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의 정치적 환경
A. 정치적 위험의 개요
I. 정치적 위험의 정의
II. 정치적 위험의 원인
III. 정치적 위험의 유형
1. 재산몰수
2. 수용
3. 이전거래의 제한
4. 국제기업의 기업경영, 영업상의 제활동에 대한 규제
5. 쌍무계약의 파기
B. 정치적 위험의 평가방법
I. 현지 방문조사
II. 델파이기법
III. 서술법
1. 자유서술법
2. 정형적 서술법
IV. 체크리스트법
C. 정치적 위험의 관리
I. 투자권 위험의 대응전략
II. 투자 후의 대응전략
III. 사후협상과 보상전략
1. 현지국과의 합리적 협상
2. 반강제적인 협상
3. 법률적 구제조치의 강구
4. 경영권 포기 및 잔존재산의 회수
* 참고문헌
A. 정치적 위험의 개요
I. 정치적 위험의 정의
II. 정치적 위험의 원인
III. 정치적 위험의 유형
1. 재산몰수
2. 수용
3. 이전거래의 제한
4. 국제기업의 기업경영, 영업상의 제활동에 대한 규제
5. 쌍무계약의 파기
B. 정치적 위험의 평가방법
I. 현지 방문조사
II. 델파이기법
III. 서술법
1. 자유서술법
2. 정형적 서술법
IV. 체크리스트법
C. 정치적 위험의 관리
I. 투자권 위험의 대응전략
II. 투자 후의 대응전략
III. 사후협상과 보상전략
1. 현지국과의 합리적 협상
2. 반강제적인 협상
3. 법률적 구제조치의 강구
4. 경영권 포기 및 잔존재산의 회수
*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 이 점수를 국가별로 비교 평가하는 방법이다. 현재 가장 널리 알려진 분석방법으로는 전문평가기관인 BERI(Business Environment Risk Index : 사업환경위험지수)사와 BI(Business international Corporation)사가 개발한 심사목록(check list)이 있다.
C. 정치적 위험의 관리
기업은 불확실한 정치 환경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단계 관리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I. 투자권 위험의 대응전략
정치적 위험을 관리하는 최선의 방법은 투자를 하기 이전에 현지국의 정치적 위험도를 인식 평가함으로써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투자회피라는 소극적인 방안과 현지국 정부와의 적극적인 협상을 통해 잠재적 위험을 원천적으로 최소화하는 방안이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 OPIC(Overseas Private Investment Corporation)이 해외투자기업의 위험을 담보해 주고 있고 일본은 수출입은행이, 한국의 경우는 한국수출보험공사가 수출보험제도를 운용하고 있어서 정치적 위험으로 인한 손실액의 90%정도까지 사후 보장을 받을 수 있다.
II. 투자 후의 대응전략
투자 후에 발생하는 정치적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최선책은 적극적인 현지화(go more native)를 통해 정치적 위험을 전략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전략에는 다음에서 보는 몇 가지 방안이 있다.
- 현지국의 정치적 환경변화에 대해 가능한 한 중립을 지킨다.
- 정치적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그에 대용할 수 있는 위기관리계획을 수립한다.
- 현지국 주민들이 적대감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좋게 갖도록 노력하고 현지에서 훌륭한 기업시민(good corporate citizen)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미운 오러 새끼가 되지 말아야 한다.
- 현지국에서의 현지구매비율(local sourcing ratio)을 높이고 현지국의 수출확대와 국제수지 개선에 도움을 준다.
- 현지국에서 꼭 필요한 제품 서비스 기술만을 제조 판매하도록 하여 현지국의 경제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인도네시아 조미료시장의 1/3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주)미원의 경우 그 나라에 학교와 교회를 건립하여 기증하였고 인근지역의 상수도 건설, 도로포장, 불우이웃돕기 등의 사업을 펼쳐서 현지인들에게 좋은 기업이라는 인상을 심어 주었다.
III. 사후협상과 보상전략
정치적 위험이 발생한 경우, 기업의 주요 관심사는 사후협상 및 보상전략의 수립에 있다. 호스킨스(W. R. Hoskins)는 정치적 위험의 사후보상전략을 다음과 같은 4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1. 현지국과의 합리적 협상(rational negotiation)
현지국 정부를 합리적으로 설득함으로써 정치적 위험에 따른 피해의 보상 내지는 사태의 해결을 시도하는 전략이다.
