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상담기법
I. 문제해결과 결정 내리기
II. 직면
III. 즉각성
IV. 격러
1. 아동의 능력에 대한 믿음 보여주기
2. 노력을 인정해주기
3. 강점과 장점에 초점 두기
4.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를 강조하기
5. 긍정적인 면에 초점 두기
6. 아동의 흥미에 관심 표현하기
7. 불완전한 것을 보여주기
8. 실수로부터 배우기
9. 아동이 소속감을 형성하는 긍정적인 방법 배우기
* 참고문헌
I. 문제해결과 결정 내리기
II. 직면
III. 즉각성
IV. 격러
1. 아동의 능력에 대한 믿음 보여주기
2. 노력을 인정해주기
3. 강점과 장점에 초점 두기
4.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를 강조하기
5. 긍정적인 면에 초점 두기
6. 아동의 흥미에 관심 표현하기
7. 불완전한 것을 보여주기
8. 실수로부터 배우기
9. 아동이 소속감을 형성하는 긍정적인 방법 배우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런데 담임선생님은 여전히 나를 좋아하지 않아요.\"
상담사 : \"우리가 하기로 결정했던 일들이 잘 되지 않았구나. 미안하다.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자.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충분히 살펴보자구나. 너는 지금 우리의 계획이 잘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에게 화가 많이날 것 같은데 그렇지 않니?\"
이 대화에서 상담자는 아동의 목소리에서 아동이 화가 났음을 알아차렸다. 솔직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아동에게 즉각적으로 그 사실을 가설적으로 제시해 주었다. Carkhuff(1969)는 상담자가 좀 더 정확하게 즉각적인 반응을 하도록 돕는 지침을 제시하였다.
1. 상담자는 치료적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검토한 다음 내담자의 저항과 방어행동을 극복하기 위해 이 해석들을 말로 표현해야 한다.
2. 상담자는 내담자의 전달 내용 밑에 깔려 있는 내용이나 그 이상의 내용을 찾아내어 아동의 의식 안에는 있지 않은 전달내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3. 상담자는 \'진전이 없는(going nowhere)\'상호작용이 감정적인 면에서 일시적으로 모면하고자 하는 아동의 요구인지, 아니면 치료를 방해하려는 행동인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4. 상담자는 치료적 관계의 강도와 진행에 대해 계속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아동이 즉각적인 반응을 마치 직면인 것처럼 인식하고 반응할 수도 있다.
IV. 격려
격려(Encouragement)의 목적은 아동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주고 강 화해 주어서 아동으로 하여금 용기와 책임감, 그리고 부지런함을 일깨워 자신의 삶의 문제에 당당히 직면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Adler(1976, 1974)는 격려를 상담자의 가장 성스러운 의무라고 하면서 \"내가 누군가의 용기를 북돋워 준다면 나는 교육과 심리학에 관해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라고 말해 격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격려 받은 아동들은 자신이 가치 있고 힘이 있고 스스로를 잘 통제하며 잘 행동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모든 아동들은 자신의 생활 중 적어도 일부분에서는 성공적인 경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자는 내담 아동의 강점과 장점을 찾는 것으로 상담을 시작한다. 그 이유는 인간이 자신의 강점에 기초하여 자신을 세우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담자의 긍정적인 면과 강한 면을 강조하고 강화시켜야 한다. 치료과정을 통해 성공의 경험을 계속 하도록 도와서 내담자의 용기와 관심을 확대시켜 주어야 하고, 그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해석하고 자기 자신의 역량에 부과된 한계점들을 제거하는 데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을 부탁한다.
