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조사의 개요
1. 조사의 배경과 목적
2. 주요 조사내용
3. 조사의 기본 설계
4. 표본의 특성
제2장 설문결과 분석
1. 대북지원 인식
2. 정부의 대북지원 평가
3. 북한 핵에 대한 인식
4. 통일에 대한 인식
제3장 결론
1. 조사의 배경과 목적
2. 주요 조사내용
3. 조사의 기본 설계
4. 표본의 특성
제2장 설문결과 분석
1. 대북지원 인식
2. 정부의 대북지원 평가
3. 북한 핵에 대한 인식
4. 통일에 대한 인식
제3장 결론
본문내용
1.6
1.7
1.7
1.7
미필
66
2.0
1.9
1.8
1.9
1.7
무응답
8
2.3
2.1
1.8
2.1
1.4
이념성향
보수
28
1.9
1.6
1.6
1.7
1.4
중도
73
1.9
1.7
1.7
1.8
1.7
진보
31
1.9
1.9
1.9
1.9
1.8
무응답
4
2.5
2.3
1.5
1.8
1.5
* 정치, 사회, 국방·안보의 사례수는 135개임.
○ 북한 핵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세 영역에서 성별, 병역여부, 이념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세 영역의 경우, 성별로는 남성, 병역여부는 군필, 이념성향은 보수에 가까울수록 북한 핵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라 할 수 있음.
【표 7】북한 핵에 대한 인식 상관관계
구분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성별
.107
.104
.001**
.001**
.001**
병역 여부
.179
.085
.012*
.001**
.048*
이념 성향
.436
.236
.001**
.001**
.001**
* p
4. 통일에 대한 인식
13.~17.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차원에서 북한 핵의 영향
항 목
개인
(N=136)
%
경제
(N=136)
%
정치
(N=136)
%
사회
(N=136)
%
국방·안보
(N=136)
%
① 매우 해로움
② 어느 정도 해로움
③ 상관없음
④ 어느 정도 이로움
⑤ 매우 이로움
1.5
6.6
5.9
49.3
36.0
1.5
12.5
4.4
41.9
39.0
2.9
21.3
11.8
38.2
25.0
0.0
11.0
5.1
52.9
30.1
0.7
8.8
2.9
36.0
50.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평 균
4.1
4.0
3.6
4.0
4.3
○ 통일에 대한 인식을 5점척도(매우 이로움=5점, 상관없음=3점, 매우 해로움=1점)로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영역에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정치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평균 4.0을 넘어 조사 대상자들은 대체로 통일이 개인과 경제, 사회, 국방·안보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인식
- 성별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은 여성에 비해 경제, 사회 영역에서 통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병역여부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군필이 미필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통일에 대한 인식이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 이념성향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진보적일수록 통일에 대한 평균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표 8】통일에 대한 인식 평균
구 분
사례수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전 체
136
4.1
4.0
3.6
4.0
4.3
성별
남성
90
4.1
4.1
3.6
4.1
4.3
여성
44
4.1
3.9
3.7
3.9
4.3
무응답
2
2.5
2.0
1.0
2.0
1.0
병역여부
군필
62
4.3
4.3
3.8
4.2
4.5
미필
66
4.0
3.9
3.5
3.9
4.1
무응답
8
3.6
3.4
3.1
3.6
3.5
이념성향
보수
28
4.0
4.0
3.5
4.0
4.2
중도
73
4.1
4.0
3.6
4.0
4.3
진보
31
4.3
4.2
3.8
4.1
4.5
무응답
4
2.8
3.3
2.3
3.3
2.5
○ 통일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모든 영역에서 성별, 병역여부, 이념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통일에 대한 인식은 성별과 병역 여부, 이념 성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즉 통일에 대한 인식이 성별, 병역 여부, 이념 성향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됨에 따라 통일에 대한 인식은 성별, 병역 여부, 이념 성향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는 대립가설이 채택됨.
