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부여이론(공정성이론 기대이론 XY이론 Z이론 관리시스템이론 성숙미성숙이론 참여동기이론 보상모델 귀속이론과 통제의 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기부여이론(공정성이론 기대이론 XY이론 Z이론 관리시스템이론 성숙미성숙이론 참여동기이론 보상모델 귀속이론과 통제의 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기부여이론

I. 공정성이론

II. 기대이론

III. X, Y이론

IV. Z이론

V. 관리시스템이론
1. 시스템1
2. 시스템2
3. 시스템3
4. 시스템4

VI. 미성숙, 성숙이론

VII. 참여동기이론

VIII. 보상모델

IX. 귀속이론과 통제의 장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팀워크, 상호 신뢰, 상호작용 등에 기반을 둔 관계성 지향적 관리 유형이다. 시스템 2, 3은 두 재의 양극론의 중간단계인데, 이는 X 이론 및 Y 이론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VI. 미성숙, 성숙 이론
Agiris는 건전한 퍼스낼리티는 미성숙 상태에서 성숙상태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 내에서 실제로 사람들이 작업에 참가할 때, 그들의 조직에서 사용하는 관리방법이 그들의 성숙을 방해한다고 지적한다. 그들의 조직 속에서 수툴적 의존적 종속적이 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조직의 구성원들은 성숙한 행동보다는 성숙하지 못한 방법으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이다.
<표> 미성숙 단계에서 성숙단계로의 전환
VII. 참여동기 이론
참여동기 이론은 미네소타대학의 Schachter 교수에 의해 연구되었는데, 그에 의하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인간 사회에서 고립되면 소외감을 느끼거나 이방인으로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장 후에도 사회생활에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므로 참여동기는 유아시절부터 길러져야 한다. 그러므로 참여동기는 인간과 사회가 접촉하는 것을 말하므로 사회적 동기라고도 한다.
VIII. 보상 모델
Herzberg는 만족에 대해서, Vroom은 성취에 대해서 언급하였지만 만족과 성취 사이의 관계를 밝히지는 못했다. Porter-Lawler의 보상 모델은 만족과 성취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사람은 노력하기 전에 먼저 보상 가치와 보상 가능성을 생각하게 된다. 보상가치란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생각해보는 것이고 보상가능성이란 이미 지각된 노력에 의해서 승진, 임금, 인정 등의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노력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결과 얻는 성취는 반드시 노력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노력하는 사람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성취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가설에서는 성취의욕이 큰 사람은 만족하고 성취의욕이 적은 사람은 불만이 많다고 분석했으나, 이 모델에서는 성취의욕이 큰 사람도 변수(승진, 봉공 등)들에 의해서 불만을 표시할 수 있다고 분석함으로써 전통적인 가설에 반론을 제기하였다.
IX. 귀속이론과 통제의 장
귀속 이론은 개인이 조직에서 맡은 직무를 수행하면서 개인이 조직에 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을 조직에 귀속시키는 힘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이 개인을 조직에 귀속시킨다고 보는 내적인 힘과 두 번째는 환경(법률, 봉금)이 개인을 조직에 귀속시킨다고 보는 외적인 힘이다. 여기서 내적인 힘이 강한 사람이 의욕적이고 생산적이다.
통제의 장이란 조직이 무엇에 의해 통제되느냐 하는 것으로 내적 통제력과 외적 통제력이 있다. 내적인 힘에 의해서 통제된다고 보는 사람과 외적인 힘에 의해서 통제된다고 보는 사람이 있다. 내적인 힘이란 개인 능력, 기술, 노력 등을 말하고, 외적인 힘이란 법률, 봉급 등으로서, 이 가운데 내적인 힘에 의해서 통제된다고 보는 사람이 보다 직무에 만족하고 활동적이라고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9.27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3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