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울과 불안의 유형
1) 우울증
(1) 주요우울장애
(2) 기분부전장애
2) 불안장애
(1) 범불안장애
(2) 공포증
(3) 공황장애
(4) 강박장애
(5)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6) 분리불안장애
2. 우울증과 불안장애의 원인
1) 우울증
(1) 정신분석이론
(2) 애착이론
(3) 인지적 이론
(4) 행동주의이론
(5) 스트레스 취약성 모형
2) 불안장애
(1) 정신분석이론
(2) 애착이론
(3) 행동주의이론
(4) 인지적 이론
(5) 가족의 영향
3. 우울과 불안이 있는 학생의 평가와 진단
1) 우울
2) 불안
참고문헌
1) 우울증
(1) 주요우울장애
(2) 기분부전장애
2) 불안장애
(1) 범불안장애
(2) 공포증
(3) 공황장애
(4) 강박장애
(5)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6) 분리불안장애
2. 우울증과 불안장애의 원인
1) 우울증
(1) 정신분석이론
(2) 애착이론
(3) 인지적 이론
(4) 행동주의이론
(5) 스트레스 취약성 모형
2) 불안장애
(1) 정신분석이론
(2) 애착이론
(3) 행동주의이론
(4) 인지적 이론
(5) 가족의 영향
3. 우울과 불안이 있는 학생의 평가와 진단
1) 우울
2) 불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불안이 있는 학생의 평가와 진단
아동기 우울 불안을 평가하는 검사에는 ‘아동용 우울척도’ 와 ‘아동용 불안척도’가 있다. 여기서는 우리나라에 번안되어 활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를 살펴보고, DSM-IV-TR에 제시되어 있는 주요 우울증과 범불안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해 살펴본다.
1) 우울
아동의 우울을 측정하는 도구에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아동우울척도(Chiidren’ s Depression Inventory: CDI)’와 학령기 아동용 정서장애 및 정신분열병조사지 '아동 · 청소년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등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동 및 청소년의 우울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검사로는 조수철과 이영식(1990)이 번안한 '아동우울척도’가 있다. 이 검사는 Kovacs(1985)가 개발한 아동우울철도(CDI)를 번안한 것으로, CDI는 7~17세의 아동 청소년에게 실시할 수 있는 2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검사다. 이 검사는 우울증상의 심각도를 0점에서 2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주요우울증 진단기준은 DSM-IV-TR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A. 다음의 증상 가운데 5개(또는 그 이상) 증상이 연속 2주 동안 지속되며, 이러한 상태가 이전 기능으로부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위의 증상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1) 우울한 기분이거나, (2)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어야 한다.
- 주의: 명백한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나 기분과 조화되지 않는 망상이나 환각으로 인한 증상이 포함되지 않음
① 하루의 대부분, 그리고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이 주관적인 보고(슬프거나 공허하다고 느낀다)나 객관적인 관찰(울 것처럼 보인다)에서 드러난다.
- 주의: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는 과민한 기분으로 나타나기도 함
② 모든 또는 거의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이 하루의 대부분 또는 거의 매일 같이 뚜렷하게 저하되어 있을 경우(주관적인 설명이나 타인에 의한 관찰에서 드러남)
③ 체중 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예: 1개월 동안 체중 5% 이상의 변화)에서 의미 있는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 거의 매일 나타나는 식욕 감소나 증가가 있을 때
- 주의: 아동의 경우 체중 증가가 기대치에 미달되는 경우 주의할 것
④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⑤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운동성 초조나 지체(주관적인 좌불안석 또는 처진 느낌이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 가능)
⑥ 거의 매일 피로나 활력 상실
⑦ 거의 매일 무가치감과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망상적일 수도 있는)을 느낌(단순히 병이 있다는 데 대한 자책이나 죄책감이 아님)
⑧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주관적 호소나 관찰에서)
⑨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단지 죽음에 대한 두려움뿐 만 아니라), 특정한 계획 없이 반복되는 자살 생각 또는 자살 기도나 자살 수행에 대한 특정 계획
B. 증상이 혼재성 삽화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C.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애를 일으킨다.
D. 증상이 물질(예: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E. 증상이 사별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는다.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후에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현저한 기능장애, 무가치감에 대한 병적 집착, 자살생각, 정신증적 증상이나 정신성 운동지체가 특징적으로 나타날 경우에만 이 장애의 진단이 내려진다.
