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
I. 내용이론(욕구이론)
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2.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
3.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
4. 알더퍼의 ERG이론
5.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
6. 리커트의 관리시스템이론
7.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II. 과정이론
1. 브룸의 기대이론
2. 아담스의 공평성이론
3. 포터와 로울러의 만족이론
B.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동기부여
* 참고문헌
I. 내용이론(욕구이론)
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2.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
3.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
4. 알더퍼의 ERG이론
5.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이론
6. 리커트의 관리시스템이론
7.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II. 과정이론
1. 브룸의 기대이론
2. 아담스의 공평성이론
3. 포터와 로울러의 만족이론
B.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동기부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많이 느낄수록 동기가 더 강해진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조직원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공평성(공정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동기부여를 하게 된다. 본인의 투입대비산출의 비율이 동일한 작업 상황에 있는 다른 사람의 투입대비산출의 비율과 비교하여 크거나 작다면 불공정이 인지되어 본인이 감소시키려고 노력(동기부여)하게 되고, 노력의 강도는 불공정성의 인지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불공정성을 자각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공평성을 유지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표> 공평성 유지를 위한 동기부여 방법
3. 포터와 로울러의 만족이론
쫙츠버그(Herzberg)는 만족에 대해서, 브룸(Vroom)은 성취에 대해서 언급했지만 만족과 성취 사이의 관계는 밝히지 못했다.
포터(Porter)와 로울러(Lawer)의 업적 -만족이론은 기대이론, 보상모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이론은 보상 개념을 사용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개인의 동기는 노력과 업적, 그리고 보상과 만족의 복합적인 함수로 나타나고 있다.
이 복합 관계에서 성과와 보상에 대한 기대감과 보상에 대한 공정성 개념 그리고 개인의 특성 등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포터 -로울러 모델의 또 하나의 공헌은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성과와 만족도의 관계를 새로이 정립하였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즉,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과 다른 만족도에 기초한 이론들이 가정해 온 만족도가 성과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즉 만족할수록 성과가 더 높아진다는 가설을 성과 - 상 - 만족과 같은 인과 관계를 가지고 설명함으로써 보다 설득력 있는 이론을 전재했다는 점이다.
<그림> 포터와 로울러의 동기부여 모형
B.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동기부여
동기(motivation)라는 말은 ‘움직인다(to move)\'라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 \'movere\'에서 유래되었다. 일반적으로 심리학분야에서 인간행동을 예측하는 이론 전개를 위하여 개발된 용어로써 행동할 방향을 지시하고, 지시된 행동을 지속시키는 것을 말한다. 조직의 관점에서 동기부여란 조직의 경영자가 목표지향적인 조직 구성원의 행동을 자극하여 정태적인 상태를 동적인 상해로 변환시키기 위해 조직원의 행동에 동기를 주입시키는 것이다. 즉,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이라고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티어스와 포터(Steers & Porter, 1979)는 동기에 관한 공통적인 속성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제시했다.
1) 인간 행동을 활성화하는 측면으로서 동인(drive) 또는 각성(arousal)의 차원이다.
2) 인간 행동의 방향(direction)을 설정하거나 목표를 지향하도록 경로화 시키는 측면이다.
3) 인간 행동을 유지 또는 지지(maintaining or sustaining)시키는 측면이다.
사회복지조직에서 동기부여는 사회복지사와 고객들에게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하여 이를 지속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힘(Power)의 원천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중요한 과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동기부여는 일반기업에서의 중요성 못지않게 사회복지조직에서도 조직 구성원 사이에서 높은 사기와 효과적인 업무수행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동기부여는 욕구 충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욕구(need)란 결핍된 상태, 인체 내 불균형 상태, 기대 수준과 현실 여건의 차이를 말한다. 이에 따라 조직원은 결핍된 무엇의 충족을 위하여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동기부여가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기부여의 사이클은 욕구(needs) -> 충동(drives) -> 목표(goals) -> 만족(satisfaction) -> 새로운 욕구(new needs)의 순환으로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표> 공평성 유지를 위한 동기부여 방법
3. 포터와 로울러의 만족이론
쫙츠버그(Herzberg)는 만족에 대해서, 브룸(Vroom)은 성취에 대해서 언급했지만 만족과 성취 사이의 관계는 밝히지 못했다.
포터(Porter)와 로울러(Lawer)의 업적 -만족이론은 기대이론, 보상모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이론은 보상 개념을 사용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개인의 동기는 노력과 업적, 그리고 보상과 만족의 복합적인 함수로 나타나고 있다.
이 복합 관계에서 성과와 보상에 대한 기대감과 보상에 대한 공정성 개념 그리고 개인의 특성 등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포터 -로울러 모델의 또 하나의 공헌은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성과와 만족도의 관계를 새로이 정립하였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즉,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과 다른 만족도에 기초한 이론들이 가정해 온 만족도가 성과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즉 만족할수록 성과가 더 높아진다는 가설을 성과 - 상 - 만족과 같은 인과 관계를 가지고 설명함으로써 보다 설득력 있는 이론을 전재했다는 점이다.
<그림> 포터와 로울러의 동기부여 모형
B.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동기부여
동기(motivation)라는 말은 ‘움직인다(to move)\'라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 \'movere\'에서 유래되었다. 일반적으로 심리학분야에서 인간행동을 예측하는 이론 전개를 위하여 개발된 용어로써 행동할 방향을 지시하고, 지시된 행동을 지속시키는 것을 말한다. 조직의 관점에서 동기부여란 조직의 경영자가 목표지향적인 조직 구성원의 행동을 자극하여 정태적인 상태를 동적인 상해로 변환시키기 위해 조직원의 행동에 동기를 주입시키는 것이다. 즉,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이라고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티어스와 포터(Steers & Porter, 1979)는 동기에 관한 공통적인 속성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제시했다.
1) 인간 행동을 활성화하는 측면으로서 동인(drive) 또는 각성(arousal)의 차원이다.
2) 인간 행동의 방향(direction)을 설정하거나 목표를 지향하도록 경로화 시키는 측면이다.
3) 인간 행동을 유지 또는 지지(maintaining or sustaining)시키는 측면이다.
사회복지조직에서 동기부여는 사회복지사와 고객들에게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하여 이를 지속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힘(Power)의 원천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중요한 과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동기부여는 일반기업에서의 중요성 못지않게 사회복지조직에서도 조직 구성원 사이에서 높은 사기와 효과적인 업무수행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동기부여는 욕구 충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욕구(need)란 결핍된 상태, 인체 내 불균형 상태, 기대 수준과 현실 여건의 차이를 말한다. 이에 따라 조직원은 결핍된 무엇의 충족을 위하여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동기부여가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기부여의 사이클은 욕구(needs) -> 충동(drives) -> 목표(goals) -> 만족(satisfaction) -> 새로운 욕구(new needs)의 순환으로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들을 정리하기와 동기부여이론 중 내가 선호하는 이론
사회복지행정론)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들을 설명하여 보고 동기부여 이론에 입각하여 본인이 ...
[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들을 설명하여 보고 동기부여 이론에 입각하여 본인이 생각 ]
[사회복지 정책]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들을 설명하여 보고 동기부여 이론에 입각하여 본인이 ...
[사회복지행정론]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들을 설명하여 보고 동기부여 이론에 입각하여 본인이...
[사회복지 행정]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들을 설명하여 보고 동기부여 이론에 입각하여 본인이 ...
회복지조직에서의 동기부여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들을 설명하여 보고 동기부여 이론에 입각하여 본인이 생각하는 사회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