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통해 시대의 고통을 나누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나친 수도원의 장식을 비판하며 수도원이란 무엇을 하는 곳인지에 대해 질타하였다. 버나드는 건물이 중요한 게 아니라 수도사들의 훈련을 중요시하였다. 수도사들에게 말씀을 묵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독서와 교육을 통해 지성과 영성을 키워나갔다. 그는 순회설교를 하면서 젊은이들이 수도원에 입소해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가 되기를 요청하였다. 그리하여 일반 평신도 형제들도 수도원에 입학해서 훈련을 받을 수 있었다. 1년간의 교육을 받은 뒤 개개인이 수도사가 될 것을 결정하도록 만들었다. 이들은 버나드의 영성생활, 농경활동, 규칙에 따른 절제된 생활 등을 모범으로 본받고자 하였다. 결국 수도원을 거쳐 간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세상 속에서의 자신의 삶을 통해 수도원에서 훈련받았던 모습을 반영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 가운데 버나드는 수도원 뿐 아니라 교회를 개혁시켜 나갔다. 이 시기를 “버나드의 수도회의 시대”라고 불리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2세기 교회와 수도원은 영적으로 크게 부흥하였다.
버나드는 당시의 수도원과 교회에 대한 개혁영성을 가지고 예수 그리스도 공동체가 개혁되기를 소망하였다. 그가 속한 시토 수도원에 대한 개혁 프로그램 등을 실천하면서 혼신의 노력을 다 하였다. 또한 그는 같이 활동하였던 제자인 성 티에리의 월리암, 이그니의 게릭, 리볼의 아엘레드 그리고 파리의 성 빅톨 수도원의 휴고, 리처드, 이후의 아씨시의 성 프란체스코에게 까지 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버나드의 영향을 받은 성직자들은 그의 개혁 영성을 추구하였고 각각의 수도원에서 버나드의 개혁 영성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종교개혁자인 루터와 칼빈도 결국 버나드의 개혁 영성의 흐름을 따라 종교 개혁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버나드를 실천성이 없는 수도사나 수도원에만 머무르는 관상가로 오해하는 것은 잘못된 평가임을 알 수 있다. 버나드의 실천 영성과 관상을 연구한 머튼(Thomas Merton)은 버나드를 실천과 관상의 조화를 이룬 영성가라고 평가하였다. 버나드는 사변적 신비주의자에 해당하지만 동시에 행동으로 나타난 실천적 신비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머튼은 버나드를 마르다와 마리아에 비유하면서 마르다의 자리인 실천의 자리와 마리아의 자리인 관상의 자리에서 마리아의 자리를 더 중시하였다고 보았다. 버나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반응으로 실천으로 나갔기 때문이다. 버나드의 실천적 영성의 동기는 관상적 삶을 통해 얻어졌다. 그러나 버나드를 ‘사변적 신비주의의 창시자 가운데 한 사람’이라고 평가한 질송 등에 의해서 이론적인 관상가로 잘못 알려졌었다. 현재까지 버나드에 대한 이러한 칭호는 바른 평가를 받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신비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버나드의 실천 영성 등의 사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버나드의 사상은 19세기 개신교 내에서 서서히 사장되어 갔다.
버나드가 활동했던 12세기는 오늘의 시대와 다른 시대정신을 요구하였다. 기독교의 박해가 사라지면서 활발한 확장과 함께 교회는 점점 세속화 되어갔으며, 교회의 확장이나 성장보다는 이전의 순교의 영성과 같은 그리스도인으로써의 거룩함과 순결함 그리고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의 회복을 요청하게 되었다. 거기에 대한 반응으로 수도원이 탄생되었다. 그러나 수도원도 결국 풍요로움과 함께 정치와 결탁되면서 세속의 길을 걸어가게 되었다. 여기에 대해 버나드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수도원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개혁의 칼을 들었다. 따라서 버나드가 해야 할 시대가 요청한 역할은 개혁과 변혁이라고 할 수 있다. 버나드는 거기에 잘 맞는 개혁 영성을 가지고 수도원과 교회 나아가 정계에까지 그의 영향력을 끼쳤다. 따라서 중세시대의 신자들의 삶의 변화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에게 요구하는 참된 하나님의 자녀로써의 삶의 열매는 동일 할 수 가없다. 그렇지만 버나드의 개혁 영성은 결과적으로 더 많은 수도원의 창설과 건강한 신앙의 수도사들을 배출함으로 확장과 성장의 결실을 맺었다. 또한 버나드와 함께 활동했던 성직자들과 정치가들 역시 많은 부분에서 그리스도인으로써의 회복과 변화를 이루었다. 21세기 오늘날 우리 시대가 요구하는 영성은 무엇인가? 