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선사~통일신라, 고려, 조선, 근대, 북한)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연표(선사~통일신라, 고려, 조선, 근대, 북한)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사~통일신라
2. 고려
3. 조선
4. 근대(개항 이후)
5. 북한 연표

본문내용

과학, 가톨릭 관련 책 갖고 귀국
소현세자 死
1653
양척동일법 - 1결당 4두
효종
1649~59
하멜, 제주도 표착 → 1666 탈출(하멜표류기)
1654
1차 나선정벌
대동법 충청도 재실시 (김육, 조익건의)
1655
신속「색경」
신속「농가집성」-권농문,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한권
노비추쇄도감
1658
2차 나선정벌 등 효종의 북벌정책
1659
기해예송(효종 死) - 서인집권
현종
1659~74
호서 지방에 대동법 실시
1662
제언사 설치
1669
노비종모법 마련 →1731(영조) 정착 → 속대전에 법제화
1674
갑인예송(효종의 비 死) - 남인집권
1678
상평통보 전국에 유통
숙종
1674~20
1680
경신환국 - 서인집권 (허적 등 남인 축출)
서인의 분당-경신환국이후지도권쟁탈(노론vs소론)
1682
금위영 설치 - 궁궐수비
1689
기사환국(장희빈)-남인집권(서인이장희빈子세자책봉반대해서)
1690
장희빈. 왕비 책봉
1694
갑술환국(인현왕후 컴백) - 소론
1696
안용복 - 독도에서 일본인 추방
1697
장길산
1701
장희빈 사사
1704
만동묘 설치
1705
대보단 설치 (창덕궁)
1708
대동법 전국적 실시
1712
백두산 정계비
1717
정유독대
1721
신임사화(세자책봉문제) - 소론
경종
1720~24
1725
탕평책 실시 (완론탕평)
영조
1724~76
영조
1724~76
1728
이인좌의 난(소론이 영조와 노론제거 시도) - 노론
1731
노비종모법 시행→1755.노비공감법→1785.노비추쇄법 폐지
1740
도량형 통일
1742
탕평비 세움
1744
속대전(김재로) - 노비종모법 법제화
1750
균역법 실시
1755
노비공감법 - 奴는 1필만 →1785.노비추쇄법 폐지
1757
난장형 금지
1760
일성록(~1910) : 국왕 공식일기, 국정기록
1762
사도세자. 뒤주 속에서 죽음
1763
통신사 조엄. 일본에서 고구마 전래
1764
장예원 혁파
1770
「동국문헌비고」완성
1775
규장각 설치
1776
정조 즉위. 규장각 설치, 준론탕평
정조
1776~00
1780
마과회통(정약용) - 종두법
1784
이승훈 세례 / 장용영 설치
1785
『대전통편』 완성
명례방사건(추조적발사건) : 천주교 금압령(1786)
노비추쇄법 폐지
1786
서학의 금지
1787
반회사건(성경학습사건) : 천주교 금압령 강화
1790
정약용. 해미읍으로 유배
1791
신해통공-금난전권 폐지
신해박해-진산사건(윤지충의 신주소각사건, 천주교 책 수입 금지)
1794
수원성 축조 시작
1795
주문모(최초 외국인 신부) cf)모방 최초 서양인 신부(1836)
1796
수원성 완성
1800
순조 즉위. 정순왕후 김씨 수렴청정 (노론벽파)
순조
1800~34
1801
공노비(내사노비) 해방 - 공노비의 일부만
신유박해(정치적박해)-황사영백서사건 (정약용강진유배) 노론벽파가 남인시파 박해
1805
안동김씨(노론시파-천주교 온건탄압). 세도정치 시작
1811
홍경래의 난 - 민란의 시초
마지막 통신사
1818
정약용. 정배에서 풀려남. / 「목민심서」
1831
천주교 조선 교구 설치
1834
헌종즉위. 순원왕후 김씨 수렴청정
헌종
1834~49
헌종
1834~49
1835
정약용-제너(영)의 우유종두법 실시 →1879.지석영종두법
1839
기해박해(안동김vs풍양조) - 오가작통법. 척사윤음, 모방(1836). 샤스탕(1837). 앙베르(1838) 순교
1840
풍양조씨(노론 벽파). 세도 정치 시작
1846
김대건 순교 (병오박해)
1851
신해허통 - 서얼의 신분상승
철종
1849~63
안동 김씨, 세도정치 재개
1860
동학 창시 (최제우)
러시아의 연해주 획득 (북경조약 중재 대가)
1861
김정호 대동여지도
1862
진주민란(임술민란) - 민란 전국적 확대
삼정이정청 설치 -삼정문란 해소기구(3개월 추진후 백지화)
1863
고종 즉위. 대원군 집권
고종
1863~07
동학 금령
1864
동학 교조 최제우 처형
1865
경복궁 중건
대전회통(조두순) - 조선 최후 통일 법전
1866
1월. 병인박해 - 프랑스 신부 9인 학살
7월. 제너럴셔먼호(평양) - 병인양요 2달전
9월. 병인양요(로즈) 양헌수-정족산성, 한성근-문수산성
당백전 - 경복궁 중수 비용으로 발행
1868
1월. 메이지유신
4월. 오페르트 도굴사건
4월. 서계사건(일이 황제라 칭해서 외교제안)-한.일 외교단절
1871
신미양요(로저스) - 어재현.덕진진.초지진.광성보 →척화비
이필제의 난 - 조선왕조 부정, 수령살해
서원정리
1873
흥선대원군 하야(최익현상소)
1874
일본의 대만침략
만동묘 재설치
1875
운요호 사건
광개토대왕비 발견 - 중국화전민 형제
근현대(개항 이후)
연도
내 용
비 고
1876
1월. 日 강화도 침공
4월.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정치적, 치외법권 최초인정
6월. 조일통상장정(조일무역조치)-무관세- 경제적, 최혜국 대우
8월. 수호조규 부록- 경제적 , 일본인 거류지역 설정
1차 수신사(김기수)
1878
두모진 해관사건(조일통상장정(1876)->개정(1883)
1879
지석영. 종두법
일본 유구 병합
1880
2차 수신사(김홍집) - 조선책략
1881
1월. 신사유람단(일본) - 박정양
2월. 이만손 만인소
7월. 홍재학 만인척화소 - 고종비판
8월. 이재선 사건 - 흥선대원군의 정권탈취시도
9월. 영선사(청) - 김윤식, 기기창, 통리기무아문(임오군란때 폐지)
별기군, 2영(무위영, 장위영) 설치 → 친위대(1895)
1882
5월. 조미수호통상조약:최혜국대우최초,관세권최초, 치외법권인정
6월. 임오군란
7월. 제물포조약(박영효-태극기): 최초외국군대주둔허용
8월. 고종의 동도서기로 교서 - 척화비 철거
10월. 상민수륙무역장정 - “조선은 청의 속국이다”
1883
6월. 조일통상장정(개정) - 관세권, 방곡령 ↔ 최혜국 조항
7월. 보빙사(미) → 1887 박정양 미국공사 파견
우정국창설(홍영식)
혜상공국설치(보부상 보호) cf)보부상단 : 태조
박문국(인쇄시설)→한성순보(83,갑신정변으로중단),한성주보(1886)
동문학 : 영어강습기관,

키워드

한국사,   연표,   국사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9.12.16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0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