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 괄호 A, B, C, D, E에 어울리는 용어는? (각 2점, 총 10점)
2. 다음 괄호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는? (5점)
3. 다음이 공통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5점)
4. 청소년기 또래집단은 준거집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준거집단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시오.(10점)
5. 청소년교육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에 대해 설명하시오(20점)
1) 청소년교육이란
2) 청소년교육의 필요성
6. 경험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20점).
1) 경험과 성장
2) 교육적 경험
3) 경험과 사고
4) 경험과 지식
참고문헌
2. 다음 괄호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는? (5점)
3. 다음이 공통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5점)
4. 청소년기 또래집단은 준거집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준거집단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시오.(10점)
5. 청소년교육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에 대해 설명하시오(20점)
1) 청소년교육이란
2) 청소년교육의 필요성
6. 경험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20점).
1) 경험과 성장
2) 교육적 경험
3) 경험과 사고
4) 경험과 지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보고 있는 것이다. 듀이가 말하는 경험은 상황 속에서 개인이 상호작용(interaction)한 결과가 완전히 처리(transaction)되어 개인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이러한 질적 변화는 바로 사고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보았다.
4) 경험과 지식
듀이는 지식이란 인간의 행동에 적용되는 것이라는 기능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보고 있다.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산물’은 듀이가 말하는 경험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지식이라는 것은 경험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듀이는 지식은 원래 문제상황에 관한 능동적 관심의 발로에서 나오는 것이며, 탐구의 결과요, 또한 탐구를 위한 자원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듀이에 따르면 조작적 활동을 통한 탐구과정을 거쳐서 문제가 해결된 상태로서의 경험의 결과가 지식의 내용이 되는 것이다. 즉, 듀이가 말하는 지식은 반성적 경험의 결과인 것이다. 그리고 지식이 반성적 경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므로 지식에 의심이나 회의가 생기면 반성적 사고에 의해서 또다시 탐구되어야 하는 것이며, 경험의 계속성의 원리에 따라서 경험이 연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처럼, 지식은 반성적 경험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듀이가 말하는 지식은 경험과 분리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정 속에서 다른 탐구활동에 이용되고 그 자체가 계속 탐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듀이는 지식이라는 것은 ‘어떤 한 대상(object)이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가를 결정해주는 여러 관계성들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지식의 기능은 어떤 한 경험이 다른 경험에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상적으로 완벽한 지식이라는 것은 과거의 어떤 경험이 새로운 경험 속에서 제시되는 문제상황에서 도움을 주는 상호관련성의 조직망을 나타내는 것이어야 한다. 즉 듀이가 말하는 지식이란 지적인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권이종(1998). 청소년 교육론. 양서원.
윤여각 외(2004). 지역사회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박도순 외(2004). 우리교육 어디로 가야 하나. 교육과학사.
권일남 외(2008). 청소년활동지도론. 학지사.
김상미 외(2013). 청소년수련활동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청소년복지연구.
국순아, “듀이의 실용주의적 지식 개념”, 철학논총, 제61집, 2010.
4) 경험과 지식
듀이는 지식이란 인간의 행동에 적용되는 것이라는 기능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보고 있다.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산물’은 듀이가 말하는 경험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지식이라는 것은 경험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듀이는 지식은 원래 문제상황에 관한 능동적 관심의 발로에서 나오는 것이며, 탐구의 결과요, 또한 탐구를 위한 자원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듀이에 따르면 조작적 활동을 통한 탐구과정을 거쳐서 문제가 해결된 상태로서의 경험의 결과가 지식의 내용이 되는 것이다. 즉, 듀이가 말하는 지식은 반성적 경험의 결과인 것이다. 그리고 지식이 반성적 경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므로 지식에 의심이나 회의가 생기면 반성적 사고에 의해서 또다시 탐구되어야 하는 것이며, 경험의 계속성의 원리에 따라서 경험이 연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처럼, 지식은 반성적 경험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듀이가 말하는 지식은 경험과 분리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정 속에서 다른 탐구활동에 이용되고 그 자체가 계속 탐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듀이는 지식이라는 것은 ‘어떤 한 대상(object)이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가를 결정해주는 여러 관계성들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지식의 기능은 어떤 한 경험이 다른 경험에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상적으로 완벽한 지식이라는 것은 과거의 어떤 경험이 새로운 경험 속에서 제시되는 문제상황에서 도움을 주는 상호관련성의 조직망을 나타내는 것이어야 한다. 즉 듀이가 말하는 지식이란 지적인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권이종(1998). 청소년 교육론. 양서원.
윤여각 외(2004). 지역사회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박도순 외(2004). 우리교육 어디로 가야 하나. 교육과학사.
권일남 외(2008). 청소년활동지도론. 학지사.
김상미 외(2013). 청소년수련활동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청소년복지연구.
국순아, “듀이의 실용주의적 지식 개념”, 철학논총, 제61집,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