【표 9】통일에 대한 인식 상관관계
구분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성별
.001**
.001**
.001**
.001**
.001**
병역 여부
.001**
.010*
.006**
.001**
.001**
이념 성향
.001**
.001**
.001**
.001**
.001**
* p
18. 통일비용 개인부담 용의
항 목
현재
(N=136)
%
① 1% 이하
② 5% 이하
③ 10% 이하
④ 10% 이상
⑤ 낼 수 없다
14.7
38.2
27.9
12.5
5.1
계
100.0
○ 통일비용 개인부담 용의 조사 결과, 조사대상의 5.1%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통일비용을 부담할 용의가 있다고 응답함.
- 전체 응답 비율을 살펴보면 연소득 5% 이하가 52.9%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행 소득세율 6~38%를 기준으로 주민세가 소득세의 10% 수준임을 가정하면 매우 높은 수치임.
【표 10】통일비용 부담 용의 상관관계
구분
통일비용 부담 용의
성별
.001*
병역 여부
.003*
이념 성향
.001*
* p
제3장 결론
○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범주형 변수인 성별, 병역여부, 이념성향 에 따라 5점 척도의 정량적 변수(인식 수준, 평가도 등)와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을 경우 교차분석을 통한 카이제곱 검정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음.
- 그러나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의 차이점과 둘 사이의 비교를 위한 필자의 이해력 부족으로 본 보고서에서는 카이제곱 검정만을 통해 통계적 유의미성을 관측하였음.
- 또한 각 변수별 표준화를 통해 각각의 요인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나, 조사 대상의 특성이 단순하고, 조사내용의 문항이 단순하여 표준화를 통한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없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차분석을 통한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몇 몇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음.
- 특히 통일에 대한 인식에 대한 조사는 조사대상의 특성에 따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음.
○ 다만, 설문내용이 너무 단순하고 조사대상인 @@대 북한학과 개설과목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갖는 특정한 대표성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본 조사를 학술적으로 활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음.
1.7
1.7
1.7
미필
66
2.0
1.9
1.8
1.9
1.7
무응답
8
2.3
2.1
1.8
2.1
1.4
이념성향
보수
28
1.9
1.6
1.6
1.7
1.4
중도
73
1.9
1.7
1.7
1.8
1.7
진보
31
1.9
1.9
1.9
1.9
1.8
무응답
4
2.5
2.3
1.5
1.8
1.5
* 정치, 사회, 국방·안보의 사례수는 135개임.
○ 북한 핵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세 영역에서 성별, 병역여부, 이념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세 영역의 경우, 성별로는 남성, 병역여부는 군필, 이념성향은 보수에 가까울수록 북한 핵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라 할 수 있음.
【표 7】북한 핵에 대한 인식 상관관계
구분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성별
.107
.104
.001**
.001**
.001**
병역 여부
.179
.085
.012*
.001**
.048*
이념 성향
.436
.236
.001**
.001**
.001**
* p
13.~17.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차원에서 북한 핵의 영향
항 목
개인
(N=136)
%
경제
(N=136)
%
정치
(N=136)
%
사회
(N=136)
%
국방·안보
(N=136)
%
① 매우 해로움
② 어느 정도 해로움
③ 상관없음
④ 어느 정도 이로움
⑤ 매우 이로움
1.5
6.6
5.9
49.3
36.0
1.5
12.5
4.4
41.9
39.0
2.9
21.3
11.8
38.2
25.0
0.0
11.0
5.1
52.9
30.1
0.7
8.8
2.9
36.0
50.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평 균
4.1
4.0
3.6
4.0
4.3
○ 통일에 대한 인식을 5점척도(매우 이로움=5점, 상관없음=3점, 매우 해로움=1점)로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영역에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정치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평균 4.0을 넘어 조사 대상자들은 대체로 통일이 개인과 경제, 사회, 국방·안보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인식
- 성별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은 여성에 비해 경제, 사회 영역에서 통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병역여부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군필이 미필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통일에 대한 인식이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 이념성향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진보적일수록 통일에 대한 평균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표 8】통일에 대한 인식 평균