2) 불안
아동의 불안을 측정하는 검사로는 '아동용 불안척도’가 있다. 이 검사는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Reynolds와 Richmond(1978)가 개발한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을 번안한 것인데, RCMAS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 실시할 수 있는 총 37문항의 자기보고형 검사로, 9개의 허구문항과 28개의 불안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아기과잉불안장애를 포함한 범불안장애의 진단기준은 DSM-IV-TR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A. 많은 사건이나 활동들(일이나 학교학습과 같은)에 대해 적어도 6개월 이상 더 많은 날짜 동안 발생하는 과도한 불안과 걱정(근심스러운 기대)을 한다.
B. 개인은 걱정을 통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안다.
C. 불안과 걱정은 다음의 여섯 가지 증상들(적어도 몇 가지 증상들은 지난 6개월 동안이 아닌 그보다 더 많은 날짜 동안 나타남) 가운데 세 가지(또는 그 이상)와 관련된다.
① 안절부절못함이나 핵심이나 가장자리에 있다는 느낌
② 쉽게 피로해짐
③ 주의집중의 어려움이나 마음이 텅빈 듯한 느낌
④ 신경과민
⑤ 근육긴장
⑥ 수면혼란(수면에 빠지거나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 또는 계속되는 불만족스러운 수면)
D. 불안과 걱정의 초점이 축 I(Axis I) 장애의 특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불안이나 걱정은 공황발작을 일으키지 않으며(공황장애에서와 같이), 대중 속에서 당황하며(사회공포증에서처럼), 집착하며(강박장애와 같이), 가정이나 가까운 친척과 멀어지며(분리불안장애와 같이), 몸무게를 증가시키며(신경성 식욕부진증과 같이), 중 다 신체적 불평을 가지거나(신체화장애와 같이), 또는 심각한 질병이 있다는 데 대한 불안(건강염려증과 같이), 그리고 불안과 걱정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동안 발생하지 않는다.
E. 불안, 걱정 또는 신체적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기타 기능화의 중요한 분야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디스트레스나 손상을 유발한다.
F. 장애는 물질(예: 남용되는 약물, 의약품)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나 일반적인 의학적 조건(예: 갑상선기능항진중) 때문이 아니며, 기분장애, 정신증적 장애, 광범위한 발달장애 동안에만 발생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아동기 우울 불안을 평가하는 검사에는 ‘아동용 우울척도’ 와 ‘아동용 불안척도’가 있다. 여기서는 우리나라에 번안되어 활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를 살펴보고, DSM-IV-TR에 제시되어 있는 주요 우울증과 범불안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해 살펴본다.
1) 우울
아동의 우울을 측정하는 도구에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아동우울척도(Chiidren’ s Depression Inventory: CDI)’와 학령기 아동용 정서장애 및 정신분열병조사지 '아동 · 청소년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등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동 및 청소년의 우울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검사로는 조수철과 이영식(1990)이 번안한 '아동우울척도’가 있다. 이 검사는 Kovacs(1985)가 개발한 아동우울철도(CDI)를 번안한 것으로, CDI는 7~17세의 아동 청소년에게 실시할 수 있는 2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검사다. 이 검사는 우울증상의 심각도를 0점에서 2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주요우울증 진단기준은 DSM-IV-TR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A. 다음의 증상 가운데 5개(또는 그 이상) 증상이 연속 2주 동안 지속되며, 이러한 상태가 이전 기능으로부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위의 증상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1) 우울한 기분이거나, (2)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어야 한다.
- 주의: 명백한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나 기분과 조화되지 않는 망상이나 환각으로 인한 증상이 포함되지 않음
① 하루의 대부분, 그리고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이 주관적인 보고(슬프거나 공허하다고 느낀다)나 객관적인 관찰(울 것처럼 보인다)에서 드러난다.
