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고 보며, 인간이 사회속에서 다른 사람을 관찰하고 그 사람들의 행동을 학습하는 관찰학습과 사회화에 대해서 강조한다. 여기서는 행동 중심의 접근을 하는 도덕 교과서 3차시 수업에서 이 이론을 어떻게 활용하여 수업을 할 것인지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행동 중심의 접근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은 도덕성의 행동적 요소인 도덕적 행위 능력을 함양하고 도덕적 행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도덕적 습관을 형성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다시 말해, 주요 가치나 덕복에 따르는 도덕적 행동을 직접 해보면서 도덕적 행동을 익히는 데 관심을 둔다. 그리고 행동 중심의 접근의 일반적 교수-학습 절차는 도입, 전개, 정리의 수업 진행 절차에 맞추어 ①도덕적 실천이나 모범적 행동 제시하기, ② 도덕적 실천 다짐과 실천 계획 세우기, ③ 도덕적으로 행동하고 습관화하기의 3단계이다. 사실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행위를 지도하는 것은 도덕적 행위는 실제로 교실 장면보다는 생활 장면에서 나타나는 것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행동에 관한 교수-학습 활동은 상황에 따라 교실 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교실 밖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도입 단계에서는 도덕적 실천 상황 조성, 도덕적 모범 행동 제시, 학습 동기 유발, 학습 목표 제시하기의 학습 활동을 한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관찰학습의 대상이 될 모델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학생들에게 제시 될 모델이 학생과 비슷한 연령, 성, 학습능력을 가진 모델의 성취 장면일 경우, 학습자 자신도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되어 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아지게 될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3학년 2학기 ‘자연은 내친구’ 단원의 도입에서 환경정리 활동을 잘 하여 상을 받은 어린이 등을 모델로 보여주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전개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행동화이다. 도덕적 행위 능력을 함양하고 도덕적 행위를 습득하여 도덕적 행위가 습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학교에서의 도덕과 교육은 대부분 교실 수업이기 때문에 도덕적 행동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전개 단계에서는 도덕적 행동을 실습해 보거나 훈련해 보고, 그리고 실연하고 직접 체험하는 활동을 한다. 도덕적 행동을 훈련한다는 것은 도덕적 행동을 여러 번 반복해 보고 이러한 행동이 몸에 배어 습관화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실 수업의 한계 상 이것을 실습하기 위해서는 가상적 상황에서 직접 도덕적 행동을 해보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설정하고 도덕적 행동을 실제로 해보면서 익히는데 교사는 여기에서 진보하고 있는 학습자에게는 진보를 지각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수행 피드백을 해야 한다. 학습자 자신이 목표에 접근하면서 진보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면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와 같은 운동동작의 계속적인 실천과 자기 수정적 조정의 과정은 관찰학습에서 내적 표상체계를 행동으로 전환하는 운동재생과정(motor reproduction process)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시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자기 효능감을 높여가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목표 행위에 대한 동기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정리 단계에서는 배운 내용을 정리 요약하면서 도덕적 실천을 다짐한다.
※ 참고 자료
김재식, 초등 도덕과 교육의 이해(울력, 2006)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wndtla9?Redirect=Log&logNo=19369483
http://blog.naver.com/misspp78?Redirect=Log&logNo=110018422939
행동 중심의 접근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은 도덕성의 행동적 요소인 도덕적 행위 능력을 함양하고 도덕적 행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도덕적 습관을 형성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다시 말해, 주요 가치나 덕복에 따르는 도덕적 행동을 직접 해보면서 도덕적 행동을 익히는 데 관심을 둔다. 그리고 행동 중심의 접근의 일반적 교수-학습 절차는 도입, 전개, 정리의 수업 진행 절차에 맞추어 ①도덕적 실천이나 모범적 행동 제시하기, ② 도덕적 실천 다짐과 실천 계획 세우기, ③ 도덕적으로 행동하고 습관화하기의 3단계이다. 사실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행위를 지도하는 것은 도덕적 행위는 실제로 교실 장면보다는 생활 장면에서 나타나는 것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행동에 관한 교수-학습 활동은 상황에 따라 교실 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교실 밖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도입 단계에서는 도덕적 실천 상황 조성, 도덕적 모범 행동 제시, 학습 동기 유발, 학습 목표 제시하기의 학습 활동을 한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관찰학습의 대상이 될 모델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학생들에게 제시 될 모델이 학생과 비슷한 연령, 성, 학습능력을 가진 모델의 성취 장면일 경우, 학습자 자신도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되어 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아지게 될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3학년 2학기 ‘자연은 내친구’ 단원의 도입에서 환경정리 활동을 잘 하여 상을 받은 어린이 등을 모델로 보여주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전개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행동화이다. 도덕적 행위 능력을 함양하고 도덕적 행위를 습득하여 도덕적 행위가 습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학교에서의 도덕과 교육은 대부분 교실 수업이기 때문에 도덕적 행동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전개 단계에서는 도덕적 행동을 실습해 보거나 훈련해 보고, 그리고 실연하고 직접 체험하는 활동을 한다. 도덕적 행동을 훈련한다는 것은 도덕적 행동을 여러 번 반복해 보고 이러한 행동이 몸에 배어 습관화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실 수업의 한계 상 이것을 실습하기 위해서는 가상적 상황에서 직접 도덕적 행동을 해보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설정하고 도덕적 행동을 실제로 해보면서 익히는데 교사는 여기에서 진보하고 있는 학습자에게는 진보를 지각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수행 피드백을 해야 한다. 학습자 자신이 목표에 접근하면서 진보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면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와 같은 운동동작의 계속적인 실천과 자기 수정적 조정의 과정은 관찰학습에서 내적 표상체계를 행동으로 전환하는 운동재생과정(motor reproduction process)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시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자기 효능감을 높여가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목표 행위에 대한 동기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정리 단계에서는 배운 내용을 정리 요약하면서 도덕적 실천을 다짐한다.
※ 참고 자료
김재식, 초등 도덕과 교육의 이해(울력, 2006)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wndtla9?Redirect=Log&logNo=19369483
http://blog.naver.com/misspp78?Redirect=Log&logNo=11001842293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