버나드를 통해서 우리가 추구하고 나아가야 할 영적 자각과 방향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곽은서. “중세 시토수도원 개혁운동에 나타난 성 버나드의 개혁영성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버나드는 당시의 수도원과 교회에 대한 개혁영성을 가지고 예수 그리스도 공동체가 개혁되기를 소망하였다. 그가 속한 시토 수도원에 대한 개혁 프로그램 등을 실천하면서 혼신의 노력을 다 하였다. 또한 그는 같이 활동하였던 제자인 성 티에리의 월리암, 이그니의 게릭, 리볼의 아엘레드 그리고 파리의 성 빅톨 수도원의 휴고, 리처드, 이후의 아씨시의 성 프란체스코에게 까지 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버나드의 영향을 받은 성직자들은 그의 개혁 영성을 추구하였고 각각의 수도원에서 버나드의 개혁 영성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종교개혁자인 루터와 칼빈도 결국 버나드의 개혁 영성의 흐름을 따라 종교 개혁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버나드를 실천성이 없는 수도사나 수도원에만 머무르는 관상가로 오해하는 것은 잘못된 평가임을 알 수 있다. 버나드의 실천 영성과 관상을 연구한 머튼(Thomas Merton)은 버나드를 실천과 관상의 조화를 이룬 영성가라고 평가하였다. 버나드는 사변적 신비주의자에 해당하지만 동시에 행동으로 나타난 실천적 신비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머튼은 버나드를 마르다와 마리아에 비유하면서 마르다의 자리인 실천의 자리와 마리아의 자리인 관상의 자리에서 마리아의 자리를 더 중시하였다고 보았다. 버나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반응으로 실천으로 나갔기 때문이다. 버나드의 실천적 영성의 동기는 관상적 삶을 통해 얻어졌다. 그러나 버나드를 ‘사변적 신비주의의 창시자 가운데 한 사람’이라고 평가한 질송 등에 의해서 이론적인 관상가로 잘못 알려졌었다. 현재까지 버나드에 대한 이러한 칭호는 바른 평가를 받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신비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버나드의 실천 영성 등의 사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버나드의 사상은 19세기 개신교 내에서 서서히 사장되어 갔다.
버나드가 활동했던 12세기는 오늘의 시대와 다른 시대정신을 요구하였다. 기독교의 박해가 사라지면서 활발한 확장과 함께 교회는 점점 세속화 되어갔으며, 교회의 확장이나 성장보다는 이전의 순교의 영성과 같은 그리스도인으로써의 거룩함과 순결함 그리고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의 회복을 요청하게 되었다. 거기에 대한 반응으로 수도원이 탄생되었다. 그러나 수도원도 결국 풍요로움과 함께 정치와 결탁되면서 세속의 길을 걸어가게 되었다. 여기에 대해 버나드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수도원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개혁의 칼을 들었다. 따라서 버나드가 해야 할 시대가 요청한 역할은 개혁과 변혁이라고 할 수 있다. 버나드는 거기에 잘 맞는 개혁 영성을 가지고 수도원과 교회 나아가 정계에까지 그의 영향력을 끼쳤다. 따라서 중세시대의 신자들의 삶의 변화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에게 요구하는 참된 하나님의 자녀로써의 삶의 열매는 동일 할 수 가없다. 그렇지만 버나드의 개혁 영성은 결과적으로 더 많은 수도원의 창설과 건강한 신앙의 수도사들을 배출함으로 확장과 성장의 결실을 맺었다. 또한 버나드와 함께 활동했던 성직자들과 정치가들 역시 많은 부분에서 그리스도인으로써의 회복과 변화를 이루었다. 21세기 오늘날 우리 시대가 요구하는 영성은 무엇인가? 버나드를 통해서 우리가 추구하고 나아가야 할 영적 자각과 방향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곽은서. “중세 시토수도원 개혁운동에 나타난 성 버나드의 개혁영성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추천자료
[중학교교육][중등교육][중학교교육과정][중등]중학교(중등)의 독서교육, 중학교(중등)의 경...
문학교육전략(수업전략), 독서교육전략(수업전략), 양성평등수학교육전략(수업전략), ICT활용...
독서감상지도(학습)프로그램 사례, 성교육지도(학습)프로그램 사례, 원예활동지도(학습)프로...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독서교육과 한자교육 사례,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성...
[학습능력]영어과교육 기본학습능력, 수학과교육 개념학습능력, 과학과교육 탐구학습능력, 사...
[올바른 글쓰기][올바른 글씨쓰기][올바른 독서습관][올바른 역사교육][올바른 역사기록][역...
[교육활동][지도활동][교수학습활동][수업활동]인성교육활동 사례, 통일교육활동 사례, 정보...
한국의 성문화
[독서보고서, 서평] 다이어트의 성정치 _ 한서설아 저
[기독교상담 독서보고서] 『상담론』 [요약 및 서평] 존 맥아더 (John MacArthur) 저 {성경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