Kottman(1995)은 아동상담에서 격려를 잘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아동의 능력에 대한 믿음 보여주기
\'너 스스로 그것을 해결했구나.\"
\"너는 블록을 참아 올리는 것을 점점 더 잘 하는구나. 너는 이 시간에 네가 원하는 만큼 그것들을 해 줬구나.\"
\"너는 선이 곧게 그어지지 않아서 실망한 것 같구나. 하지만 너는 지난주에 했던 것보다 이번 주에 더 똑바로 선을 그었어.\"
2. 노력을 인정해 주기
\"네가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일을 시도를 했구나. \"
\"너는 네가 원하는 대로 그 선이 똑바로 그어지지 않아서 실망한 것 같구나. 어떤 일은 네가 원하는 만큼 정확히 할 수 없단다. 네가 열심히 노력했다는 것이 정말 중요하지.\"
3. 강점과 장점에 초점 두기
\"너는 그것이 어떤 일이고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고 있구나. \"
\"너는 저 탑을 세운 것에 대해 정말로 자랑스러워하는구나. \"
\"와! 너는 모래상자에서 네가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것 같구나.\"
4.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를 강조하기
\"그림을 그렸구나. 즐거워 보이는구나.\"
\"군인을 모두 집어 올려서 치우는 구나. 네 스스로를 자랑스러워하는 것 같아 보인다.\"
5. 긍정적인 면에 초점 두기
\"와 !6개를 맞추었네.\"
\"너는 망치를 가지고 쳐도 깨지지 않을 물건을 두 개나 생각해 줬구나.\"
6. 아동의 흥미에 관심 표현하기
\"지난주에 한 축구 게임은 어떠했니?\"
\"네가 놀이실에 공룡그림을 가져온 것을 보았는데 너는 공룡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 것 같구나. \"
\"내게 새끼 고양이가 생겼구나. 너는 정말로 흥분한 것 같은데 우리 고양이에 대해 이야기할까?\"
7. 불완전한 것을 보여 주기
\"내가 불을 켜는 것을 잊어 버렸구나. 대신 불을 켜 줘서 고마워.\"
\"미안해. 내가 줬어. 나는 다음번에는 좀 다르게 할 거야.\"
\"미안해. 받는 놀이할 때 거칠게 던져서. 공으로 너를 쳐서 정말 미안해. \"
8. 실수로부터 배우기
\"네가 물감을 쏟았기 때문에 너에게 일어날 수 있는 나쁜 일을 두려워하고 있구나. 놀이실에선 때로 사고가 발생한단다. 만약 네가 그처럼 물감을 쏟았다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은 무엇일까?\"
9. 아동이 소속감을 형성하는 긍정적인 방법 배우기
\"나는 이 게임에 익숙하지 못해. 내가 어떻게 해야할 지 알려주겠니?\"
\"너는 TV프로를 많이 알고 있어 보이는데 토요일 오전에 보기에 좋은 프로가 무엇인지 말해 줄 수 있니?\"
\"놀이실에서 네가 나에게 미소 짓고 있는 것을 보았는데 네가 친구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을 정해서 미소 짓는다면 네게 어떤 일이 생길지 궁금하구나.\"
이외에도 격려는 상담자의 큰 인내를 필요로 한다. 기다려 주는 것이 격려에서 매우 중요하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상담사 : \"우리가 하기로 결정했던 일들이 잘 되지 않았구나. 미안하다.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자.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충분히 살펴보자구나. 너는 지금 우리의 계획이 잘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에게 화가 많이날 것 같은데 그렇지 않니?\"
이 대화에서 상담자는 아동의 목소리에서 아동이 화가 났음을 알아차렸다. 솔직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아동에게 즉각적으로 그 사실을 가설적으로 제시해 주었다. Carkhuff(1969)는 상담자가 좀 더 정확하게 즉각적인 반응을 하도록 돕는 지침을 제시하였다.
1. 상담자는 치료적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검토한 다음 내담자의 저항과 방어행동을 극복하기 위해 이 해석들을 말로 표현해야 한다.
2. 상담자는 내담자의 전달 내용 밑에 깔려 있는 내용이나 그 이상의 내용을 찾아내어 아동의 의식 안에는 있지 않은 전달내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3. 상담자는 \'진전이 없는(going nowhere)\'상호작용이 감정적인 면에서 일시적으로 모면하고자 하는 아동의 요구인지, 아니면 치료를 방해하려는 행동인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4. 상담자는 치료적 관계의 강도와 진행에 대해 계속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아동이 즉각적인 반응을 마치 직면인 것처럼 인식하고 반응할 수도 있다.
IV. 격려
격려(Encouragement)의 목적은 아동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주고 강 화해 주어서 아동으로 하여금 용기와 책임감, 그리고 부지런함을 일깨워 자신의 삶의 문제에 당당히 직면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Adler(1976, 1974)는 격려를 상담자의 가장 성스러운 의무라고 하면서 \"내가 누군가의 용기를 북돋워 준다면 나는 교육과 심리학에 관해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라고 말해 격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격려 받은 아동들은 자신이 가치 있고 힘이 있고 스스로를 잘 통제하며 잘 행동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모든 아동들은 자신의 생활 중 적어도 일부분에서는 성공적인 경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자는 내담 아동의 강점과 장점을 찾는 것으로 상담을 시작한다. 그 이유는 인간이 자신의 강점에 기초하여 자신을 세우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담자의 긍정적인 면과 강한 면을 강조하고 강화시켜야 한다. 치료과정을 통해 성공의 경험을 계속 하도록 도와서 내담자의 용기와 관심을 확대시켜 주어야 하고, 그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해석하고 자기 자신의 역량에 부과된 한계점들을 제거하는 데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을 부탁한다.
