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총론 - 신약 성경의 배경 신약의 정경 신약의 원본 사본 및 역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총론 - 신약 성경의 배경 신약의 정경 신약의 원본 사본 및 역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들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고린도 전.후서 당시 고린도는 교통과 상업의 십자로(十字路)였다. 그 결과 고린도는 부와 쾌락의 도시가 되었으며, 사람들은 여러 가지의 향락을 누리기 위하여 이곳에 오곤 했다. 고린도의 높은 지점에는 사랑의 여신(與信) 아프로디테(Aphrodite)의 신전이 있고 거기에는 이 신전에 속한 신도들과 시민들의 성적 만족을 충족시켜 주는 창녀(娼女)들이 득실거렸다. 바로 이 고린도에 교회가 설립되었다. 교회설립의 내용은 사도행전 18:1-8에 기록되어 있다. 바울이 아덴을 떠나 고린도에 왔을 때는 혼자였다. 친구와 돕는 교회들과 끊긴 바울은 경제적 수단으로서 천막 만드는 일을 했다. 이 무렵 바울은 디모데의 보고에 만족하여 데살로니가 전서를 썼던 것이다.
① 기록자
로마의 클레멘트(Clement of Rome)가 A.D. 95년경 로마교회의 이름으로 고린도 교인들에게 쓴 편지 가운데 고린도전서를 인용하고 있다. 고린도 전서의 가장 중요한 증거는 내증이다. 고전1:1, 16:21(참고, 1:12-17, 3:4, 6, 22)에서 기록자는 자신의 이름을 여러번 바울이라고 부른다. 고린도 후서의 내증으로서는 고후 1:1, 10:1에서 기록자는 자기 자신을 바울이라고 부르고 있고 문체와 어휘 등도 인정된 다른 바울 서신과 일치된다.
② 기록한 연대와 장소
고린도전서는 에베소를 떠날 수 없는 바울은 편지를 쓰기로 한 것이다 (고전 16:3-9) 아마도 그때가 A.D.55년 가을이나 겨울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고전 16:8에서 오순절까지 머무르겠다고 한 것으로 보아 오순절 직전에 기록한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후서는 때는 A.D.56년 장소는 마게도냐이다.
③ 고린도서의 목적과 특징
고린도 전서의 목적은 바울은 여러 사람들을 통하여 듣게 된 고린도 교회의 문제들을 시정하려고 고린도 전서를 기록했다(고전 1-6장). 특히 그는 교회의 분쟁에 대해서 책망했다(고전 1:10-4:21). 고린도 후서를 기록한 목적은 먼저 바울이 아시아, 즉 에베소에서 고난을 당하는 목적이 무엇이며(고후 1:3-11), 왜 그가 고린도 교회의 부흥에 대한 그의 기쁨을 표현하고(고후 2:12-13), 거짓 교사들에게서 분리할 것(6:11-7:16),구제 연보에 대한 교회의 의무를 감당할 것(고후 8:1-9:15), 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변호(고후 10;1-13:14)를 하려는 데 있다.
고린도 전서의 특징은 지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강조한 점을 들 수 있다.고린도후서의 특징은 바울 서신 가운데서 가장 자서전적(自敍傳的)이라는데 있다. 또 고린도 후서는 바울이 가는 곳마다 그를 괴롭혔던 거짓 교사들의 성격과 계략에 대해서 자세히 보여준다. 고린도 후서에는 또한 사탄의 인격과 활동에 대해서 강조되어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2) 갈라디아서 갈라디아서는 기독교 자유의 대헌장(Magna Charta)이요,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한 선언서라고 불리우는 책이다.
① 기록자
강한 외증과 내증을 가지고 있다. 먼저 로마의 클레멘트는 그의 고린도인에게 보내는 편지(2장)에서 갈 3:1을 암시하고 있고, 풀리갑은 그의 빌립보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갈 6:7(5장), 4:26(3장), 4:18(4장)을 각각 인용하고 있다.내증도 강하다. 기록자는 두번이나 자신을 바울이라고 했다(갈1:1 ; 5:2).
② 기록한 연대와 장소
바울이 3차 전도여행 중에 고린도후서를 기록한지 얼마 안되어 마케도니아에서 갈라디아서를 급히 기록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기록연대는 A.D.56년경으로 보아진다.
③ 갈라디아서의 목적과 특징
직접적 목적은 1~2장에서 바울의 사도적 권위와 메시지에 대한 유대주의자들의 공격에 대해 변호하려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3~4장에서 이신득의의 교리를 설명하고 변호한 것이고, 실생활에 대한 교훈을 통하여 성령에 의해서 지배되는 생활을 강조한 것이다.
갈라디아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쉽게 발하면 갈라디아 \"율법이냐, 아니면 복음이냐\"하는 양자택일을 요구하는 선언문이기 때문에 바울의 열정이 가장 잘 표현되었고 가장 웅변적인 글로 되어 있다.
(3) 로마서 본래 로마시의 기원은 753B.C.에 세워졌다고 하는데 자세한 역사적 기록은 없다. 다만 신화에 근거한 전설이 있을 뿐이다. 즉 전설에 의하면 군신의 아들이 로무루스가 악한 친척들에 의하여 쫓겨난 뒤 늑대와 목자의 아내에 의하여 그 생명을 건졌다고 한다. 그 후 그가 왕이 된 다음 그 도시를 그의 이름을 따서 \"로마\'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신약시대에 로마의 인구는 백만이 넘었으며, 대부분이 노예들이었다. 인종과 종교의 국제시장이라고 할 만큼 사원만도 420개가 넘었다고 한다. 바울 당시 로마는 로마제국의 수도였다. 정치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세계의 중심지였으며 “모든 길은 로마도 통한다”는 말대로 교통의 중심지였다.
① 기록자
기록자는 자신을 바울이라고 했고(롬 1:1), 바울을 뜻하는 \"이방인의 사도\"(11:13, 15:15-20)란 말로 자신을 밝히고 있다. 내용면에서도 다른 바울서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로마서의 기록자가 바울이란 점은 추호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② 기록한 연대와 장소
로마서는 A.D.57년 겨울, 바울의 3차 전도여행을 끝마칠 무렵, 즉 고린도에 3개월간 체류하는 마지막 때에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더디오가 대서했으며 (롬 6:1) 로마로 전달되었다.
③ 로마서의 목적과 특징
직접적 목적은 스페인 전도를 위해 로마교인들의 협력을 얻으려는 데 있었다. 특징은 Harrison, op.cit., pp.286-288.
먼저 서신이라기보다는 논문 같은 냄새를 풍기다는 점이다. 두 번째, 특징은 구약성경의 많은 구절들이 인용되고 있으며 많은 구약의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⑤ 바울 복음서신의 메시지 - “이신득의”
3. 옥중서신(The Prison Epistles)옥중서신은 기독론(基督論)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1) 골로새서 골로새는 리커스(Lycus) 강을 바라보는 돌 많은 산에 위치한다. 에베소에서 약 100마일 동쪽에 있고 라오디게아에서는 12마일 북쪽에
  • 가격2,8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