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개선방안 1)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회복지기관
개선방안 2) 수준 높은 인력 양성과 연수
개선방안 3) 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최소한의 복지 가이드라인 구축
출처 및 참고문헌
본론
결론
개선방안 1)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회복지기관
개선방안 2) 수준 높은 인력 양성과 연수
개선방안 3) 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최소한의 복지 가이드라인 구축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안 3) 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최소한의 복지 가이드라인 구축 : 어린이집을 예로 들면, 이전에도 어린이집은 있었지만 교육은 각 어린이집 마다 어떤 기준이 없이 중구난방이었다. 옛날에는 어린이집이 탁아소와 같이 그저 교육보다는 아이를 봐주는 것에 지나지 않는 부분들도 있었다. 하지만 ‘누리과정’이 생기면서 아동의 그 시기에 맞는 교육은 무엇이 있고 최소한 어린이집에서는 이 연령대의 아이에게 어느 정도의 교육은 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이 생긴 것이다. 복지센터는 프로그램이 곧 센터가 된다. 하지만 어떤 가이드라인 없이 개발되고 실행되어 지역고려 없이 모두가 천편일률적인 것이 보통이고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듣고 있다. 서비스보다 센터 운영비로 인한 수익사업이 더 큰 것으로 변질된 센터도 있다. 이를 위한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부적절한 서비스 제공, 쓸데없는 서비스 삭제로 유용하지 않은 사회복지센터를 개선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의 사회복지기관 설립 기준을 더 높게 설정해야 하며 그 곳에서 전문적인 사회복지사들이 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그 사회복지기관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결과, 회자된 문제에 대한 해결이 되었는지에 대한 점검 등을 지역사회에서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사회복지학사전 (저자 이철수)
현대사회보장론 (저자 현외성)
사회복지 기관행정 (저자 Charles A.)
사회복지기관 서비스향상 가이드 (저자 일본전국사회복지협의회)
당진시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민간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보고서 2019 (저자 최연숙 위원장)
출처 및 참고문헌
사회복지학사전 (저자 이철수)
현대사회보장론 (저자 현외성)
사회복지 기관행정 (저자 Charles A.)
사회복지기관 서비스향상 가이드 (저자 일본전국사회복지협의회)
당진시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민간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보고서 2019 (저자 최연숙 위원장)
추천자료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전망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론] 노인자원봉사
청소년 문제행동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기술함(한국 사회복지행...
[사회복지실천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술(인지행동모델의 개입과정 및 개입목표, 사회복...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실천현장(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사회복지] 한국사회에서 사회복지기관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견해
[ 한국 사회에서 사회복지기관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견해 ]
[사회복지현장실천론 공통] 사회복지현장은 불쌍한 사람들 즉 취약계층 더 나아가 클라이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