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관식 문제
- 목 차 -
1. 다음 물음에 대한 답을 쓰시오.
2. 다음 괄호에 알맞은 용어는?
3. 다음 물음에 대한 답을 쓰시오.
4. 도파민의 네가지 뇌 전달 경로와 정신 증상과의 연관성을 설명하시오.
5. 공황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공황발작의 증상과 간호를 기술하시오.
6. 정신 생물학적 측면에서의 정신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서술하시오.
7. 인격장애를 A, B, C군으로 분류할 때 B군 유형의 종류와 각 특성은 무엇인가?
- 목 차 -
1. 다음 물음에 대한 답을 쓰시오.
2. 다음 괄호에 알맞은 용어는?
3. 다음 물음에 대한 답을 쓰시오.
4. 도파민의 네가지 뇌 전달 경로와 정신 증상과의 연관성을 설명하시오.
5. 공황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공황발작의 증상과 간호를 기술하시오.
6. 정신 생물학적 측면에서의 정신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서술하시오.
7. 인격장애를 A, B, C군으로 분류할 때 B군 유형의 종류와 각 특성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1. 다음 물음에 대한 답을 쓰시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서 강조하는 성인기의 과제와 극복해야 하는 위기는 무엇인가?
정답: 에릭슨 심리사회 이론에서 발달하는 성인기의 과제는 7단계인 생산성 대 자기 침체와 8단계인 자아통합 대 절망의 단계이다.
성인 초기의 발생하는 성인기 과제는 친밀감 대 고립감의 단계라고도 일컫는다. 청소년기의 단계는 통상적으로 자기 몰두에 해당된다. 한편 청소년기를 지나치면서 이들은 자기는 물론이고 타인에게 보이는 관심까지도 넓힐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성인 초기에 나타나는 발달과제란 타인과의 의미 있는 대인관계를 형성함으로 이들과의 친밀감(intimacy)을 넓혀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모든 시기와 같이 이미 지나간 이전 시기의 적절한 발달은 그 후의 발달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 시기에 적절한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5단계에서 합리적인 정체감을 먼저 형성할 필요가 있다. 지나치게 자의식적인 인물은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진정한 대인관계를 완성하지 못하여 형성되는 경험은 결국 고립감(isolation)의 발달로 나타날 것이다(Erikson, 1982)
이 단계의 발달도 마찬가지로 친밀감과 고립감의 갈등을 통해서 드러난다. 그렇기에 적절한 정도의 고립감은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 필요하기도 하며, 완전하게 배제할 수도 없는 개념이다. 아무리 친한 사람끼리라고 하더라도 완전한 내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그에 의한 반목과 고립감을 필연적으로 겪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두 경험을 통해 적절한 수준에서 친밀감을 형성한다면 더욱 성숙한 자아 역량, 다시 말해‘사랑’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기대한다.
성인 중기에 이르러 두 사람 사이의 친밀감을 형성하게 되면 이제 그러한 관계는 두 사람 사이를 넘어서도 적용되기 시작한다. 이는 다시 말해 다음 세대를 ‘생산’하거나 가치를 전수하는 단계로 이행한다는 뜻이다. 그와 같은 의미에서 생산성은 좁게 표현해서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넓은 관점에서의 생산성은 다음 세대에게 본인의 능력이나 가치를 전수하는 전체적인 활동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물건을 생산한다든지, 지식을 전파하는 행위도 생산성 있는 활동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중략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서 강조하는 성인기의 과제와 극복해야 하는 위기는 무엇인가?
정답: 에릭슨 심리사회 이론에서 발달하는 성인기의 과제는 7단계인 생산성 대 자기 침체와 8단계인 자아통합 대 절망의 단계이다.
성인 초기의 발생하는 성인기 과제는 친밀감 대 고립감의 단계라고도 일컫는다. 청소년기의 단계는 통상적으로 자기 몰두에 해당된다. 한편 청소년기를 지나치면서 이들은 자기는 물론이고 타인에게 보이는 관심까지도 넓힐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성인 초기에 나타나는 발달과제란 타인과의 의미 있는 대인관계를 형성함으로 이들과의 친밀감(intimacy)을 넓혀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모든 시기와 같이 이미 지나간 이전 시기의 적절한 발달은 그 후의 발달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 시기에 적절한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5단계에서 합리적인 정체감을 먼저 형성할 필요가 있다. 지나치게 자의식적인 인물은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진정한 대인관계를 완성하지 못하여 형성되는 경험은 결국 고립감(isolation)의 발달로 나타날 것이다(Erikson, 1982)
이 단계의 발달도 마찬가지로 친밀감과 고립감의 갈등을 통해서 드러난다. 그렇기에 적절한 정도의 고립감은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 필요하기도 하며, 완전하게 배제할 수도 없는 개념이다. 아무리 친한 사람끼리라고 하더라도 완전한 내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그에 의한 반목과 고립감을 필연적으로 겪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두 경험을 통해 적절한 수준에서 친밀감을 형성한다면 더욱 성숙한 자아 역량, 다시 말해‘사랑’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기대한다.
성인 중기에 이르러 두 사람 사이의 친밀감을 형성하게 되면 이제 그러한 관계는 두 사람 사이를 넘어서도 적용되기 시작한다. 이는 다시 말해 다음 세대를 ‘생산’하거나 가치를 전수하는 단계로 이행한다는 뜻이다. 그와 같은 의미에서 생산성은 좁게 표현해서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넓은 관점에서의 생산성은 다음 세대에게 본인의 능력이나 가치를 전수하는 전체적인 활동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물건을 생산한다든지, 지식을 전파하는 행위도 생산성 있는 활동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중략 -
추천자료
- (2016년 정신건강과간호) 교재65쪽 스트레스인식일지 이용하여 지난 2주동안 자신의 스트레스...
- 교재65쪽 스트레스인식일지 이용하여 지난 2주동안 자신의 스트레스 기록, 스트레스 종류 및 ...
- 2017 정신건강과간호] 지난 일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인식일지 작성 /교재66~68쪽에서 ...
- 2020년 1학기 정신건강과간호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자료)
- 2020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교육 기말시험 과제물] 1. 우리나라 자조집단현황 2. 건강신...
- 2020년 1학기 가족건강간호학 기말시험 과제물
- 2020년 1학기 청소년건강과간호 기말시험 과제물
- [청소년 건강과 간호] 2020년 기말시험 (온라인평가) 문제, 간호학과 4학년 과제
- [정신건강과 간호] 2020년 기말시험(온라인평가)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