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 살아있는 교육과 죽은 교육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개론 ) 살아있는 교육과 죽은 교육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교육의 정의
1) 교육의 어원
2) 교육의 필요성
3) 교육의 형식과 목적
2. 살아있는 교육과 죽어있는 교육의 특징
1) 살아있는 교육의 특징
2) 죽어있는 교육의 특징
-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을 아이가 바람직한 인간으로서 갖추어야할 가치관을 배우는 것이 아닌 오로지 시험만을 위한 교육이 되었다고 본다. 전공에 따라 다르기도 하겠지만 대학 교육도 다를 바 없는 것이 사실이다. 기술에 관련된 과목을 전공한 학생들이 취업했을 때 가장 먼저 듣는 말이 “학교에서 배운 건 다 잊어라. 여기는 현장이다.” 라고 한다. 그만큼 현실과 맞지 않는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죽어있는 교육은 사람의 가치관을 변화시키지도, 자발성을 키워주지도 못한다. 그리고 사회에서 써먹을 수가 없다. 최근 학점은행제의 활성화로 많은 인터넷 강의들이 생겨나고 그와 더불어 이름뿐인 자격증들도 많이 생겨났다. 하지만 그 교육을 듣는다고 해서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이 쌓이는 것도, 자격증을 받았다고 해서 실제로 그 일을 할 수 있게끔 해주는 강의는 많지 않다. 즉 죽어있는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교육을 받는 사람이 무언가를 얻어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시간은 때우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결론.
인간은 성장하면서 많은 교육들을 받고 자란다. 그 중에는 정말 삶에 도움이 되는 살아있는 교육들도 많지만, 실제적으로는 삶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죽어있는 교육도 많다. 그 둘의 큰 특징이자 차이점은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냐.“인 것 같다. 어떠한 교육 목적을 설정했는가에 따라 같은 내용의 교육이라 할지라도 살아있게도 죽어있게도 만들 수 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학개론(교육학총사), 한국학술정보, 김선양, 2011
교육학개론, 박영Story, 박선영, 박종국, 박주연, 최옥련, 최창섭, 2015
다음국어사전
두산백과, 야생아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11.17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