- 주의: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는 과민한 기분으로 나타나기도 함
② 모든 또는 거의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이 하루의 대부분 또는 거의 매일 같이 뚜렷하게 저하되어 있을 경우(주관적인 설명이나 타인에 의한 관찰에서 드러남)
③ 체중 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예: 1개월 동안 체중 5% 이상의 변화)에서 의미 있는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 거의 매일 나타나는 식욕 감소나 증가가 있을 때
- 주의: 아동의 경우 체중 증가가 기대치에 미달되는 경우 주의할 것
④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⑤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운동성 초조나 지체(주관적인 좌불안석 또는 처진 느낌이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 가능)
⑥ 거의 매일 피로나 활력 상실
⑦ 거의 매일 무가치감과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망상적일 수도 있는)을 느낌(단순히 병이 있다는 데 대한 자책이나 죄책감이 아님)
⑧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주관적 호소나 관찰에서)
⑨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단지 죽음에 대한 두려움뿐 만 아니라), 특정한 계획 없이 반복되는 자살 생각 또는 자살 기도나 자살 수행에 대한 특정 계획
B. 증상이 혼재성 삽화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C.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애를 일으킨다.
D. 증상이 물질(예: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E. 증상이 사별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는다.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후에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현저한 기능장애, 무가치감에 대한 병적 집착, 자살생각, 정신증적 증상이나 정신성 운동지체가 특징적으로 나타날 경우에만 이 장애의 진단이 내려진다.
2) 불안
아동의 불안을 측정하는 검사로는 '아동용 불안척도’가 있다. 이 검사는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Reynolds와 Richmond(1978)가 개발한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을 번안한 것인데, RCMAS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 실시할 수 있는 총 37문항의 자기보고형 검사로, 9개의 허구문항과 28개의 불안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아기과잉불안장애를 포함한 범불안장애의 진단기준은 DSM-IV-TR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A. 많은 사건이나 활동들(일이나 학교학습과 같은)에 대해 적어도 6개월 이상 더 많은 날짜 동안 발생하는 과도한 불안과 걱정(근심스러운 기대)을 한다.
B. 개인은 걱정을 통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안다.
C. 불안과 걱정은 다음의 여섯 가지 증상들(적어도 몇 가지 증상들은 지난 6개월 동안이 아닌 그보다 더 많은 날짜 동안 나타남) 가운데 세 가지(또는 그 이상)와 관련된다.
① 안절부절못함이나 핵심이나 가장자리에 있다는 느낌
② 쉽게 피로해짐
③ 주의집중의 어려움이나 마음이 텅빈 듯한 느낌
④ 신경과민
⑤ 근육긴장
⑥ 수면혼란(수면에 빠지거나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 또는 계속되는 불만족스러운 수면)
D. 불안과 걱정의 초점이 축 I(Axis I) 장애의 특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불안이나 걱정은 공황발작을 일으키지 않으며(공황장애에서와 같이), 대중 속에서 당황하며(사회공포증에서처럼), 집착하며(강박장애와 같이), 가정이나 가까운 친척과 멀어지며(분리불안장애와 같이), 몸무게를 증가시키며(신경성 식욕부진증과 같이), 중 다 신체적 불평을 가지거나(신체화장애와 같이), 또는 심각한 질병이 있다는 데 대한 불안(건강염려증과 같이), 그리고 불안과 걱정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동안 발생하지 않는다.
E. 불안, 걱정 또는 신체적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기타 기능화의 중요한 분야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디스트레스나 손상을 유발한다.
F. 장애는 물질(예: 남용되는 약물, 의약품)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나 일반적인 의학적 조건(예: 갑상선기능항진중) 때문이 아니며, 기분장애, 정신증적 장애, 광범위한 발달장애 동안에만 발생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키워드
추천자료
- [청소년상담] 청소년상담의 이론과 실제
- 생활지도
- 정서장애, 우울불안장애, 주의집중 장애
- 아동생활지도 2학년D형] 미술치료의 이론적 배경 및 미술치료의 방법과 과정
- [아동생활지도] 부적응 행동의 이론적 접근에 대해 논하고 , 부적응 행동의 진단기준에 대해 ...
- [생활지도] 생활지도의 의의(개념정의),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생활지도방법(개인지도, 집...
- 생활지도의 개념(정의)과 목적(방향), 생활지도 영역과 원리, 생활지도과정
- [학생생활지도-학교생활지도] 생활지도의 개념(정의)과 발달, 생활지도의 필요성, 생활지도원...
- [ 생활지도 사례연구 레포트 ] 생활지도 정의,목적,기능분석및 다양한 생활지도 사례연구및 ...
- 학습부진아 선정 및 계획서 - 상담지도 보고서
- 집단상담의 개념과 목표 및 형태, 집단상담의 장단점, 집단상담과 개인상담의 비교, 집단지도...
- 생활지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