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음 장애란?
2. 조음 장애의 유형
3.보호자가 보이는 실수들
2. 조음 장애의 유형
3.보호자가 보이는 실수들
본문내용
고, 오랜 시간 본인의 발음에 익숙해져서 목표음과 본인의 오류음과의 변별에서도 혼란을 보였다. 이 남학생은 발음 교정에 필요한 활동 중의 한 과제를 수행하는 데에 남들에 비해 몇 배의 시간이 필요했다. 빠른 경우이긴 하지만, 위의 예들을 통해, 수술 이후의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 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혀 소대 수술을 결심했던 어느 보호자에게 수술 하기 전에 언어 평가를 받고, 그에 적합한 언어 치료/교육을 우선 실시한 이후 경과를 지켜보자고 권했던 사례가 있다. 그 아이는 언어 치료/교육만으로도 발음문제가 없어졌기 때문에 당연히 수술을 하지 않고 본원을 졸업(?)하게 되었다. 지금도 발음이 나쁜 것 때문에 막연히 혀 소대 수술을 고려 중이라면, 우선 언어 평가받기를 그리고 수술 이후에 단기간이라도 교육받기를 권한다.
5)\'모든 음소를 정확히 발음해야 정상이다.\'라고 생각한다.
앞서 \'음운의 정상 발달\'에 대해 간략히 기술한 것을 보았다면, 연령에 따라 다르게 음운 습득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정상 범주에 속한다\'라고 명명되는 아이들 내에서도 빠른 아이가 있고, 다소 늦는 아이도 있다. 남달리 발달이 빨라 나이에 비해 어려운 음소인 /
5)\'모든 음소를 정확히 발음해야 정상이다.\'라고 생각한다.
앞서 \'음운의 정상 발달\'에 대해 간략히 기술한 것을 보았다면, 연령에 따라 다르게 음운 습득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정상 범주에 속한다\'라고 명명되는 아이들 내에서도 빠른 아이가 있고, 다소 늦는 아이도 있다. 남달리 발달이 빨라 나이에 비해 어려운 음소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