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동주의적 접근의 행동의 변화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느낌의 변화는 없으며 통찰이 없다. 구체적인 문제행동을 수정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자아실현적인 측면에서는 부적합하며, 현재의 문제에 대한 내력을 경시하기도 한다. 행동주의적인 접근은 학습이론에 기초하고, 동물에 시험한 내용들을 인간에 적용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행동주의 이론에는 이와 같은 특징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행동주의 이론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4.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해결사례
행동주의 이론 중 자기강화와 자아 효능감을 적용하여 등교거부 학생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rubin(1999)은 아동에 미술치료를 적용한 효과가 다음과 같다고 한다. 먼저 미술활동으로 아동이 느낀 분노와 적대감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미술이라는 긍정적인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아동이 방어기제를 허물지 않고 자신이 무의식적인 생각, 느낌등을 전달하여 의사소통기능을 지닌다. 또한 미술재료의 선택 및 제작하는 과정을 스스로 이행하기 때문에 개인의 성취감, 만족감을 느끼고 자기개념을 인식 및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주변환경 및 타인과의 관계를 관찰하고 인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 아동이 인지적인 능력과 신체적인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아동과 치료자간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돕고 미술치료를 이용하여 아동에 대하여 진단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미술치료를 통하여 등교거부학생을 치료한 사례로 먼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이 행동이 느리고 불안감을 느끼며 자신감이 없고 대인관계가 좋지 않은데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불안 행동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또한 미술치료가 아동의 긍정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게 도와주어 자신감을 갖고 친구들과 원한한 관계를 맺게 도와주었다고도 보고된 바있다. 등교거부 아동의 불안감과 긴장을 이완시키는 도구로 아동의 깊은 내면을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억압된 감정을 발산하여 불안과 우울을 경감시켜 준다고도 하였다.
앞서 언급한 사례들은 미술치료를 등교거부아동에게 적용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한 연구결과로 이들은 대부분 아동들의 자기강화와 자기효능감을 상승시켜주는 행동주의적 이론을 적용시킨 사례들이다.
Ⅲ. 결론
초등학생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등교거부와 함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행동주의적 이론을 적용한 측면으로 적용한 사례들을 찾아보았다. 사례들을 통하여 아동들의 행동을 직접 파악하고, 이를 위한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정하여 적용한 결과 개선된 아동의 행동을 확인할 수 있었고 효과적으로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사례들을 통하여 등교거부 아동들이 느끼는 공포와 고통 등을 해결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1. 초등학생의 등교거부경향성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Decrease a Tendency of School Refusal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찬성, 2011,
2. 등교거부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우울과 자기 효능감을 중심으로 = A single case about the art therapy for school refusal child : Focused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 2012,
행동주의 이론에는 이와 같은 특징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행동주의 이론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4.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해결사례
행동주의 이론 중 자기강화와 자아 효능감을 적용하여 등교거부 학생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rubin(1999)은 아동에 미술치료를 적용한 효과가 다음과 같다고 한다. 먼저 미술활동으로 아동이 느낀 분노와 적대감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미술이라는 긍정적인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아동이 방어기제를 허물지 않고 자신이 무의식적인 생각, 느낌등을 전달하여 의사소통기능을 지닌다. 또한 미술재료의 선택 및 제작하는 과정을 스스로 이행하기 때문에 개인의 성취감, 만족감을 느끼고 자기개념을 인식 및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주변환경 및 타인과의 관계를 관찰하고 인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 아동이 인지적인 능력과 신체적인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아동과 치료자간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돕고 미술치료를 이용하여 아동에 대하여 진단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미술치료를 통하여 등교거부학생을 치료한 사례로 먼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이 행동이 느리고 불안감을 느끼며 자신감이 없고 대인관계가 좋지 않은데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불안 행동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또한 미술치료가 아동의 긍정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게 도와주어 자신감을 갖고 친구들과 원한한 관계를 맺게 도와주었다고도 보고된 바있다. 등교거부 아동의 불안감과 긴장을 이완시키는 도구로 아동의 깊은 내면을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억압된 감정을 발산하여 불안과 우울을 경감시켜 준다고도 하였다.
앞서 언급한 사례들은 미술치료를 등교거부아동에게 적용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한 연구결과로 이들은 대부분 아동들의 자기강화와 자기효능감을 상승시켜주는 행동주의적 이론을 적용시킨 사례들이다.
Ⅲ. 결론
초등학생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등교거부와 함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행동주의적 이론을 적용한 측면으로 적용한 사례들을 찾아보았다. 사례들을 통하여 아동들의 행동을 직접 파악하고, 이를 위한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정하여 적용한 결과 개선된 아동의 행동을 확인할 수 있었고 효과적으로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사례들을 통하여 등교거부 아동들이 느끼는 공포와 고통 등을 해결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1. 초등학생의 등교거부경향성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Decrease a Tendency of School Refusal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찬성, 2011,
2. 등교거부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우울과 자기 효능감을 중심으로 = A single case about the art therapy for school refusal child : Focused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 2012,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2019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부이다...
인간행동과사회환경B형 2019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부이다...
인간행동과사회환경1A)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부’이다 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형 2019 -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형 - 사회복지생활과학(가정복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초등학교 어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형 2019 사회복지 생활과학(가정복지)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
교육유아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
사회복지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부’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