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입지: 지리적 이점으로 본 경제 전략
2. 자원: 자원 대국은 목소리가 크다.
3. 무역: 전 세계에서 벌어지는 줄다리기
4. 인구: 미래 예측의 핵심 요소
5. 문화: 의식주 지역성의 형성
Ⅲ. 결론
Ⅱ. 본론
1. 입지: 지리적 이점으로 본 경제 전략
2. 자원: 자원 대국은 목소리가 크다.
3. 무역: 전 세계에서 벌어지는 줄다리기
4. 인구: 미래 예측의 핵심 요소
5. 문화: 의식주 지역성의 형성
Ⅲ. 결론
본문내용
된다. 그리고 지역이 합쳐지면 나라가 된다. 결국 지리를 알면 그 나라의 사회, 경제 상황을 모두 이해하게 된다. 또한 지리를 알게 되면 역사 공부가 재밌어진다. 그리고 역사를 공부해야 미래를 읽을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교육도 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누군가는 과거의 학문이라 취급받는 지리 교육을 필수 과목에서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책의 저자 미야지 슈사쿠는 미래 사회에서 지리학은 엄청난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력히 말한다. 미래의 교육은 단순히 정답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정답을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하며 지식의 축적이 필요하다. 지식이 있어야 비로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지리학은 학생들로 하여금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지식을 축적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학문이다. 지리에 대한 관심은 역사와 경제,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책을 읽으며 나 역시 이러한 저자의 논리에 공감하였다. 그리고 지금부터라도 지리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지식의 폭을 확장시켜 나가야겠다고 다짐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