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그림검사
(가) 인물상의 행위
(나) 양식
(다) 상징
(라) 역동성
(마) 인물상의 특징
* 참고문헌
(가) 인물상의 행위
(나) 양식
(다) 상징
(라) 역동성
(마) 인물상의 특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한다.
- 윤곽선 형태 : 강박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내담자는 인물상을 빈틈없이 그릴 수 없을 정도로 과도하게 집착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 신체 부분의 과장 : 신체 부분의 확대, 혹은 과장은 그 부분의 기능에 대한 집착을 나타낸다. 어떤 이들은 신체 내부를 투명하게 보여주는데 이는 현실 왜곡, 빈약한 현실 감각, 정신장애 가능성을 내포하며 낮은 지적 기능을 시사한다.
- 신체 부분의 생략 : 신체 부분의 생략은 종종 그 신체 부위의 기능의 거부와 그 부분에 집착된 불안 또는 죄의식을 의미한다.
- 얼굴 표정 : 얼굴에 나타나는 표정은 직접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해석상에 더욱 확실한 지표이다.
- 의복의 장식 : 의복의 단추 모양이나 악세사리의 강조는 의존성 또는 애정 욕구의 불만을 의미한다.
- 회전된 인물상 : 인물상이 기울기도 하고 옆으로 누워있는 경우가 있다. 가족에 대한 인식 기능이 상실되어 있을 때나 거절,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분리감정을 나타낸다. 보편적으로 강한 불안과 정서 통제가 되지 않는 아동에게서 나타난다.
- 정교한 묘사 그림이 극히 정교하고 정확하며 질서가 있을 경우, 환경구성에 대한 묘화자의 관심이나 욕구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표현이 되었을 때 강박적이고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 필압 : 선이 굵고 강하게 나타날 때는 충동이 밖으로 향하고 공격적이고 활동적이다. 반대로 약하고 가는 선은 우울의 경향이 있거나 소극적인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이상에서의 다섯 가지 영역의 해석의 관점은 모든 경우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개의 그림은 각각 다른 의미와 깊이와 내용을 갖추고 있고, 피험자의 마음의 눈으로 본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 중에서 가족에 대한 해석을 내리는 수단이다. 하나의 동적 가족화에 의해서 피험자의 심리 역동적 기제를 해석한다는 것은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한다.
치료사는 내담자의 그림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해석의 실마리를 얻고 이에 따라 내담자의 인성이나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하나의 가정을 세워야 한다.
이때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한 모든 가능한 정보를 다 섭렵하도록 검토하여야 한다. 하나의 가정이 세워지면 내담자와 더불어 이야기하는 가운데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어려움에 대한 통찰력을 갖도록 하며 상담자가 세운 가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점검해 가게 된다. 그리고 상담자는 내담자의 그림을 해석함에 있어 강력한 이론적 근거를 가져야 한다. KFD 검사를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정신 분석, 정신 역동, 성격 이론, 정신병리 등에서의 폭넓은 지식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적인 측면의 지식, 그리고 임상 장면에서의 상당한 경험 축적이 요망된다. 뿐만 아니라 똑같이 그려진 검사 반응이라고 해도 내담자 개인의 생활사, 가족 상황, 관련 변인 등을 참조하여 보편성과 재인차를 감안한 특수성을 선정해내어 신증하게 접근해야 한다. 유동적인 해석과 함께 다른 심리검사 결과나 피험자의 가족적 배경에 관한 정보가 첨가된다면 보다 유효한 동적 가족화 해석에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윤곽선 형태 : 강박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내담자는 인물상을 빈틈없이 그릴 수 없을 정도로 과도하게 집착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 신체 부분의 과장 : 신체 부분의 확대, 혹은 과장은 그 부분의 기능에 대한 집착을 나타낸다. 어떤 이들은 신체 내부를 투명하게 보여주는데 이는 현실 왜곡, 빈약한 현실 감각, 정신장애 가능성을 내포하며 낮은 지적 기능을 시사한다.
- 신체 부분의 생략 : 신체 부분의 생략은 종종 그 신체 부위의 기능의 거부와 그 부분에 집착된 불안 또는 죄의식을 의미한다.
- 얼굴 표정 : 얼굴에 나타나는 표정은 직접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해석상에 더욱 확실한 지표이다.
- 의복의 장식 : 의복의 단추 모양이나 악세사리의 강조는 의존성 또는 애정 욕구의 불만을 의미한다.
- 회전된 인물상 : 인물상이 기울기도 하고 옆으로 누워있는 경우가 있다. 가족에 대한 인식 기능이 상실되어 있을 때나 거절,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분리감정을 나타낸다. 보편적으로 강한 불안과 정서 통제가 되지 않는 아동에게서 나타난다.
- 정교한 묘사 그림이 극히 정교하고 정확하며 질서가 있을 경우, 환경구성에 대한 묘화자의 관심이나 욕구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표현이 되었을 때 강박적이고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 필압 : 선이 굵고 강하게 나타날 때는 충동이 밖으로 향하고 공격적이고 활동적이다. 반대로 약하고 가는 선은 우울의 경향이 있거나 소극적인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이상에서의 다섯 가지 영역의 해석의 관점은 모든 경우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개의 그림은 각각 다른 의미와 깊이와 내용을 갖추고 있고, 피험자의 마음의 눈으로 본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 중에서 가족에 대한 해석을 내리는 수단이다. 하나의 동적 가족화에 의해서 피험자의 심리 역동적 기제를 해석한다는 것은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한다.
치료사는 내담자의 그림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해석의 실마리를 얻고 이에 따라 내담자의 인성이나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하나의 가정을 세워야 한다.
이때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한 모든 가능한 정보를 다 섭렵하도록 검토하여야 한다. 하나의 가정이 세워지면 내담자와 더불어 이야기하는 가운데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어려움에 대한 통찰력을 갖도록 하며 상담자가 세운 가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점검해 가게 된다. 그리고 상담자는 내담자의 그림을 해석함에 있어 강력한 이론적 근거를 가져야 한다. KFD 검사를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정신 분석, 정신 역동, 성격 이론, 정신병리 등에서의 폭넓은 지식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적인 측면의 지식, 그리고 임상 장면에서의 상당한 경험 축적이 요망된다. 뿐만 아니라 똑같이 그려진 검사 반응이라고 해도 내담자 개인의 생활사, 가족 상황, 관련 변인 등을 참조하여 보편성과 재인차를 감안한 특수성을 선정해내어 신증하게 접근해야 한다. 유동적인 해석과 함께 다른 심리검사 결과나 피험자의 가족적 배경에 관한 정보가 첨가된다면 보다 유효한 동적 가족화 해석에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