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콩의 재배·생리적 주요 특징
2. 콩의 수량이 벼에 비해 적은 이유
3. 콩 수량 증대 방안
Ⅲ. 결 론
Ⅱ. 본 론
1. 콩의 재배·생리적 주요 특징
2. 콩의 수량이 벼에 비해 적은 이유
3. 콩 수량 증대 방안
Ⅲ. 결 론
본문내용
)을 높이는 방법
(1) 질소 고정력을 높이는 방법
뿌리혹박테리아가 콩과 공생을 잘 할 수 있는 토양조건을 만들어 주기 위한 시비를 해 주어야 한다. 석회는 2~3년에 한번씩 300평당 100~150kg 정도를 주는 것이 좋다. 산도는 pH 6.5 수준으로 석회 시비를 통해 산도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인산과 칼리 또한 질소고정을 촉진시키고 광합성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용과린은 2~3포, 염화가리나 황산가리는 1포 정도 주는 것이 좋다. 북주기를 통해 부정근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다. 부정근 발생을 유도하여 뿌리혹박테리아의 착생을 더 많이 하게 해주고 보습력과 통기성을 좋게 해 가뭄과 습해 피해를 예방해 준다.
(2) 지력 질소를 확대하는 방법
부산물 퇴비나 축분을 토양에 충분히 공급해 주면 지력 질소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질소 성분이 높은 돈분이나, 계분을 너무 많이 주면 수량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유기물 함량이 2.5% 수준인 기경지라면 우분은 1t, 돈분은 0.5t, 계분은 0.3t 정도 주는 것이 적당하다.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이 높아져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력질소의 공급량 또한 높아지게 된다. 보통 일반 토양이 300평당 5kg 미만의 지력질소를 공급한다면 이렇게 퇴비나 축분을 줄 경우 이를 10kg 이상으로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과 노력이 들어간다는 것이 문제이다. 비용 대비 수익이 되지 않으면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 광합성을 극대화하는 방법
(1) 수분공급
광합성 극대화 시기인 개화 중기 이후 적절한 수분 공급이 안되면 광합성 능률이 떨어져 수량을 높일 수 없다. 이 시기 이후 성숙기까지 가물면 일주일에 한번씩 수분 공급을 해주는 것이 필수다. 콩이 요구로 하는 전체 수분량의 80% 이상이 개화기 이후에 필요한 것도 이처럼 광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분은 광합성 산물을 생산하는데도 필요하지만 광합성 산물을 분배, 할당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재식밀도
개체의 광합성 능력 못지 않게 적정주수 확보도 중요한 과제인 만큼 광합성 능력을 최대로 하면서도 단위면적당 적정주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소영양이 충분히 공급되는 상태라면 콩이 최대로 자라는 개화기 10일경 콩 골이 어느 정도 보이는 수준이 적합하다. 북주기나 퇴비 공급으로 질소영양을 높인 상태에서는 이 보다 최소 20%는
(1) 질소 고정력을 높이는 방법
뿌리혹박테리아가 콩과 공생을 잘 할 수 있는 토양조건을 만들어 주기 위한 시비를 해 주어야 한다. 석회는 2~3년에 한번씩 300평당 100~150kg 정도를 주는 것이 좋다. 산도는 pH 6.5 수준으로 석회 시비를 통해 산도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인산과 칼리 또한 질소고정을 촉진시키고 광합성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용과린은 2~3포, 염화가리나 황산가리는 1포 정도 주는 것이 좋다. 북주기를 통해 부정근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다. 부정근 발생을 유도하여 뿌리혹박테리아의 착생을 더 많이 하게 해주고 보습력과 통기성을 좋게 해 가뭄과 습해 피해를 예방해 준다.
(2) 지력 질소를 확대하는 방법
부산물 퇴비나 축분을 토양에 충분히 공급해 주면 지력 질소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질소 성분이 높은 돈분이나, 계분을 너무 많이 주면 수량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유기물 함량이 2.5% 수준인 기경지라면 우분은 1t, 돈분은 0.5t, 계분은 0.3t 정도 주는 것이 적당하다.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이 높아져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력질소의 공급량 또한 높아지게 된다. 보통 일반 토양이 300평당 5kg 미만의 지력질소를 공급한다면 이렇게 퇴비나 축분을 줄 경우 이를 10kg 이상으로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과 노력이 들어간다는 것이 문제이다. 비용 대비 수익이 되지 않으면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 광합성을 극대화하는 방법
(1) 수분공급
광합성 극대화 시기인 개화 중기 이후 적절한 수분 공급이 안되면 광합성 능률이 떨어져 수량을 높일 수 없다. 이 시기 이후 성숙기까지 가물면 일주일에 한번씩 수분 공급을 해주는 것이 필수다. 콩이 요구로 하는 전체 수분량의 80% 이상이 개화기 이후에 필요한 것도 이처럼 광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분은 광합성 산물을 생산하는데도 필요하지만 광합성 산물을 분배, 할당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재식밀도
개체의 광합성 능력 못지 않게 적정주수 확보도 중요한 과제인 만큼 광합성 능력을 최대로 하면서도 단위면적당 적정주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소영양이 충분히 공급되는 상태라면 콩이 최대로 자라는 개화기 10일경 콩 골이 어느 정도 보이는 수준이 적합하다. 북주기나 퇴비 공급으로 질소영양을 높인 상태에서는 이 보다 최소 20%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