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C 4개국과 요르단 정치 사회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CC 4개국과 요르단 정치 사회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2

Ⅱ. GCC.........................................3

1. GCC의 결성 과정과 목적..................................... 3
2. GCC의 경제 체제와 구조적 역할...........................4
(1) 경제 체제.........................................................4
(2) 구조 변화.........................................................5
(3) 회원국의 경제 환경 및 정책............................6
3. GCC 경제 구조와 협력의 성과...............................7
(1) GCC의 석유 의존 경제..................................7
(2) GCC 상호간 협력...........................................9
(3) 대외 경제 협력.............................................10

Ⅲ. 카타르....................................10

1. 카타르 국가소개...................................................11
(1) 카타르 개관.....................................................11
(2) 카타르 정치발전..............................................11
2. 카타르의 정치체계................................................13
3. 카타르의 외교정세................................................14
4. 카타르의 석유 산업 현황......................................16
(1) 카타르의 석유 산업 현황....................................16
(2) 카타르의 석유 산업 전망....................................18

Ⅳ. 쿠웨이트.................................18

1.쿠웨이트 국가 소개................................................19
(1) 쿠웨이트 개관................................................19
(2) 쿠웨이트 정치조직.........................................20
2.쿠웨이트의 정치 체계의 형성과 발전....................21
(1) 쿠웨이트 국가의 형성과 왕정체제 확립.........21
(2) 야권세력의 형성.............................................23
(3) 걸프 전쟁이 미친 영향..................................25
3. 쿠웨이트의 최근 정세...........................................27
(1) 쿠웨이트의 대내관계......................................27
(2) 쿠웨이트의 대외정책......................................29
4. 쿠웨이트의 석유 산업현황과 전망........................30
(1) 쿠웨이트 석유 산업 현황...............................30
(2) 쿠웨이트 석유 산업 전망...............................31

Ⅴ. 오만........................................32
1. 오만 국가소개.......................................................33
(1) 오만 개관.......................................................33
(2) 오만 정치구조................................................33
2. 오만 국가 형성과 정치발전..................................36
(1) 중세 및 근대..................................................36
(2) 현대 정치발전................................................37
3. 오만 국가의 최근 정세.........................................39
(1) 국내 정세.......................................................39
(2) 대외 정책.......................................................40
4. 오만의 석유 산업현황과 전망...............................41
(1) 석유 산업 현황..............................................41
(2) 석유 산업 전망..............................................43

Ⅵ. U.A.E.....................................43
1. UAE 국가소개......................................................43
(1) UAE 개관........................................................43
(2) 정부구조와 연방지배구조.................................44
2. UAE 국가설립과 정치변동...................................46
(1) 국가건설...........................................................46
(2) 정치 발전과정..................................................48
3. 최근 정치 정세.....................................................50
(1) 대내 정책.........................................................50
(2) 대외 관계.........................................................51
4. UAE의 석유 산업현황과 전망..............................53
(1) UAE의 석유 산업 현황...................................53

