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앞에서 양순 비음 /m/로 대치된 것을 보여 준다. 이러한 조음위치 동화 현상은 일본어 모어 화자에게서 좀 더 자주 관찰된다. 일본어 모어 화자에게서 보이는 /ㄴ/과 /ㅇ/의 대치는 일본어 /ん/이 음절 말에서 [n]이나 [ŋ]으로 변이되는 것에 의한 전이일 가능성도 있다.
다음은 음절 말음 탈락 현상의 예로, 모든 자음에 대해 동일하게 나타나기보다 특정 음소에 대해 보다 빈번하게 나타난다. 중국어 모어 화자의 발음 오류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는 음절말에서 다른 자음에 비해 /ㄱ/이 더 자주 탈락하는 현상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세] 색 <중국>, [야구] 약국 <중국>, [항구] 한국 <중국>, [까만새] 까만색 <중국> , [약서] 약속 <중국>, [무뚜뚜카지만] 무뚝뚝하지만 <중국>, [일찌] 일찍 <중국>
위의 예는 중국어 모어 화자가 음절 말에서 /ㄱ/을 탈락시키고 발음한 예를 보인 것으로, 하나의 어휘 내에서 음절말 비음이나 유음이 탈락하지 않고 유지된 것과 대비된다. 음절말 위치에서 폐쇄음, 그 중에서도 연구개폐쇄음이 회피되는 현상은 한국 유아의 모국어 습득 과정에서도 볼 수 있다.
다음은 중국어 모어 화자의 음절말음 불파 확대 현상이다.
[
다음은 음절 말음 탈락 현상의 예로, 모든 자음에 대해 동일하게 나타나기보다 특정 음소에 대해 보다 빈번하게 나타난다. 중국어 모어 화자의 발음 오류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는 음절말에서 다른 자음에 비해 /ㄱ/이 더 자주 탈락하는 현상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세] 색 <중국>, [야구] 약국 <중국>, [항구] 한국 <중국>, [까만새] 까만색 <중국> , [약서] 약속 <중국>, [무뚜뚜카지만] 무뚝뚝하지만 <중국>, [일찌] 일찍 <중국>
위의 예는 중국어 모어 화자가 음절 말에서 /ㄱ/을 탈락시키고 발음한 예를 보인 것으로, 하나의 어휘 내에서 음절말 비음이나 유음이 탈락하지 않고 유지된 것과 대비된다. 음절말 위치에서 폐쇄음, 그 중에서도 연구개폐쇄음이 회피되는 현상은 한국 유아의 모국어 습득 과정에서도 볼 수 있다.
다음은 중국어 모어 화자의 음절말음 불파 확대 현상이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