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흥미영역이란
2. 흥미영역의 가치
3. 흥미영역별 놀이지도의 교육적 가치
1) 언어 영역
2) 책보기 영역
3) 수학, 조작놀이 영역
4) 과학 영역
5) 컴퓨터 영역
6) 조형 영역
7) 역할놀이 영역
8) 쌓기놀이 영역
9) 음률 영역
10) 물, 모래놀이 영역
11) 실외 놀이 영역
4. 활동사례
1) 도서대여 놀이 활동
2) 협력적 읽기 활동
3) 실외놀이 통합 활동
4) 역할놀이
5.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흥미영역이란
2. 흥미영역의 가치
3. 흥미영역별 놀이지도의 교육적 가치
1) 언어 영역
2) 책보기 영역
3) 수학, 조작놀이 영역
4) 과학 영역
5) 컴퓨터 영역
6) 조형 영역
7) 역할놀이 영역
8) 쌓기놀이 영역
9) 음률 영역
10) 물, 모래놀이 영역
11) 실외 놀이 영역
4. 활동사례
1) 도서대여 놀이 활동
2) 협력적 읽기 활동
3) 실외놀이 통합 활동
4) 역할놀이
5.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도입
* 동화를 듣고 그 내용을 이야기 해 본다.
곰 가족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던 것이었니?
* 극 중 등장인물들의 모습과 행동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본다.
할아버지는 왜 그릇을 만들고 계셨을까?
고모는 왜 노래 연습을 하고 계셨을까?
엄마는 왜 드레스를 만들고 계셨을까?
* 친구들의 역할놀이를 관람하는 자세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친구들이 공연하는 역할놀이를 재미있게 보기 위해서 우리가 지켜야 할 약속은 무엇이 있을까?
- 전개
* 역할을 정한 후 각자의 역할에 필요한 소품을 스스로 챙길 수 있도록 한다.
* 교사는 역할놀이의 흐름을 돕는 해설자의 역할을 한다.
* 역할놀이가 진행되는 동화책의 해당 페이지를 유아들이 볼 수 있도록 제시하여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 역할놀이를 마치고 난 후 활동한 유아는 관객에게 역할에 대한 소개와 인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마무리
* 역할놀이를 보며 재미있었던 점과 아쉬웠던 점에 대해 이야기 해 본다.
역할놀이를 보면서 재미있었던 부분과 고쳤으면 좋겠다고 생각된 부분이 있었니?
5. 나의 의견
활동중심 통합교육에서는 활동 영역(activity center)별 환경구성을 중요하게 여긴다. 활동영역별 환경에서 아동중심 교육철학 및 아동중심 교수방법을 실천할 수 있고 또 어린이 개개인이 행복하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활동영역을 다양하게 마련하면 할수록, 또 활동영역별로 교재를 풍부하게 마련하면 할수록 개별화 학습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학습경험도 의미있게 일어난다. 흥미영역은 유아들의 흥미, 활동유형, 학습과제 등에 따라 유아교육시설의 실내ㆍ외 공간을 몇 개의 영역으로 구획화(區劃化)해 놓은 것을 말한다. 흥미영역의 설치는 활동실(교실)과 실외공간의 여건, 유아의 흥미, 발달수준 및 활용정도, 학기와 계절, 교재ㆍ교구와 비품의 구입ㆍ보충 능력 등을 고려하여 그 종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유아는 자신의 흥미나 능력에 따라 활동을 계획, 실행, 평가함으로써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유아교육에서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흥미영역을 학습환경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교육과정이 상당히 융통성이 있으며 통합적이고 탐색적인 활동을 통해서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요한 것은 얼마만큼 각 영역이 균형을 이루는가에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흥미영역별 놀이지도의 교육적 가치를 서술하고 활동사례 (3가지이상)를 함께 제시하여 적용해 보았다. 유아교육은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 발달을 돕기 위해 여러 영역이 복합적으로 통합 운영되어야 하는데, 놀이는 이러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동시에 유아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놀이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세상을 탐험하며, 새로운 정보를 수집하여 지식을 구성한다. 따라서 놀이는 유아의 생활자체이며, 중요한 교육적 매체가 된다. 유아들이 행하는 놀이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며, 개개 놀이는 그 나름대로의 특성과 교육적ㆍ체육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자유와 선택을 경험하고 존재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며, 내적인 생활과 외적인 생활간의 연속성을 갖게 된다.
