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균 감염관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생제 내성균 감염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VRSA(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알균)

2. VRE(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3.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4. MRPA(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다제내성 녹농균)

5. MRAB(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6. CRE(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카바페넴 내성 장내균)

본문내용

트 지역 의료진은 가운을 착용하지 않고 있다가 코호트 밖으로 나올 때만 덧가운은 착용하여도 무방하다.
마스크
-접촉에 의한 전파이므로 마스크를 받드시 착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내성균이 공기중으로 분무될 가능성이 있는 치료나 상황시(기도 흡인, 흉부물리요법, 박탈성 피부질환)에는 착용한다.
환자사용 의료기구 및 적출물 관리
-환자에게 사용되는 모든 의료기구나 물품(청진기, 혈압계, 변기 등)은 환자마다 별도로 사용하여야 한다.
-멸균소독이 필요한 물품: 사용 후 테고에 20분이상 침적 후 멸균소독 의뢰(예; 인공호흡기 튜브, 카테터 등)하거나, 멸균 서비스 unit와 합의된 품목은 사용 후 세척하지 않고 반투명 비닐에 넣어 “격리”표지를 붙여서 소독 의뢰한다.
-일회용 물품과 적출물: 환자에게 사용한 일회용 의료기구와 거즈, 붕대같은 적출물은 침상옆에서 바로 병원의 적출물 처리지침에 따라 분리 수거한다. 표면에 “격리”라고 표기 후 수거해 가도록 한다.
-환자 옆에 별도로 비치하였던 재사용 의료용품(혈압계, 체온계 등)은 다른 환자 사용 전에 소독제 (50배 희석 HBV Quat 또는 86% 알콜)로 잘 닦아준다.
환자 개별사용 물품
-체온계, 청진기, 혈압계 커프, 토니켓 등 가능한 별도로 사용 할 수 있는 물품은 개별적으로 사용한 다. 다른 환자와 함께 사용하는 물품은 다른 환자에게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깨끗이 닦고 소독한 뒤에 사용한다.
의료 폐기물 관리
-격리환자 방이나 침상 옆에 의료 폐기물 박스 1개를 두고 의료 폐기물(일회용 장갑, 거즈, 비닐가운, 알콜스폰지, 수액세트 등)을 함께 분리 수거한다.
-폐기물 막스 외에 병실에 의료 폐기물이 적체되어 있지 않도록 주의한다.
-작은 약병이나 정맥주사용 수액병(수액팩)은 감염성 폐기물이 아니므로 다른 환자와 같은 방법으로 수거하나, 취급후에는 손을 씻는다.
린넨관리
-면 가운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는 병실내에 오염세탁물 햄퍼를 두도록 한다.
-환자에게 사용한 린넨은 청색 햄퍼나 반투명 비닐 봉투에 다른 환자의 린넨과 별도로 수거한다.
표면에 “격리”라고 표기한 후 오물실에 놓아서 수거해 가도록 한다.
환경소독
-하루에 1번이상 환자가 사용하는 물품, 상두대, 환자가 접촉하는 표면을 병원에서 지정한 소독제로 닦아준다.
-환자 퇴원시에는 침대와 매트리스, 병실바닥과 환자 사용 가구(벽이나 커튼은 눈에 보이는 오염이 벗 으면 소독하지 않아도 된다)를 모두 같은 방법으로 소독한다.
환자용 식기
-식기로 인하여 감염전파 가능성이 없으므로 일반 환자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별도로 삶거나 분리하여 수거할 필요는 없다.
