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없다’는 소외되는 생각을 할 때도 있었기 때문이다.
3. 결론
보통 사람들은 무책임하고 특별한 가치관이나 자기주장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저 그렇게 흘러가는 시간을 따라 그렇게 흘러가는 존재이다. 작자 전수찬은 무책임하고 가변적인 요즘 젊은이의 의식과 세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았다. 특별하지만 특별하지 않는 일주일 동안 일어난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대단히 지루한 영화가 될지도 모르겠지만 소설로써의 가치는 영화보다 월등하다고 생각한다. 영상이 주는 느낌과 글이 주는 느낌은 엄연히 다르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 가지 주제와 같은 글이 있어도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과 글로 보여주는 것은 다른 글이 되어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소설<어느덧 일주일>을 읽으면서 주인공의 ‘준태’의 일기장을 훔쳐보는 느낌이 들었다. 만일 소설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느덧 일주일>을 한번 읽어보라고 해주고 싶다. 쉽게 다가오는 주제는 아니었지만 <어느덧 일주일>은 그것을 쉽게 표현해주고 쉽게 읽혀지게 해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속에 뜻이 있음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살다보면…….” 뭐가 어떻게 되든. 그저 살아가는 수밖에. (118p)
3. 결론
보통 사람들은 무책임하고 특별한 가치관이나 자기주장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저 그렇게 흘러가는 시간을 따라 그렇게 흘러가는 존재이다. 작자 전수찬은 무책임하고 가변적인 요즘 젊은이의 의식과 세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았다. 특별하지만 특별하지 않는 일주일 동안 일어난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대단히 지루한 영화가 될지도 모르겠지만 소설로써의 가치는 영화보다 월등하다고 생각한다. 영상이 주는 느낌과 글이 주는 느낌은 엄연히 다르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 가지 주제와 같은 글이 있어도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과 글로 보여주는 것은 다른 글이 되어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소설<어느덧 일주일>을 읽으면서 주인공의 ‘준태’의 일기장을 훔쳐보는 느낌이 들었다. 만일 소설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느덧 일주일>을 한번 읽어보라고 해주고 싶다. 쉽게 다가오는 주제는 아니었지만 <어느덧 일주일>은 그것을 쉽게 표현해주고 쉽게 읽혀지게 해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속에 뜻이 있음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살다보면…….” 뭐가 어떻게 되든. 그저 살아가는 수밖에. (118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