Ⅳ. 참고문헌
양옥승(2004). 유아 때부터 시작하는 자유선택 교육. 학지사.
이숙재(2004).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고수미(2011). Piaget와 Vygotsky의 유아놀이론에 관한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영실(2009). 유아 쌓기놀이의 뇌과학적 이해.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교육대학원.
* 동화를 듣고 그 내용을 이야기 해 본다.
곰 가족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던 것이었니?
* 극 중 등장인물들의 모습과 행동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본다.
할아버지는 왜 그릇을 만들고 계셨을까?
고모는 왜 노래 연습을 하고 계셨을까?
엄마는 왜 드레스를 만들고 계셨을까?
* 친구들의 역할놀이를 관람하는 자세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친구들이 공연하는 역할놀이를 재미있게 보기 위해서 우리가 지켜야 할 약속은 무엇이 있을까?
- 전개
* 역할을 정한 후 각자의 역할에 필요한 소품을 스스로 챙길 수 있도록 한다.
* 교사는 역할놀이의 흐름을 돕는 해설자의 역할을 한다.
* 역할놀이가 진행되는 동화책의 해당 페이지를 유아들이 볼 수 있도록 제시하여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 역할놀이를 마치고 난 후 활동한 유아는 관객에게 역할에 대한 소개와 인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마무리
* 역할놀이를 보며 재미있었던 점과 아쉬웠던 점에 대해 이야기 해 본다.
역할놀이를 보면서 재미있었던 부분과 고쳤으면 좋겠다고 생각된 부분이 있었니?
5. 나의 의견
활동중심 통합교육에서는 활동 영역(activity center)별 환경구성을 중요하게 여긴다. 활동영역별 환경에서 아동중심 교육철학 및 아동중심 교수방법을 실천할 수 있고 또 어린이 개개인이 행복하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활동영역을 다양하게 마련하면 할수록, 또 활동영역별로 교재를 풍부하게 마련하면 할수록 개별화 학습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학습경험도 의미있게 일어난다. 흥미영역은 유아들의 흥미, 활동유형, 학습과제 등에 따라 유아교육시설의 실내ㆍ외 공간을 몇 개의 영역으로 구획화(區劃化)해 놓은 것을 말한다. 흥미영역의 설치는 활동실(교실)과 실외공간의 여건, 유아의 흥미, 발달수준 및 활용정도, 학기와 계절, 교재ㆍ교구와 비품의 구입ㆍ보충 능력 등을 고려하여 그 종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유아는 자신의 흥미나 능력에 따라 활동을 계획, 실행, 평가함으로써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유아교육에서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흥미영역을 학습환경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교육과정이 상당히 융통성이 있으며 통합적이고 탐색적인 활동을 통해서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요한 것은 얼마만큼 각 영역이 균형을 이루는가에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흥미영역별 놀이지도의 교육적 가치를 서술하고 활동사례 (3가지이상)를 함께 제시하여 적용해 보았다. 유아교육은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 발달을 돕기 위해 여러 영역이 복합적으로 통합 운영되어야 하는데, 놀이는 이러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동시에 유아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놀이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세상을 탐험하며, 새로운 정보를 수집하여 지식을 구성한다. 따라서 놀이는 유아의 생활자체이며, 중요한 교육적 매체가 된다. 유아들이 행하는 놀이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며, 개개 놀이는 그 나름대로의 특성과 교육적ㆍ체육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자유와 선택을 경험하고 존재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며, 내적인 생활과 외적인 생활간의 연속성을 갖게 된다.
Ⅳ. 참고문헌
양옥승(2004). 유아 때부터 시작하는 자유선택 교육. 학지사.
이숙재(2004).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고수미(2011). Piaget와 Vygotsky의 유아놀이론에 관한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영실(2009). 유아 쌓기놀이의 뇌과학적 이해.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교육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