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II. 윤리적 이슈의 우선순위
III.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 참고문헌
II. 윤리적 이슈의 우선순위
III.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업무 이외에는 공개하지 않는다.
8)사회복지사는 동료 간의 존중과 신뢰로써 대하며, 동료 간의 전문적 지위와 인격을 훼손하는 언행은 하지 않는다.
9)사회복지사는 동료나 사회복지기관 또는 단체의 비윤리적 범위에 대하여 공식적인 절차를 통하여 대처한다.
10)사회복지사는 소속기관과 전문단체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성장발전과 권익옹호에 힘쓰며 기타 유관기관과는 협조적 관계를 유지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부터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제정의 필요성이 논의되어 오다가 1988년에 와서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채택, 공표하였으며, 1992년에 개정하였다. 전체 강령은 10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항-3항은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무, 책임, 태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제4항~7항에서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 전문직의 의무를 강조하며, 제8항~9항에서는 동료와의 관계를, 제10항에서는 사회복지기관과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8)사회복지사는 동료 간의 존중과 신뢰로써 대하며, 동료 간의 전문적 지위와 인격을 훼손하는 언행은 하지 않는다.
9)사회복지사는 동료나 사회복지기관 또는 단체의 비윤리적 범위에 대하여 공식적인 절차를 통하여 대처한다.
10)사회복지사는 소속기관과 전문단체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성장발전과 권익옹호에 힘쓰며 기타 유관기관과는 협조적 관계를 유지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부터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제정의 필요성이 논의되어 오다가 1988년에 와서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채택, 공표하였으며, 1992년에 개정하였다. 전체 강령은 10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항-3항은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무, 책임, 태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제4항~7항에서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 전문직의 의무를 강조하며, 제8항~9항에서는 동료와의 관계를, 제10항에서는 사회복지기관과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사회사업실천연구1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전문성의 3요소인 가치, 지식, 기술에 대하여 탐색하고, 다음의 질문...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 윤리강령과 우리나라의 다른 전문가의 윤리강령에 대해 비교 하여 차이점과 같은 점...
에릭슨의 자아통합의 개념에 근거한 노인복지의 실천 방향성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강령에 대해 기술하시고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강령에 대해 기술하시고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
[윤리강령] 미국과 한국 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에 대해 기술하고 느낀 점을 쓰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