구 분
사례수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전 체
136
4.1
4.0
3.6
4.0
4.3
성별
남성
90
4.1
4.1
3.6
4.1
4.3
여성
44
4.1
3.9
3.7
3.9
4.3
무응답
2
2.5
2.0
1.0
2.0
1.0
병역여부
군필
62
4.3
4.3
3.8
4.2
4.5
미필
66
4.0
3.9
3.5
3.9
4.1
무응답
8
3.6
3.4
3.1
3.6
3.5
이념성향
보수
28
4.0
4.0
3.5
4.0
4.2
중도
73
4.1
4.0
3.6
4.0
4.3
진보
31
4.3
4.2
3.8
4.1
4.5
무응답
4
2.8
3.3
2.3
3.3
2.5
○ 통일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모든 영역에서 성별, 병역여부, 이념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통일에 대한 인식은 성별과 병역 여부, 이념 성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즉 통일에 대한 인식이 성별, 병역 여부, 이념 성향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됨에 따라 통일에 대한 인식은 성별, 병역 여부, 이념 성향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는 대립가설이 채택됨.
【표 9】통일에 대한 인식 상관관계
구분
개인
경제
정치
사회
국방·안보
성별
.001**
.001**
.001**
.001**
.001**
병역 여부
.001**
.010*
.006**
.001**
.001**
이념 성향
.001**
.001**
.001**
.001**
.001**
* p
항 목
현재
(N=136)
%
① 1% 이하
② 5% 이하
③ 10% 이하
④ 10% 이상
⑤ 낼 수 없다
14.7
38.2
27.9
12.5
5.1
계
100.0
○ 통일비용 개인부담 용의 조사 결과, 조사대상의 5.1%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통일비용을 부담할 용의가 있다고 응답함.
- 전체 응답 비율을 살펴보면 연소득 5% 이하가 52.9%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행 소득세율 6~38%를 기준으로 주민세가 소득세의 10% 수준임을 가정하면 매우 높은 수치임.
【표 10】통일비용 부담 용의 상관관계
구분
통일비용 부담 용의
성별
.001*
병역 여부
.003*
이념 성향
.001*
* p
○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범주형 변수인 성별, 병역여부, 이념성향 에 따라 5점 척도의 정량적 변수(인식 수준, 평가도 등)와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을 경우 교차분석을 통한 카이제곱 검정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음.
- 그러나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의 차이점과 둘 사이의 비교를 위한 필자의 이해력 부족으로 본 보고서에서는 카이제곱 검정만을 통해 통계적 유의미성을 관측하였음.
- 또한 각 변수별 표준화를 통해 각각의 요인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나, 조사 대상의 특성이 단순하고, 조사내용의 문항이 단순하여 표준화를 통한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없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차분석을 통한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몇 몇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음.
- 특히 통일에 대한 인식에 대한 조사는 조사대상의 특성에 따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음.
○ 다만, 설문내용이 너무 단순하고 조사대상인 @@대 북한학과 개설과목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갖는 특정한 대표성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본 조사를 학술적으로 활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음.
추천자료
신뢰의 관점에서 본 여성 정책
[통일교육][남북통일][통일]통일교육의 의미, 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변화상과 통일교...
정보화와 한국인의 의식변화
학교통일교육의 기본 방향, 학교통일교육의 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지도 원칙, 학교통일교육...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모형]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이념, 통일교육과 문화이해정보교...
I. 사회복지의 역사의 의의와 방법론 (영국,미국,독일 물론 포함)
[통일의식, 남북통일, 통일교육]통일의식의 정의, 통일의식과 남북통일, 통일의식과 통일교육...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의 이미지 연관성 연구 -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대학생 대북 통일의식 조사 - 연구의 목적과 방법 빈도분석 교차분석 설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