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원본 판이 간행 될 때 처음으로 수록된 것인데, 도대체 이 사람은 어떤 일을 겪었기에 이런 소원을 가지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해소해 줄 것 같다. 이 부분은 김구 선생의 국가론, 정치, 이념 즉, 철학이 담긴 부분이다.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셋째 번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백범일지는 제목 자체에서 ‘일지’가 들어가 있다. 줄거리가 있는 내용이 아니라 개인이 사회에 굵직한 역사를 겪으면서 또 그 역사를 직접 참여하면서 느낀 일들, 또 구체적인 사실들을 적은 것이다. 오히려 김구 선생이 기지를 이해하고 그 분이 가지고 계셨던 생각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내가 저 시대에 태어났더라면 과연 저렇게 살 수 있었을까 하는 고민이 많이 든다. 자신의 개인적인 영화보다 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진정으로 걱정하는 큰 인물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셋째 번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백범일지는 제목 자체에서 ‘일지’가 들어가 있다. 줄거리가 있는 내용이 아니라 개인이 사회에 굵직한 역사를 겪으면서 또 그 역사를 직접 참여하면서 느낀 일들, 또 구체적인 사실들을 적은 것이다. 오히려 김구 선생이 기지를 이해하고 그 분이 가지고 계셨던 생각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내가 저 시대에 태어났더라면 과연 저렇게 살 수 있었을까 하는 고민이 많이 든다. 자신의 개인적인 영화보다 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진정으로 걱정하는 큰 인물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