본문내용

무역으로 번영을 이루었다. 특히 소하르 항구(Sohar)는 오만 해상 무역의 중심으로 아프리카, 인도, 아시아 지역으로 향하는 상선들이 정박하는 항구였으며 아랍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 1508년 바스코 드 가마(Vasco de Gama)가 인도로 가는 희망봉 항로를 발견한 이후 포르투갈인들은 그때까지 아랍인들이 장악하고 있던 해상무역을 장악하기 위해 무스카트를 점령하고 150여 년 동안 오만의 해안지방을 통치했다.
1650년 술탄 빈 사이프 알-야루비(Sultan bin Saif Al-Ya\'rubi)가 포르투갈 세력을 축
출하고, Ya\'aruba왕조(1650-1744)를 세웠다. 이맘 Ya\'aruba는 국내외적으로 안정과 통일을
이룩하여 오만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다. 니즈와(Nizwa) 요새와 자브린(Jabrin) 왕궁 등이
이 시기에 축조된 대표적인 건물이다.
1718년 이맘 Sultan bin Saif 2세가 사망하자, 후계자 선출을 둘러싸고 Ghafiris(가피리족,
순니파, 해안지방)와 Hinawis(하나피족, 이바디파, 내륙지방)간에 내전이 발생하였다. 이
시기를 틈타 페르시아는 오만을 침입하여 해안 지역을 점령하였다(1737-1747).
1744년 페르시아 군과의 전쟁에서 큰 활약을 보인 Sohar 출신 아흐메드 빈 사이드
(Ahmed bin Said)가 이맘으로 선출되어 현 왕조인 알 부 사이디(Al-Busaidi) 왕조를
제창하였다. 그는 내부적 파벌을 와해시키는데 고충을 겪으면서 오만 해군을 창설하여 해
적을 소탕하기 위한 원정대를 보내고, 페르시아인들을 축출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하였으며,
1786년에는 수도를 루스타크에서 무스캇트로 이전하였다.
오만의 최고 전성기는 이맘 사이드 빈 술탄(Said bin Sultan)이 지배하던 1804-1856
시기였다. 이 시기에 오만의 술탄은 동부 아프리카의 포르투갈령 아프리카를 정복하
고, 몸바사, 잔지바르 섬 등을 통치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미국(1833), 영국(1839), 프랑
TM(1844), 네덜란드(1877) 등 서구 유럽국가들과 영사관계를 수립하는 등 국위를 떨쳤다.
* Said bin Sultan은 1832년 수도를 무스캇트에서 식민지인 잔지바르로 옮겼으며, 무스캇트 지역
을 장남인 Thuwaini가 통치토록 함.
1856년 사이드 빈 술탄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들이 권력 승계를 놓고 다툼을 벌이게 되었으
며, 동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놓고 프랑스와 세력다툼을 벌이면서 잔지바르와 무
스캇트의 분리를 원했던 영국의 중재(‘Canning Award\')로 1861년 동아프리카의 잔지바르
(Zanzibar)는 차남인 Majed의 통치하에, 무스캇트-오만은 Thuwaini의 통치하에 별개의 국
가가 되었다.. (이후 무스캇트를 통치하던 Turki(Thuwaini의 동생)와 잔지바르를 통치하던
Barghash(Majed의 동생)간, 통합의 움직임이 있었으나 영국의 방해로 이루어지지 않았
으며, 잔지바르는 현지인들의 혁명에 의하여 1964년 탄자니아라는 국가가 수립되기까지
오만인들이 통치하였다.)
무스캇트-오만은 Thuwaini의 사후 방계인 아잔 빈 카이스(Azzan bin Qais)가 잠시 권력을 잡았다가
(1868-1871), 다시 Thuwaini의 또다른 동생인 Turki bin Said(투르키 빈 사이드)가 술탄에 오르고,
이어 그의 아들 파이잘 빈 투르키(Sultan Faisal bin Turki)가 1888년 술탄의 자리에 오르게 되면서
쇠퇴기가 시작되었다. 오만은 동부 아프리카의 영토들을 상실했을 뿐만 아니라, 영국과 체결한 여러 조약
들에 의해 노예무역 및 무기 매매 등에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2) 현대 정치 발전
1913년 Sultan Faisal bin Turki가 사망하자 내륙 지방의 부족들은 그의 아들을 이맘으로 추대하기를
거부하였다. 이에 따라 오만은 Sultan Faisal의 지배를 받는 해안지방과 자신들이 내세운 이맘이 통치하
는 내륙지방으로 분열되었다. 특히 니즈와(Nizwa)지방의 반란이 심하였으며 1920년까지 계속된 반
란은 술탄의 통치권을 인정하는 대신 이맘에게 내륙지방의 행정권을 부여하는 시브(Seeb)협정 체결을
통해 일단락 되었다(Sultan의 내륙지방에 대한 완전한 지배는 1959년에 이르러서야 가능해짐).
1933년 현 국왕의 부친인 사이드 빈 타이므르(Said bin Taimur)가 즉위하였으며, 그는
오만을 시대착오적인 중세시대로 몰고 가는 쇄국주의 정책을 펴면서 오만을 고립시켰다.
1937년 술탄으로부터 오만 영토의 석유이권을 얻은 오만석유회사가 제2차 세계 대전 후
탐사를 개시하자 니즈와의 이맘 가아리브(Ghalib)는 자기의 통치지역에 대한 술탄의 주권 주
장을 거부하고 탐사에 항의하여 1954년 무력투쟁을 전개하였으나 다음해 진압되어 니즈와
에서 추방당하게 되었다. (* 이 후 오만에는 종교지도자인 이맘이 존재하지 않게 됨.)
이에 이맘의 동생 타리부(Talib)는 카이로로 망명하여 오만 이맘청을 설치하고 분리 독립운
동을 전개하였고, 1957년에는 비밀리에 귀국하여 게릴라전으로 술탄에 대항하였으나 영국군
의 지원을 받은 술탄군에 패배하고 1959년 국외로 망명하게 됨으로써 내륙지방은 술탄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다. 1960년 타리부는 아랍 10개국의 지지로 이맘 지배 독립문제를 UN
에 제소하였으나 부결되었다.
술탄은 이맘 세력의 진압에는 성공했지만 그의 강압 정치에 견디지 못한 도파르(Dhofar)주
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본래 민족주의자들로서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운동을 주장하
였으나 1967년 남예멘에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되자 1969년 9월 “도파르해방전선(DLF)”을
“점령하여 아랍만 해방 인민전선(PFLOAG)”으로 이름을 바꾸고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이와 같은 인민해방세력 강화에 대해 무기력했던 술탄에 대한 비난이 고조되자 1970년 7월
14일 궁정무혈 쿠테타가 발생, 현 국왕인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Sultan Qaboos bin Said)
가 29세의 나이로 술탄의 자리에 오르게

키워드

GCC,   카타르,   쿠웨이트,   오만,   UAE,   요르단,   아랍에미레이트,   정치,   사회
  • 가격1,500
  • 페이지수77페이지
  • 등록일2019.12.30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