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빈곤가족의 문제점
1. 경제적 문제
2. 건강문제
3. 심리사회적 문제
4. 자녀의 양육, 교육문제
II. 빈곤가족 문제를 위한 해결방안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선과 확대
2. 자활지원 서비스의 보완
3. 의료보장제도 정비
4. 사회심리적 서비스(가족관계 서비스) 향상
5. 빈곤아동, 청소년을 위한 지원 강화
* 참고문헌
1. 경제적 문제
2. 건강문제
3. 심리사회적 문제
4. 자녀의 양육, 교육문제
II. 빈곤가족 문제를 위한 해결방안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선과 확대
2. 자활지원 서비스의 보완
3. 의료보장제도 정비
4. 사회심리적 서비스(가족관계 서비스) 향상
5. 빈곤아동, 청소년을 위한 지원 강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요하다.
(5) 빈곤아동 청소년을 위한 지원 강화
우리사회의 가장 취약계층은 아동 청소년이라 할 수 있다. 생산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없는 아동 청소년들이 그들의 경계 밖에 있는 빈곤으로 인해 사회로부터 차별을 받고 소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한 집중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이 장기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급식지원에 있어서는 성과주의적인 정량적 접근보다는 선정 기준과 급식지원 체계에 있어서 정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결식 아동 청소년들의 학교급식 확대는 물론이거니와 공휴일, 조식 등의 지속적인 급식지원이 요구된다. 교육지원에 있어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내실 있는 운영과 대상자의 선정에 있어서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며, 정서적 문화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빈곤가족의 보육료 지원의 확대와 시간제한의 완화 등 다양한 보육서비스 형태를 도입하여 보육의 공공화와 더불어 빈곤가족의 경제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 청소년의 문제 해결 지원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정책에서 벗어나 상대적인 박탈과 불평등의 상황에 놓여 있는 이들에게 자긍심 향상과 자기개발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수적이다. 즉, 빈곤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긴장과 심리적인 불안상태에 놓이기 쉬운 아동 청소년에게 교육비 부담으로 인해 접근하기 힘든 문화 예술 여가 스포츠와 같은 학교 교육 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로부터의 소외감이나 거부감을 완화시켜 주고 자신과 가족, 사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5) 빈곤아동 청소년을 위한 지원 강화
우리사회의 가장 취약계층은 아동 청소년이라 할 수 있다. 생산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없는 아동 청소년들이 그들의 경계 밖에 있는 빈곤으로 인해 사회로부터 차별을 받고 소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한 집중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이 장기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급식지원에 있어서는 성과주의적인 정량적 접근보다는 선정 기준과 급식지원 체계에 있어서 정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결식 아동 청소년들의 학교급식 확대는 물론이거니와 공휴일, 조식 등의 지속적인 급식지원이 요구된다. 교육지원에 있어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내실 있는 운영과 대상자의 선정에 있어서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며, 정서적 문화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빈곤가족의 보육료 지원의 확대와 시간제한의 완화 등 다양한 보육서비스 형태를 도입하여 보육의 공공화와 더불어 빈곤가족의 경제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 청소년의 문제 해결 지원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정책에서 벗어나 상대적인 박탈과 불평등의 상황에 놓여 있는 이들에게 자긍심 향상과 자기개발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수적이다. 즉, 빈곤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긴장과 심리적인 불안상태에 놓이기 쉬운 아동 청소년에게 교육비 부담으로 인해 접근하기 힘든 문화 예술 여가 스포츠와 같은 학교 교육 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로부터의 소외감이나 거부감을 완화시켜 주고 자신과 가족, 사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