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개별 조직과 전달체계
II. 전달체계의 구조
1. 조직 군
2. 핵심 조직
3. 네트워크-유지 구조
III. 전달체계의 사정
1. 충분성
2. 접근성
3. 연속성
4. 비파편성
5. 책임성
* 참고문헌
II. 전달체계의 구조
1. 조직 군
2. 핵심 조직
3. 네트워크-유지 구조
III. 전달체계의 사정
1. 충분성
2. 접근성
3. 연속성
4. 비파편성
5. 책임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다른 조직과 연결할 수 없다면, 그 서비스 전달체계는 비연속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4) 비파편성(defragmentation)
연속성과 관련된 기준으로, 서비스의 편중이나 누락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다. 전달체계의 파편화는 비록 서비스 프로그램이 전달체계 내에 존재하고는 있으나, 이들 간 연계를 어렵게 하는 조건이나 불확실성이 존재함으로써 발생한다. 프로그램이 제각기 자신들이 다루는 대상 인구나 특정 지역 등으로 쪼개어져 세분화되어 있을 때, 이들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파편성의 결과로, 지역사회 내에서 유사한 서비스 영역 간에도 중복된 프로그램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로 전달체계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파편성은 특정 문제나 욕구에 서비스가 치우치게 하거나, 어떤 문제에 대해서는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5) 책임성(accountability)
전달체계에 주어진 위임과 기대를 전달체계가 적절하게 소화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개념이다. 책임성은 효과성이나 효율성에 관련된 문제로서, \'혼합재(mixed goods)\'를 관리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특성상 그것들에 대한 평가는 종종 복수의 기준이 적용된다. 클라이언트의 관점에서 서 비스 전달체계의 책임성을 평가하는 기준과 자원 공급자의 처지에서 느끼는 체계의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가 다를 수 있다. 여기 에 전문직과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을 더한다면, 이러한 평가와 책임성의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클라이언트 관점에서의 책임성은 서비스 전달체계가 개별적 이고 독특한 욕구를 한 이용자의 문제와 욕구에 적절히 반응하는가, 혹은 이용자가 불만을 표시할 수 있는 과정을 시스템에 마련했는지 등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4) 비파편성(defragmentation)
연속성과 관련된 기준으로, 서비스의 편중이나 누락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다. 전달체계의 파편화는 비록 서비스 프로그램이 전달체계 내에 존재하고는 있으나, 이들 간 연계를 어렵게 하는 조건이나 불확실성이 존재함으로써 발생한다. 프로그램이 제각기 자신들이 다루는 대상 인구나 특정 지역 등으로 쪼개어져 세분화되어 있을 때, 이들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파편성의 결과로, 지역사회 내에서 유사한 서비스 영역 간에도 중복된 프로그램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로 전달체계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파편성은 특정 문제나 욕구에 서비스가 치우치게 하거나, 어떤 문제에 대해서는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5) 책임성(accountability)
전달체계에 주어진 위임과 기대를 전달체계가 적절하게 소화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개념이다. 책임성은 효과성이나 효율성에 관련된 문제로서, \'혼합재(mixed goods)\'를 관리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특성상 그것들에 대한 평가는 종종 복수의 기준이 적용된다. 클라이언트의 관점에서 서 비스 전달체계의 책임성을 평가하는 기준과 자원 공급자의 처지에서 느끼는 체계의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가 다를 수 있다. 여기 에 전문직과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을 더한다면, 이러한 평가와 책임성의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클라이언트 관점에서의 책임성은 서비스 전달체계가 개별적 이고 독특한 욕구를 한 이용자의 문제와 욕구에 적절히 반응하는가, 혹은 이용자가 불만을 표시할 수 있는 과정을 시스템에 마련했는지 등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