소정의 재교육을 받은 자
유치원 정교사(2급) 자격증을 가지고 교육대학원 또는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대학원의 교육과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은자로서 1년 이상의 교육경력이 있는 자
보육
교사
1급
(121,361명)
보육교사 2급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승급교육을 받은 사람
보육교사 2급 자격을 취득한 후 보육 관련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하고 1년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승급교육을 받은 사람
정교사 2급
(31,896명)
대학에 설치하는 유아교육과 졸업자
대학(전문대학 및 이와 동등시상의 각종학교와 「평생교육법」 제31조 제3항에 따른 전문대학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을 포함한다)졸업자로서 재학중 소정의 보육과 교직학점을 취득한 자
교육대학원 또는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대학원의 교육과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전공하고 석사학위를 받은 자
유치원 준교사자격증을 가진 자로서 2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지고 소정의 재교육을 받은 자
보육
교사
2급
(95,902명)
전문대학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교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교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을 이수하고 졸업한 사람
보육교사 3급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승급교육을 받은 사람
준교사
유치원 준교사 자격검정에 합격한 자
보육
교사
3급
(11,849명)
고등학교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교를 졸업한 사람으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시설에서 정해진 교육과정을 수료한 사람
자료: 통계청2015
3.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 및 원감 자격기준
구 분
유치원
구 분
어린이집
원 장
유치원의 원감자격증을 가지고 3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소정의 재교육을 받은 자
학식덕망이 높은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한다고 교육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자
일반기준
보육교사 1급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의 보육 등 아동복지업무에 경력 있는 사람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치원 정교사 1급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의 보육 등 아동복지 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유치원 원장의 자격을 가진 사람
「초중등교육법」에 따른 초등학교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의 보육 등 아동복지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의 보육 등 아동복지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 면허증을 취득한 후 7년 이상의 보육 등 아동복지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7급 이상의 공무원으로 보육등 아동복지업무에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원 감
유치원 정교사(1급) 자격증을 가지고 3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소정의 재교육을 받은 자
유치원 정교사(2급) 자격증을 가지고 6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소정의 재교육을 받은 자
가정
어린이집
일반기준에 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
보육교사 1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1년 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비 고
원장원감, 초중등교육법의 규정에 의한 교장교감교육장장학관장학사교육연구관교육연구사의 경력연수는 교육경력연수로 볼 수 있다.
영아전담 어린이집
일반기준에서 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
간호사 면허증을 취득한 후 5년 이상의 아동간호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일반기준에 정한 자격을 갖춘 자로서 다음 각 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장애아어린이집에서 2년 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에 해당하는 자로서 다음 각 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자료: 유아교육법(2014), 제22조1항 별표 1, 보건복지부(2014), 2014년도 보육사업안내.
Ⅲ. 참고 문헌 및 사이트
김은영·김길숙·이연주(2016).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에 대비한 교사 자격 제도 개선 방안: 교사양성기관 교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141-160.
김수향·임경심·홍혜경(2014). 유보통합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간 인식비교. 한국유아교육연구, 34(3), 379-400.
김민자(2016). 유보통합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교사의 근무조건 요구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이미화(2016).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사 양성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16(0), 87-99.
염지숙(2016).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사 양성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16(0), 100-102 .
김은영·김길숙·이연주(2014).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자격 및 양성 관련 체제분석. 육아정책연구소 정부 간행물
2016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 편람. 2016.1. 교육부
유아교육법 시행규칙. 2015.12.31.
영유아 보육법 시행규칙 2016.09.20.
보육인력 국가 자격증 홈페이지 http://chrd.childcare.go.kr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홈페이지 http://cmsdv.yonsei.ac.kr/gse/sub05/sub0503/sub05_03.asp
영유아 보육법 시행규칙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6374&efYd=20160920#0000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