2. 만강제적인 협상(negotiation flavored with power tactics)
협상단계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모색하게 되는데 이 방법은 현지국의 강한 반발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첫째, 현지국 정부정책의 지지 또는 기업의 이익 포기
둘째, 현지국의 야당 또는 우방국들의 협조모색
셋째, 본사국 정부의 개입
3. 법률적 구제조치의 강구
협상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부득이 현지국의 법원에 제소하거나 본사국의 법원 또는 국제사업재판소에 제소하는 방법인데, 이들 방법들은 상징적인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실효성에는 의문이 간다.
4. 경영권 포기 및 잔존재산의 회수(surrender by management and decision to seek only salvage)
이 전략은 마지막 방안인바, 국제기업이 스스로 경영권을 포기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여 잔존재산을 조금이라도 더 회수하는 방법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C. 정치적 위험의 관리
기업은 불확실한 정치 환경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단계 관리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I. 투자권 위험의 대응전략
정치적 위험을 관리하는 최선의 방법은 투자를 하기 이전에 현지국의 정치적 위험도를 인식 평가함으로써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투자회피라는 소극적인 방안과 현지국 정부와의 적극적인 협상을 통해 잠재적 위험을 원천적으로 최소화하는 방안이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 OPIC(Overseas Private Investment Corporation)이 해외투자기업의 위험을 담보해 주고 있고 일본은 수출입은행이, 한국의 경우는 한국수출보험공사가 수출보험제도를 운용하고 있어서 정치적 위험으로 인한 손실액의 90%정도까지 사후 보장을 받을 수 있다.
II. 투자 후의 대응전략
투자 후에 발생하는 정치적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최선책은 적극적인 현지화(go more native)를 통해 정치적 위험을 전략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전략에는 다음에서 보는 몇 가지 방안이 있다.
- 현지국의 정치적 환경변화에 대해 가능한 한 중립을 지킨다.
- 정치적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그에 대용할 수 있는 위기관리계획을 수립한다.
- 현지국 주민들이 적대감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좋게 갖도록 노력하고 현지에서 훌륭한 기업시민(good corporate citizen)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미운 오러 새끼가 되지 말아야 한다.
- 현지국에서의 현지구매비율(local sourcing ratio)을 높이고 현지국의 수출확대와 국제수지 개선에 도움을 준다.
- 현지국에서 꼭 필요한 제품 서비스 기술만을 제조 판매하도록 하여 현지국의 경제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인도네시아 조미료시장의 1/3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주)미원의 경우 그 나라에 학교와 교회를 건립하여 기증하였고 인근지역의 상수도 건설, 도로포장, 불우이웃돕기 등의 사업을 펼쳐서 현지인들에게 좋은 기업이라는 인상을 심어 주었다.
III. 사후협상과 보상전략
정치적 위험이 발생한 경우, 기업의 주요 관심사는 사후협상 및 보상전략의 수립에 있다. 호스킨스(W. R. Hoskins)는 정치적 위험의 사후보상전략을 다음과 같은 4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1. 현지국과의 합리적 협상(rational negotiation)
현지국 정부를 합리적으로 설득함으로써 정치적 위험에 따른 피해의 보상 내지는 사태의 해결을 시도하는 전략이다.
2. 만강제적인 협상(negotiation flavored with power tactics)
협상단계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모색하게 되는데 이 방법은 현지국의 강한 반발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첫째, 현지국 정부정책의 지지 또는 기업의 이익 포기
둘째, 현지국의 야당 또는 우방국들의 협조모색
셋째, 본사국 정부의 개입
3. 법률적 구제조치의 강구
협상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부득이 현지국의 법원에 제소하거나 본사국의 법원 또는 국제사업재판소에 제소하는 방법인데, 이들 방법들은 상징적인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실효성에는 의문이 간다.
4. 경영권 포기 및 잔존재산의 회수(surrender by management and decision to seek only salvage)
이 전략은 마지막 방안인바, 국제기업이 스스로 경영권을 포기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여 잔존재산을 조금이라도 더 회수하는 방법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