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양상, 호흡곤란 평가를 위한 기준, 호흡곤란증후군의 진단 평가, 치료관리, 간호중재, 신생아 신체 사정 , 신생아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양상, 호흡곤란 평가를 위한 기준, 호흡곤란증후군의 진단 평가, 치료관리, 간호중재, 신생아 신체 사정 , 신생아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 및 병태생리

2. 호흡곤란 증후군의 임상양상

3. 호흡곤란 평가를 위한 기준

4. 호흡곤란증후군의 진단 평가

5. 호흡곤란증후군의 치료관리

6. 호흡곤란증후군의 간호중재

7. 신생아 신체 사정 & 신생아 간호

본문내용

엉덩이 부분에 주로 나타나는 불규칙한 진푸른 점으로 치료는 필요하지 않으며 대부분 학력전기가 되면 사라진다./
혈관종: 혈관종은 피부, 피하조직, 내부 장기에 현관 내식세포의 증식으로 생기는 종양으로 신생아는 출생 시 현관성 병변으로 발견될 수 있으며 색이 흐려지기도하고 영구적이기도 한다./
3) 머리
주형: 질식분만한 아기의 머리가 고깔모양으로 머리 끝부분이 좁아진 것을 의미한다./
산류: 산류는 가장 두정위 분만 시에 생기며, 두피에 생기는 경계가 불투명한 부종이다. 산류는 두개골 위에 있는 조직에 혈청과 혈액이 축적되어 생기며 전형적으로 부종은 시상봉합 경계를 넘어서 확장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점상출혈이나 반상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산류는 출생 시 존재하기도하고 출생 후 나타나기도 하는데 발생 시 특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으며 며칠 이내 가라앉아 사라진다./
두혈종: 분만 중 머리압박으로 두개골의 골막 아래에 출혈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대천문: 봉합선과 접합부의 골화되지 않은 막성조직의 넓은 공간을 일컫는 말로, 대천문은 시상봉합과 삼각봉합의 접합부에 위치하며, 다이아몬드 형태로 크기가 4~5cm 정도이며 평평하고 단단해야 하며 기침을 하거나 울 때는 일시적으로 불룩해질 수 있다./
소천문: 봉합선과 접합부의 골화되지 않은 막성조직의 넓은 공간을 일컫는 말로, 대천문과 시상봉합과 삼각봉합의 접합부에 위치하며, 삼각형으로 크기는 0.5~1cm정도이며 평평하고 단단해야 하며 기침을 하거나 울 때는 일시적으로 불룩해질 수 있다./
4) 눈
안검부종: 안검부종은 엄마가 진통을 하고 분만하는 동안 머리와 얼굴에 받은 압력 때문이다. 부종은 출생 후 1∼2주 내에 가라앉는다./
각막반사: 각막을 자극하면 눈을 재빨리 닫는 반사 현상으로 자동적으로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반사는 삼차신경에 의해 뇌에 전달되고 안면신경을 통하여 눈꺼풀로 내려온다./
동공반사: 동공을 향해 밝은 빛을 비추면 동공이 수축하는 반사이다./
깜빡이 반사: 눈에 밝은 빛이 비치거나 누군가 손뼉을 치면 아기의 눈이 깜빡이는데, 이는 외부의 강한 자극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반사 행동이다. 이를 깜빡이 반사라고 한다./
인형눈반사: 머리와 눈의 협응이 미숙하기 때문에 10일정도 발생하고, 머리를 한쪽으로 돌렸다가 반대쪽으로 돌리면 눈이 바로 따라오지 못하고 서서히 움직인다./
움직임:
5) 귀
위치, 모양: 양쪽이 대칭적으로 위치해 있다. 귀의 높이를 확인하기 위해 꼬리와 후두골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과의 상상선을 그었을 때 이개의 윗부분이 그 지점을 지난다./
청력검사(AABR): 이 중 대부분이 신생아 시기에 발생하고, 이러한 신생아 난청은 조기 선별 검사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평균 발견 연령이 2-2.5세로 늦어져 언어 발달의 중요한 시기를 놓치게 되어 언어 발달의 지연을 초래하여 언어 재활의 어려움을 겪게된다./
