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문화사회의 배경
2. 다문화가족관련 법과 지원조직
3. 국외 다문화 관련 보건의료정책 및 정책의 변화
4. 다문화가족의 건강과 보건의료 부문 정책과제(향후제시)
5. 출처
2. 다문화가족관련 법과 지원조직
3. 국외 다문화 관련 보건의료정책 및 정책의 변화
4. 다문화가족의 건강과 보건의료 부문 정책과제(향후제시)
5. 출처
본문내용
스를 제공하여 이들의 건강권을 보호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한국 사회 전체의 인구자질의 향상과 질병부담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것을 인지하여 중복투자를 줄여 장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다문화가정 보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셋째, 간호협회와 간호대학이 함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간호활동을 통한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차원이 간호활동을 수행한다.
넷째, 다문화가족 특성에 적합한 다국어건강교육 자료 및 정보의 개발과 효과적 확산, 언어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의 특성, 즉 출신국가, 체류기간, 연령 등을 교려한 ‘생애주기 관점’에서 요구에 부응한 건강관리와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연속적 제공 필요하다.
여섯째, 도시, 농촌 지역별 지리적 보건의료서비스 접근도 차이를 고려한 건강지원서비스의 통합적 제공, 기존 다문화가족 정책에서 건강 부문을 강화하고, 보건의료 인프라와의 연계 강화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출처
김혜련 외 3명.(2012).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숙(2012). 다문화 사회와 건강간호. 서울: 현문사
- 김혜연 (2010). 다문화가족의 건강 및 보건의료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65, 46-57.
- 박영준 (2013). 일본의 다문화공생 정책과 그 사례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14, 247-273.
- 신재주 (2010). 일본, 독일, 호주의 다문화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다문화정책의 특성과 한국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7(3), 5-37.
- 이지현 외 (2012). 한국에서 다문화가족의 혼인, 출생, 자녀의 추이에 대한 통계적 고찰 및 주산기 정책 전망. 대한주산회지, 23(2), 76-86.
- 이종열, 정준호 (2012). 한국과 대만의 다문화사회 정책 특성과 유형에 관한 비교분석: 추진전략과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6(3), 157-186.
- 정미애 (2010). 일본의 외국인정책과 다문화공생정책의 간극. 의정논총, 5(2), 299-328.
-정면숙 (2009). 우리나라 보건의료 관련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간호학의 지평, 6(1), 1-20.
-정진영, 심문숙 (2004). 다문화여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및 보건의료이용 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2), 200-210.
출처: 후지사와시 다문화 공생의 도시 만들기 지침(개정판), 2014년2월
출처: 뉴욕한인봉사센터(www.kcsny.org)
논문 -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연구보고서 2014-22-5
(변수정 조성호 이상림 서희정 정준호 이윤석)
김혜련(2013). 다문화가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
김혜련(2012).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출처 :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현문사 (2014 이정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혜련 제 185호
둘째, 다문화가정 보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셋째, 간호협회와 간호대학이 함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간호활동을 통한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차원이 간호활동을 수행한다.
넷째, 다문화가족 특성에 적합한 다국어건강교육 자료 및 정보의 개발과 효과적 확산, 언어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의 특성, 즉 출신국가, 체류기간, 연령 등을 교려한 ‘생애주기 관점’에서 요구에 부응한 건강관리와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연속적 제공 필요하다.
여섯째, 도시, 농촌 지역별 지리적 보건의료서비스 접근도 차이를 고려한 건강지원서비스의 통합적 제공, 기존 다문화가족 정책에서 건강 부문을 강화하고, 보건의료 인프라와의 연계 강화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출처
김혜련 외 3명.(2012).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숙(2012). 다문화 사회와 건강간호. 서울: 현문사
- 김혜연 (2010). 다문화가족의 건강 및 보건의료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65, 46-57.
- 박영준 (2013). 일본의 다문화공생 정책과 그 사례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14, 247-273.
- 신재주 (2010). 일본, 독일, 호주의 다문화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다문화정책의 특성과 한국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7(3), 5-37.
- 이지현 외 (2012). 한국에서 다문화가족의 혼인, 출생, 자녀의 추이에 대한 통계적 고찰 및 주산기 정책 전망. 대한주산회지, 23(2), 76-86.
- 이종열, 정준호 (2012). 한국과 대만의 다문화사회 정책 특성과 유형에 관한 비교분석: 추진전략과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6(3), 157-186.
- 정미애 (2010). 일본의 외국인정책과 다문화공생정책의 간극. 의정논총, 5(2), 299-328.
-정면숙 (2009). 우리나라 보건의료 관련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간호학의 지평, 6(1), 1-20.
-정진영, 심문숙 (2004). 다문화여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및 보건의료이용 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2), 200-210.
출처: 후지사와시 다문화 공생의 도시 만들기 지침(개정판), 2014년2월
출처: 뉴욕한인봉사센터(www.kcsny.org)
논문 -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연구보고서 2014-22-5
(변수정 조성호 이상림 서희정 정준호 이윤석)
김혜련(2013). 다문화가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
김혜련(2012).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출처 :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현문사 (2014 이정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혜련 제 185호
소개글