보호자와 방문객
-보호자와 방문객은 최소한으로 제한한다.
-보호자와 방문객에게 간호단위 수간호사와 담당의사가 격리의 목적과 방법을 잘 설명한다.
-보호자와 방문객이 병실 내에 머무르는 경우에는 격리지침을 준수하도록 한다. 상주하는 보호자는 가운을 착용하고 있다가 출입시 가운을 벗고 손을 소독한 뒤 나가도록 한다.
환자 이동시 감염관리
-격리 환자의 병실 밖 이동은 최소화하고, 꼭 이동해야 할 시 환의를 교환하거나 새환의 덧착용과 일회용 장갑을 착용시키고, 이송 용구(휠체어, 이동카트, 보행기 등)는 사용 후 바로 소독한다.
-검사나 기타 다른 사유로 환자가 다른 장소에 다녀와야 할 경우 환자의 차트나 휠체어에 내성균 보유 환자임을 표지하여 다른 부서 직원이 주의하도록 한다.
-환자가 사용한 의자, 침대, stretcher는 소독후 다른 환자가 사용토록 한다.
-환자 이송에 참여하여 환자와 접촉하는 직원은 반드시 가운을 착용하고 환자를 운반하며, 환자 또는 환자 물품과 접촉후에는 반드시 손을 소독하여야 한다.
검사나 치료부서에서의 환자 관리
-환자를 검사 또는 치료하게 되는 부서에서는 간호단위에서의 환자격리 방법에 따라서 관리한다.
-이동용 검사기구(EKG, portable X-ray, 초음파 등)는 다음 환자에게 사용하기 전에 표면을 소독제 (HBV Quat, 피부 접촉부위는 86% 알콜)로 닦아준다.
-가능하면 그 날 맨 마지막 환자가 되도록 순서를 조정한다.
-환자를 타원으로 이송시킬 경우 내성균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려 준다.
-환자가 집으로 퇴원할 경우에는 특별한 주의사항이 필요없다.
-가정간호과로 의뢰할 경우에도 반드시 환자 관리사항을 미리 알려 주어야 한다.
☆항균제 내성균 관리지침
관리
대상내성균
감염 또는 균집락
VRSA, VRE, MRSA, MRPA, MRAB, CRE
준비사항
병실
사용
중환자실
일반병동
MRSA
격리실 사용 또는 코호트
가능하면 일인실 또는 코호트, 안되면 원래 병실사용
VRE
전용 격리실 또는 일인실
다재내성 그람음성균
격리실 사용 또는 코호트, 불가능시 원래상태에서 격리
원래 병실에서 격리 시행
물품
준비
▶물없이 사용하는 알콜젤(침상옆)
▶개별 사용 의료기구: 혈압계/청진기, 체온계, 대소변기, 토니켓, 기타 개별 사용가 능 물품
▶격리용 물품
①비닐가운, 긴팔비닐가운/면가운
②청결장갑(폴리 또는 비닐)
③비닐봉투(가운 또는 분리수거하여 처치실로 가져올 물품용)
④의료 폐기물 박스
환자/보호자 설명
담당의사가 설명
접촉주의
손씻기
환자나 물품 접촉 전, 후에 소독비누나 알콜젤 사용, 15초 이상
장갑
환자 접촉시 반드시 장갑 착용
장갑 벗고 나서 손씻기 철저히 시행
가운
▶환자 접촉시 항상 비닐 앞치마 착용
▶다음과 같은 경우 긴팔 비닐가운 또는 면가운 착용
①드레싱으로 덮이지 않는 큰 개방창상이 있는 경우
②설사, 실금, 회장조루, 결장조루가 있는 경우
③다른 분비물이나 배설물이 다량으로 있는 경우
④장기간 밀접한 접촉시
⑤환자 및 주변 물품접촉시
마스크
보통 불필요하나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이 많아서 흡인이나 검사시 튈 우려가 있는 경우 착용
환자의
이동
이동시 사용한 물품은 소독제로 소독, 접촉직원은 손씻기 철저히 실시
환경소독
의료
폐기물
의료 폐기물 박스 1개에 함께 분리수거
린넨
오염세탁물 햄퍼에 분리수거
재사용
의료기구
흰색비닐에 분리수거
소독제(10%테고100배 희석)에 10~15분 침적, 세척 후 멸균소독 의뢰
환경소독
병실표면, 환자사용 검사대, 중앙공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0.05.29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1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