6) 코
콧구멍: 콧구멍이 대칭적이고 폐쇄가 없어야 한다./
7) 입과 목구멍
입술과 구개모양: 구개는 정상적으로 약간 좁고 높은 아치형이다. 경구개에 엡스타인진주가 있을 수 있지만 수 주내 사라진다. 설소대는 혀 뒷부분 중앙부의 아래에 존재하고 너무 짧으면 모유수우시 방애가 된다. 드물게 치아가 나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여러 가지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구
빨기 반사: 입에 물체를 자극하면 영아는 반사적을 그것을 빠려는 것을 빨기 반사라고 한다./간호사선생님이 분유를 먹이기 위해 입술 주변을 젖꼭지로 툭툭치면 아기가 입을 벌리며 젖꼭지를 빨려고 하였다.
밀어내기 반사: 물체를 혀의 전방부에 놓으면 밖으로 밀어내는 반사를 밀어내기 반사라고 한다./
포유 반사: 입가를 자극하면 자극하는 쪽으로 머리를 돌린다. 깨어있는 경우 3~4개월, 잠 잘때 7~8개월에 소실된다./
구토 반사: 아기의 혀 뒤쪽 2/3 부위를 손으로 눌러주면 구토하려는 행위를 구토반사라고 한다./
8) 목
움직임: 목은 스스로 지지하기 어려워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고 턱은 반대쪽을 향하는 사경이 나타나지 않는다./아
덩어리 촉진: 목 앞부분에 갑상선이 커져있거나 덩어리가 촉진되지 않는다./
쇄골촉진: 좁은 산도를 나오면서 쇄골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긴장성 경반사: 한쪽으로 목을 돌리면 그 쪽의 사지는 신장되고 반대쪽은 굴곡된다./
9) 가슴
모양: 둥글며 대칭적이고, 가슴둘레가 머리둘레보다 작다./
늑간 함몰: 늑골은 매우 유연하고, 흡기시 약간의 늑간 함몰이 있을 수 있다./
검상돌기: 검상돌기가 약간 돌출되어있다./
유방: 유두는 중앙쇄골선보다 약간 바깥에 위치하며 양쪽이 대칭으로 총 2개이다.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2~3일동안 가슴울혈이 나타나거나 마유가 나타날 수 있다./
10) 폐
호흡음: 호흡곤란, 비익 확장, 늑간근과 검상돌기의 견축, 호기시 그렁거리는 소리, 시소운동의 호흡, 빈호흡이 없다./
기침반사: 상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재채기 또는 기침을 한다./
폐음: 간혹 악설음이 들릴 수 있으나, 지속적인 악설음이 아니라면 정상적인 과정이다./
무호흡: 신생아의 정상 호흡음은 30~60회/분으로 복식호흡을 하며 불규칙하고, 간혹 호흡을 15 이내로 정지하였다가 다시 숨을 쉬는 신생아 무호흡을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정상적이고 20초 이상 숨을 쉬지 않으면 비정상적으로 간주한다./
11) 심장
심박동: 출생시 분당 100~180회이던 심박동이 안정상태가 되면 분당 130~140회의 범위에 있게 된다./심
심잡음: 심음을 청진하기 힘들지만 제1심음과 제2심음은 명백해야 하고, 심잡음은 신생아에게 흔하다./
12)복부
모양: 원통형의 둥근모양이고 불룩하며 정맥이 보인다./
장기촉진: 간은 보통 오른쪽 늑골하 1~3cm에서 촉진되고, 비장의 끝은 왼쪽 늑골하에서 가끔 촉진되지만 1cm 이상 아래에서 촉진되면 비장종대를 의미한다. 양쪽 신장은 배꼽 1~2cm 위에서 오른쪽 신장의 하부와 왼쪽 신장의 상부가 촉진 가능하다./장
서혜부 맥박: 양측이 동일하다./
제대: 제대혈관은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대 단면을 보면 정맥은 동맥보다 직경이 더 크지만 혈관벽은 더
  • 가격1,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0.06.22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