Kottman(1995)은 아동상담에서 격려를 잘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아동의 능력에 대한 믿음 보여주기
\'너 스스로 그것을 해결했구나.\"
\"너는 블록을 참아 올리는 것을 점점 더 잘 하는구나. 너는 이 시간에 네가 원하는 만큼 그것들을 해 줬구나.\"
\"너는 선이 곧게 그어지지 않아서 실망한 것 같구나. 하지만 너는 지난주에 했던 것보다 이번 주에 더 똑바로 선을 그었어.\"
2. 노력을 인정해 주기
\"네가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일을 시도를 했구나. \"
\"너는 네가 원하는 대로 그 선이 똑바로 그어지지 않아서 실망한 것 같구나. 어떤 일은 네가 원하는 만큼 정확히 할 수 없단다. 네가 열심히 노력했다는 것이 정말 중요하지.\"
3. 강점과 장점에 초점 두기
\"너는 그것이 어떤 일이고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고 있구나. \"
\"너는 저 탑을 세운 것에 대해 정말로 자랑스러워하는구나. \"
\"와! 너는 모래상자에서 네가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것 같구나.\"
4.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를 강조하기
\"그림을 그렸구나. 즐거워 보이는구나.\"
\"군인을 모두 집어 올려서 치우는 구나. 네 스스로를 자랑스러워하는 것 같아 보인다.\"
5. 긍정적인 면에 초점 두기
\"와 !6개를 맞추었네.\"
\"너는 망치를 가지고 쳐도 깨지지 않을 물건을 두 개나 생각해 줬구나.\"
6. 아동의 흥미에 관심 표현하기
\"지난주에 한 축구 게임은 어떠했니?\"
\"네가 놀이실에 공룡그림을 가져온 것을 보았는데 너는 공룡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 것 같구나. \"
\"내게 새끼 고양이가 생겼구나. 너는 정말로 흥분한 것 같은데 우리 고양이에 대해 이야기할까?\"
7. 불완전한 것을 보여 주기
\"내가 불을 켜는 것을 잊어 버렸구나. 대신 불을 켜 줘서 고마워.\"
\"미안해. 내가 줬어. 나는 다음번에는 좀 다르게 할 거야.\"
\"미안해. 받는 놀이할 때 거칠게 던져서. 공으로 너를 쳐서 정말 미안해. \"
8. 실수로부터 배우기
\"네가 물감을 쏟았기 때문에 너에게 일어날 수 있는 나쁜 일을 두려워하고 있구나. 놀이실에선 때로 사고가 발생한단다. 만약 네가 그처럼 물감을 쏟았다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은 무엇일까?\"
9. 아동이 소속감을 형성하는 긍정적인 방법 배우기
\"나는 이 게임에 익숙하지 못해. 내가 어떻게 해야할 지 알려주겠니?\"
\"너는 TV프로를 많이 알고 있어 보이는데 토요일 오전에 보기에 좋은 프로가 무엇인지 말해 줄 수 있니?\"
\"놀이실에서 네가 나에게 미소 짓고 있는 것을 보았는데 네가 친구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을 정해서 미소 짓는다면 네게 어떤 일이 생길지 궁금하구나.\"
이외에도 격려는 상담자의 큰 인내를 필요로 한다. 기다려 주는 것이 격려에서 매우 중요하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아동상담기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치료기법에 대해 쓰고 그 기법이 아동문제해결에 ...
아동상담기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치료기법에 대해 쓰고 그 기법이 아동문제해결에 ...
아동상담
[아동상담] 행동주의 접근
[아동상담report]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아동상담 초기, 중기, 종료단계의 특징과 상담기법에 대해 서술
[생활지도와 상담] Adler 상담의 주요 개념과 상담과정 및 아들러(Adler)상담기법
아동중심 상담이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상담기법을 소개하고 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할 때...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상담모델의 주요개념과 상담의 기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