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의 운동발달의 과정
I. 대근육 운동발달
1. 보행운동능력의 발달
2. 기어오르기 능력의 발달
3. 던지기 능력의 발달
II. 소근육 운동발달
1. 눈과 손의 협응능력의 발달
2. 잡기능력의 발달
3. 쌓기능력의 발달
* 참고문헌
I. 대근육 운동발달
1. 보행운동능력의 발달
2. 기어오르기 능력의 발달
3. 던지기 능력의 발달
II. 소근육 운동발달
1. 눈과 손의 협응능력의 발달
2. 잡기능력의 발달
3. 쌓기능력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한다.
3. 쌓기능력의 발달
쌓기능력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물건을 잡을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잡은 물건을 적당한 곳에 놓을 수 있어야 한다. 3-4개월경에 물건을 잡을 수는 있지만, 잡았던 물건을 놓는 것은 6개월경이 되어야 가능하다. 10개월경에는 물건을 제대로 놓을 수 있게 되며, 12개월경에는 손가락 끝으로 물건을 놓을 수 있을 만큼 발달한다.
생후 1년경이 되면 블록이냐 빈 상자를 쌓아올릴 수 있다. 이것은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을 쌓기 위해서는 블록을 집는 일과 고정시키기 위해 집었던 손을 조심스럽게 놓는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8개월경에 아동은 3개의 블록을 쌓아서 탑을 겨우 만들 수 있으며, 2세경에는 5-7개의 블록을 쌓을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블록 위에 다른 블록을 놓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4-5세경에는 블록 쌓기가 보다 능숙해져서 속도, 정교성, 정확성이 늘어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3. 쌓기능력의 발달
쌓기능력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물건을 잡을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잡은 물건을 적당한 곳에 놓을 수 있어야 한다. 3-4개월경에 물건을 잡을 수는 있지만, 잡았던 물건을 놓는 것은 6개월경이 되어야 가능하다. 10개월경에는 물건을 제대로 놓을 수 있게 되며, 12개월경에는 손가락 끝으로 물건을 놓을 수 있을 만큼 발달한다.
생후 1년경이 되면 블록이냐 빈 상자를 쌓아올릴 수 있다. 이것은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을 쌓기 위해서는 블록을 집는 일과 고정시키기 위해 집었던 손을 조심스럽게 놓는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8개월경에 아동은 3개의 블록을 쌓아서 탑을 겨우 만들 수 있으며, 2세경에는 5-7개의 블록을 쌓을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블록 위에 다른 블록을 놓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4-5세경에는 블록 쌓기가 보다 능숙해져서 속도, 정교성, 정확성이 늘어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